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총론 = 15
1. 사회복지실천의 토대 = 15
1)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 16
2) 사회복지실천의 목표 = 16
3) 사회복지실천의 지식 = 16
4) 사회복지실천의 기술 = 17
5) 사회복지실천의 환경 = 17
2. 인간행동 = 18
1) 인간행동의 개념 = 18
2) 인간행동 이해의 관점 = 19
3. 사회환경 = 20
1) 사회환경의 개념 = 20
2) 사회환경 이해의 관점 = 22
4.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23
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의미 = 23
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해의 틀 = 24
3)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해를 위한 과제 = 26
제1부 인간행동 이해를 위한 주요 이론
제1장 정신역동 이론 = 29
1. 프로이트의 이론 = 29
1) 프로이트의 생애 = 29
2) 주요 개념 = 31
3) 발달단계 = 39
4) 프로이트 이론의 평가 = 43
2. 에릭슨의 이론 = 44
1) 에릭슨의 생애 = 44
2) 주요 개념 = 45
3) 발달단계 = 46
4) 에릭슨 이론의 평가 = 53
3. 아들러의 이론 = 53
1) 아들러의 생애 = 53
2) 주요 개념 = 54
3) 치료 이론 = 58
4) 아들러 이론의 평가 = 59
4. 융의 이론 = 60
1) 융의 생애 = 60
2) 주요 개념 = 60
3) 치료 이론 = 66
4) 융 이론의 평가 = 67
5.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 68
제2장 인지 이론 = 71
1. 피아제의 이론 = 72
1) 피아제의 생애 = 72
2) 주요 개념 = 73
3) 발달단계 = 74
4) 피아제 이론의 평가 = 83
2. 콜버그의 이론 = 84
1) 콜버그의 생애 = 84
2) 주요 개념 = 84
3) 발달단계 = 85
4) 콜버그 이론의 평가 = 88
3. 인지치료 이론 = 89
1) 벡의 인지치료 이론 = 89
2) 엘리스의 합리정서행동치료 이론 = 92
3) 인지치료 이론의 평가 = 96
4.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 96
제3장 행동주의 이론 = 99
1. 초기 행동주의 이론 = 100
1) 파블로프의 이론 = 100
2) 왓슨의 이론 = 104
3) 손다이크의 이론 = 104
2. 스키너의 이론 = 106
1) 스키너의 생애 = 106
2) 주요 개념 = 107
3) 기본 가정 = 112
4) 스키너 이론의 평가 = 114
3. 반두라의 이론 = 116
1) 반두라의 생애 = 117
2) 주요 개념 = 117
3) 기본 가정 = 125
4) 반두라 이론의 평가 = 126
4.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 127
제4장 인본주의 이론 = 133
1. 로저스의 이론 = 133
1) 로저스의 생애 = 133
2) 주요 개념 = 134
3) 기본 가정 = 139
4) 로저스 이론의 평가 = 140
2. 매슬로의 이론 = 142
1) 매슬로의 생애 = 142
2) 주요 개념 = 143
3) 기본 가정 = 151
4) 매슬로 이론의 평가 = 152
3.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 154
제5장 생태체계 이론 = 157
1. 개요 = 157
2. 주요 개념 = 159
1) 체계의 개념 = 159
2) 체계의 구조적 특성 = 159
3) 체계의 진화적 특성 = 162
4) 체계의 행동적 특성 = 168
3. 체계적 관점에서의 환경체계 = 173
1) 미시체계 = 174
2) 중간체계 = 174
3) 외체계 = 175
4) 거시체계 = 176
4.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 176
1) 사회복지실천에서 생태체계 이론의 활용 = 176
2) 사회복지실천에서 생태체계 이론의 유용성 = 180
제2부 생애주기에 따른 인간의 성장과 발달
제6장 유아기 = 185
1. 태내기 = 185
1) 개념 = 185
2) 태아의 발달 = 186
3) 임산부가 태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 187
4) 출산 과정 = 188
2. 유아기 = 190
1) 개념 = 190
2) 발달적 특성 = 190
