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432399 | |
005 | 20161124152849 | |
007 | ta | |
008 | 080125s2008 ulka 000c kor | |
020 | ▼a 9788986598827 ▼g 93600 | |
035 | ▼a (KERIS)BIB000011190453 | |
040 | ▼a 241018 ▼c 241018 ▼d 211009 | |
082 | 0 4 | ▼a 700.1 ▼a 709.04079 ▼2 22 |
085 | ▼a 700.1 ▼2 DDCK | |
090 | ▼a 700.1 ▼b 2008z2 | |
100 | 1 | ▼a 김강, ▼d 1970- |
245 | 2 0 | ▼a (삶과 예술의 실험실) 스쾃 / ▼d 김강 지음 |
246 | 1 1 | ▼a Squat |
260 | ▼a 서울 : ▼b 문화과학사, ▼c 2008 | |
300 | ▼a 311 p. : ▼b 삽화 ; ▼c 20 cm | |
500 | ▼a 스쾃하라|저항하라|창작하라!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00.1 2008z2 | Accession No. 1114648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00.1 2008z2 | Accession No. 11146481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Squat'은 사전적 의미로는 '그 자신으로 웅크러들거나 숨는다', '남의 땅, 또는 공유지에 무단으로 정착하다', '미개간지에 정착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오스트렐리아 목동들이 자신의 초지가 아닌 곳으로 양떼를 몰고 가서 풀을 먹이던 행위로부터 기원한 이 단어는 사회 변화에 따라 다의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주하지 않는 삶, 움직이는 삶, 인간전형을 끊임없이 재창조하는 것, 저항의 양식을 새로이 창안하는 것, 예술가의 정체성을 언제나 재구성하는 것 모두가 'Squat'에 포함된다. 이 책은 세계 곳곳에서 실행되고 있는 Squat 운동에 관한 하나의 보고서라 할 수 있다.
1부는 유럽에서의 Squat 운동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Squat이 생겨나게 된 사회적 배경, 공간 투쟁의 역사, 인간의 기본적 권리인 주거권에 관한 법령 해석까지를 폭넓게 아우르고 있다. 2부는 1980년대 들어오면서 생겨나게 된 예술Squat(프랑스 파리 중심으로)에 관한 논의이다.
3부에서는 프랑스, 독일, 미국, 일본 등의 Squat들을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4부는 예술Squat에 대한 미학적 논의로 이 책에서 가장 이론적인 부분이다. 저자는 예술Squat의 정신을 '자율, 연대, 다른 곳에 존재하기, 함께 있음, 연회성, 예술 개념의 변화 실험' 등의 미학적 분류로 나눈다.
1. 스쾃은 인간에게 필요한 모든 종류의 ‘공간’에 관계한다.
토지, 건물, 빈터, 주거지, 창작실 등의 재배치를 통해 ‘새로운 공간’을 창출해 가는 스쾃은 소유권의 무소불위의 권력 앞에, 함께 꾸는 꿈을 제시한다. 그러하기에, 함께 꾸는 꿈이 직접 행동을 통해 사회적 실천으로 나아갈 때, 스쾃은 단지 물리적 ‘공간’에만 관계하는 것은 아니게 된다.
2. 할 수만 있다면 합법으로, 해야만 한다면 불법이라도!
우리는 부르주아들처럼 살지 않는다. 나에게 있어서 부르주아들은 두려움을 갖고 있고, 성벽 뒤에 숨어서 스스로를 보호하려는 존재들일 뿐이다. 스쾃의 예술가들을 외부인들이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자유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자유를 가져온다. 그래서 우리는 위험한 존재들이다. 예술가로서 나는 전혀 고독한 천재의 이미지를 생각지 않는다. 오히려 우리는 스쾃 내에서 자율적 공동체로 살아간다. 또한 우리는 작은 사회 속에서 책임감을 연습한다. 자유라는 개념은 위험하지만 다른 이들과의 열린 만남을 주선한다. 이것이 바로 사회적 존재이고, 사회가 자유로운 존재가 되는 것이다. 이것이 우리의 모든 차원이다.
- <알터나시옹>의 모하메드 벤메르쉬, 2004년 저자와의 인터뷰중에서
스쾃하라 저항하라 창작하라!
스쾃(squat)은 사전적 의미로는 ‘그 자신으로 웅크러들거나 숨는다’, ‘남의 땅, 또는 공유지에 무단으로 정착하다’, ‘미개간지에 정착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오스트렐리아 목동들이 자신의 초지가 아닌 곳으로 양떼를 몰고 가서 풀을 먹이던 행위로부터 기원한 이 단어는 사회 변화에 따라 다의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스쾃은 인간에게 필요한 모든 종류의 ‘공간’에 관계한다. 토지, 건물, 빈터, 주거지, 창작실 등의 재배치를 통해 ‘새로운 공간’을 창출해 가는 스쾃은 소유권의 무소불위의 권력 앞에, 함께 꾸는 꿈을 제시한다. 그러하기에, 함께 꾸는 꿈이 직접 행동을 통해 사회적 실천으로 나아갈 때, 스쾃은 단지 물리적 ‘공간’에만 관계하는 것은 아니게 된다.
규격화된 삶이 ‘상품’으로 등장하는 시대에, 스쾃은 규격의 틀을 흔들리게 하며, 위엄있는 삶의 태도를 회복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빈민, 여성, 가족, 인종, 노동, 생태, 자율, 이주노동, 노숙인, 예술, 문화 등 모든 종류의 운동이 하나로 통합될 수 있는 것 또한 스쾃이다. 안주하지 않는 삶, 움직이는 삶, 인간전형을 끊임없이 재창조하는 것, 저항의 양식을 새로이 창안하는 것, 예술가의 정체성을 언제나 재구성하는 것 모두가 스쾃에 포함된다. 삶의 전 과정에서, 예술의 전 과정에서 ‘창작’이라는 것이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정체성의 다른 표현이라고 전제할 때, 삶과 예술은 스쾃이라는 실험실에서 다시 만나게 된다. 그 실험의 과정에서 파생되는 모든 종류의 생산은 주류적 가치에 대항하며, 새로운 문화를 출현시킬 것이다.
서구에서의 스쾃은 자본주의적 질서가 요청하는 삶의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의 삶과 예술’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발달하였다. 이는 기존과는 다른 형태의 패러다임을 ‘스쾃’을 통해 구현해 보고자 하는 삶과 예술의 총체적인 기획이라 할 수 있다. 남미의 경우에는 토지를 중심으로 한 스쾃운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많은 나라에서 1990년대 무토지 농민들의 대규모 토지 스쾃운동이 일어났다. 남미에서의 스쾃운동은 자신들의 특수한 상황에 걸맞게 발전해 가고 있으며, 발전의 과정 중에 대규모의 민중투쟁을 촉발시키기도 하였다. 스쾃은 각 상황에 걸맞은 형태로 진행될 때 더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강(지은이)
2002년부터 한국에 귀국하기 전인 2004년 6월까지 파리시 12구에 위치한 스쾃 '알터나씨옹(Alternation)'에서 작품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는데, 이때의 경험이 예술Squat을 연구하도록 하는 직접적인 모티브가 되었다. 프랑스 파리의 예술행정, 기획 전문학교인 에꼴 이카(Ecole ICART: Institut Superieur des Carrieres Artistiques)의 졸업논문으로 「삶과 예술의 실험실―예술Squat(Laboratoire de l'art et de la vie: Squat Artistique)」을 작성하여 2004년 4월에 발표했는데, 이 논문은 프랑스의 파리에 존재하고 있는 예술가들의 Squat에 대한 하나의 보고서라 할 수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책머리에 = 4 프롤로그 = 14 001 스?의 탄생 배경과 스?;운동의 성장 00 아름다움의 헛간 = 18 01 스? - 빈 공간에 스며들기 = 22 02 노동조합과 사회운동의 조직적 움직임으로 = 27 03 징발하라! 스?하라! = 31 04 할 수만 있다면 합법으로, 해야만 한다면 불법이라도! = 36 05 아베 피에르, '선의의 반란’을 조직하다 = 39 06 도시를 점령하자!! = 42 07 새로운 도시재개발 계획과 스? = 47 08 주거권 = 48 09 정부기관의 이면, 부동산업 = 51 10 다시 거리 캠프로, 90년대 = 52 11 드라공가의 승리 = 56 12 스?에 관한 프랑스 법령의 창조적 해석 = 58 002 예술스?의 등장과 예술운동으로서의 스? 01 교환가치 속에 갇힌 미술, 미술가들 = 68 02 아카데미에 의한, 아카데미를 위한 아카데미 = 71 03 혁명, 예술, 스? = 74 04 새로운 세대의 스?: 아르 크로쉬 = 78 05 예술스?의 폭발적인 증가 = 85 06 예술스?의 연대 = 91 07 인터스?, 새로운 세기를 열다 = 94 08 인터파스의 등장, '예술과 스? 페스티벌' = 104 09 예술스?과 제도의 전략적 동거: '팔레 드 도쿄' = 107 003 다양한 예술스?의 사례들 01 프랑스의 스? = 120 알터나씨옹 로베르네 집, 자유로운 전자 라 그랑주 오 벨르 라 프리쉬 누 라 빼, 브와노 미르와트리 플로켓 떼아트르 팔레즈 맹 되브르 라 포르주 행복의 농장 레 헤콜레 그르노블 노 마드즈 랜드, 새로운 사회공간 02 독일의 스? = 156 타헬레스 오픈 스페이스, 어린이 동물 농장 케셀베르그, 휘겐 03 일본의 스? = 167 04 미국의 스? = 170 05 스? 넷 = 181 004 예술스?의 정신 01 자율 = 190 02 연대 = 196 03 다른 곳에서 존재하기 = 200 04 함께 있음 = 204 05 연회성 = 210 06 예술 개념의 변화 실험 = 213 005 한국의 스? 오아시스를 만들다 01 오아시스 프로젝트 - 목동 예술인회관 스? = 228 오! 꿈의 작업실 = 229 오아시스 프로젝트의 시작, 불온한 점거 = 237 목동 예술인회관 분양-이제, 도시에 오아시스가 생긴다 = 240 그대, 예술인회관이여-모델하우스 방문 페스티벌 = 246 예술가들의 독립 선언-목동 예술인회관 스? = 251 점거 이후 = 256 02 한국의 스?: 판잣집, 달동네, 그리고 스?! = 262 노숙인 생활 공동체 〈더불어 사는 집〉 = 269 오아시스 동숭동 프로젝트-720 = 279 예술포장마차 = 287 주거하는 조각-스? = 294 예술스? 국제연대 A.S.I.L = 300 스? 홈페이지 =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