3. 유아기의 부적응 행동 = 200
1) 유아 자폐 = 200
2) 유아 정서장애 = 201
3) 아동학대 = 202
4.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 203
1) 태내기의 문제와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 203
2) 유아기의 문제와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 203
제7장 아동기 = 205
1. 개념 = 205
2. 발달적 특성 = 206
1) 신체와 지능의 발달 = 206
2) 인지와 도덕의 발달 = 207
3) 정서 발달 = 208
4) 사회적 발달 = 209
3. 아동기의 부적응 행동 = 213
1) 학습장애 = 213
2)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 213
3) 등교거부 = 214
4) 아동 비만 = 215
4.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 216
제8장 청소년기 = 219
1. 청소년 전기 = 219
1) 개념 = 219
2) 청소년 전기의 특성 = 220
2. 청소년 후기 = 227
1) 개념 = 227
2) 청소년 후기의 특성 = 227
3. 청소년기의 부적응 행동 = 232
1) 청소년 자살 = 232
2) 집단따돌림 = 233
3) 인터넷 중독 = 234
4) 섭식장애 = 235
4.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 235
제9장 성인기 = 239
1. 초기 성인기 = 239
1) 개념 = 239
2) 초기 성인기의 특성 = 240
2. 성인 중기 = 247
1) 개념 = 247
2) 성인 중기의 특성 = 249
3. 성인기의 부적응 행동 = 256
1) 부부 간 성적 부적응 = 256
2) 배우자 학대 = 257
3) 중년기 우울증 = 258
4) 가족 동반자살 = 259
4.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 260
제10장 노년기 = 265
1. 노년기 = 265
1) 개념 = 266
2) 노년기의 특성 = 270
2. 임종과 죽음 = 275
1) 개념 = 275
2) 임종과 죽음의 쟁점 = 277
3. 노년기의 부적응 행동 = 280
1) 노인 치매 = 280
2) 노년기 이혼 = 281
3) 노인 우울과 자살 = 281
4) 노인 학대 = 282
4.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 283
1)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관련하여 = 284
2) 개입방법에 관련하여 = 284
3) 정책에 관련하여 = 285
4) 임종과 죽음에 관련하여 = 286
제3부 체계 수준에 따른 사회환경의 이해
제11장 가족과 집단 = 291
1. 가족 = 292
1) 정의와 주요 개념 = 292
2) 체계로서 가족의 특성 = 297
2. 집단 = 301
1) 정의와 주요 개념 = 301
2) 체계로서 집단의 특성 = 307
3.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 310
1) 환경체계로서 가족과 집단 = 311
2) 실천방법론의 대상으로서 가족과 집단 = 311
3) 도움이 필요한 클라이언트로서 가족과 집단 = 312
4) 지지체계로서의 가족과 집단 = 312
제12장 조직과 지역사회 = 315
1. 조직 = 315
1) 정의와 주요 개념 = 316
2) 특성과 유형 = 320
2. 지역사회 = 324
1) 정의와 주요 개념 = 324
2) 특성과 유형 = 327
3.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 336
1) 개인의 환경으로서 조직 = 336
2) 조직화 기술의 토대로서 조직 = 337
3) 자원으로서 조직과 지역사회 = 337
4) 클라이언트로서 지역사회 = 338
5) 사회복지실천의 장으로서 지역사회 = 339
제13장 문화 = 341
1. 정의와 주요 개념 = 342
1) 정의 = 342
2) 주요 개념 = 343
2. 특성 = 347
1) 일반적 특성 = 347
2) 한국인 문화에 미친 영향 요인 = 349
3) 한국인 문화의 특성 = 352
3.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 358
1) 사회복지실천기술 측면에서 = 358
2) 사회복지실천윤리 측면에서 = 361
참고문헌 = 363
찾아보기 =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