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08camcc2200337 c 4500 | |
001 | 000045432281 | |
005 | 20130213154547 | |
007 | ta | |
008 | 080228s2008 ulka 001c kor | |
020 | ▼a 9788958324249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1231545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2.8/233 ▼2 22 |
085 | ▼a 612.8233 ▼2 DDCK | |
090 | ▼a 612.8233 ▼b 2008 | |
100 | 1 | ▼a Banich, Marie T., ▼d 1957- ▼0 AUTH(211009)123569 |
245 | 1 0 | ▼a 인지 신경과학과 신경심리학 / ▼d Marie T. Banich 지음 ; ▼e 김명선 [외] 옮김 |
246 | 1 9 | ▼a Cognitive neuroscience and neuropsychology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08 | |
300 | ▼a xxiv, 689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색인수록 | |
500 | ▼a 공역자: 강은주, 강연욱, 김현택 | |
650 | 0 | ▼a Cognitive neuroscience |
650 | 0 | ▼a Neuropsychology |
700 | 1 | ▼a 김명선, ▼e 역 ▼0 AUTH(211009)133274 |
700 | 1 | ▼a 강은주, ▼e 역 |
700 | 1 | ▼a 강연욱, ▼e 역 ▼0 AUTH(211009)12269 |
700 | 1 | ▼a 김현택, ▼e 역 ▼0 AUTH(211009)140203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2.8233 2008 | 등록번호 1114649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2.8233 2008 | 등록번호 1115588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612.8233 2008 | 등록번호 1211825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612.8233 2008 | 등록번호 12118789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 청구기호 612.8233 2008 | 등록번호 1115588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612.8233 2008 | 등록번호 1310325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7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 청구기호 612.8233 2008 | 등록번호 15125765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2.8233 2008 | 등록번호 1114649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2.8233 2008 | 등록번호 1115588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612.8233 2008 | 등록번호 1211825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612.8233 2008 | 등록번호 12118789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 청구기호 612.8233 2008 | 등록번호 1115588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612.8233 2008 | 등록번호 1310325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 청구기호 612.8233 2008 | 등록번호 15125765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인지 신경과학과 신경심리학, 제2판은 인지기능에 관한 실험연구와 임상연구 결과를 균형 있게 제시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뇌 영상, 계산 모델, 병변 연구 및 동물 연구의 결과가 포함되어 있다.
제2판의 특징
- 인지 신경과학과 신경심리학 분야의 최신 연구 결과를 기술하고 있으며, 700편 이상의 새로운 문헌을 제시하고 있다.
- 신경원의 의사소통에 관한 장을 새로이 첨가하였다.
- 새로운 도표 및 컬러 삽입 등을 도입하였다.
- MRI, 광 영상법과 경두개 자기자극 등을 포함한 최신 기법을 소개하고 있다.
- 각 장에 포함된 요약은 각 장에서 기술하고 있는 주요 개념들을 쉽게 이해하게 한다.
주요 특징
- 각 장의 첫 번째 부분은 그 장에서 기술하고자 하는 인지기능을 정의하고, 두 번째 부분은 각 장에서 기술하고자 하는 인지기능에 관여하는 뇌 영역의 역할에 관해 기술한다. 마지막 세 번째 부분은 인지기능에 관한 주요 이론적 및 개념적 이슈에 관해 논의한다.
- 각 장의 서두에 제시되어 있는 사례는 실생활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각 장의 뒤 부분에서 논의될 이슈들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 본문 중간에 나오는 글상자는 연구 이슈들과 실생활에서의 인지 신경과학의 적용을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시되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제1부 기초 = 1 제1장 신경계 입문 = 3 인지 신경과학과 신경심리학은 무엇인가 = 4 신경계의 기본 구조 단위 = 6 신경해부학적 용어와 뇌의 지리학 = 7 중추신경계의 주요 하위 구조 = 11 척수 = 11 연수 = 12 소뇌 = 12 뇌교 = 16 중뇌 = 16 시상하부 = 17 시상 = 17 피질하계 = 19 대뇌피질 = 20 대뇌피질에 대한 상세한 고찰 = 21 세포구조학적 구분 = 21 일차 감각 및 운동피질 = 22 '신체운동뇌도'의 발견 = 30 연합 영역 = 36 제2장 뉴런들은 어떻게 의사소통하는가 = 49 서론 = 50 신경계에서의 전기화학적 신호전달 = 50 한 뉴런 내에서 정보는 어떻게 전달되는가 = 50 뉴런 간에 정보가 어떻게 전달되는가 = 53 시냅스 후 전위가 어떻게 활동전위를 발생시키는가 = 54 뉴런의 반응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 = 55 신경전달물질 = 57 아미노산성 신경전달물질 = 58 신경전달물질 시스템 = 59 신경전달물질 체계 간의 상호작용 = 69 신경전달의 화학적 조절 = 69 여러 종류의 약초가 정말 당신의 주의,기억,기분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 70 수초화 = 72 제3장 방법론 = 77 서론 = 78 연구 참가 집단 = 80 국소 두뇌 손상 환자 = 80 신경학적 손상이 없는 개인 = 90 동물 연구 = 91 두뇌 해부학의 측정법 = 92 컴퓨터단층촬영법 = 93 자기공명영상 = 99 생리적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 = 101 기능 두뇌 영상법 = 101 전자기장 기록법 = 107 기능 자기장 연구에 참여하기 = 108 광 기록법 = 121 두뇌 활동을 조절하기 위한 기법 = 122 행동 분석 기법 = 127 인지 이론의 역할 = 127 행동에 대한 임상적 평가 = 128 두뇌ㆍ행동 관계성에 대한 모델링을 위한 기법 = 135 제4장 반구 특성화 = 143 반구 특성화의 기초 = 144 역사적 고찰 = 146 뇌량 절단 환자의 연구 = 148 한쪽 반구에만 손상이 있는 환자들에 관한 연구 = 152 신경과적으로 정상적인 개인에 관한 연구 = 153 반구차이의 특징 = 158 특정 감각 특징에 대한 민감도의 차이 = 158 정보 처리 양식에서의 차이 = 161 대뇌 반구 간 정보의 통합 = 164 뇌량을 통해 전달되는 정보의 본질 = 164 반구 간 상호작용의 기능 = 165 대뇌 반구 특성화의 발달적 관점 = 170 뇌 조직화에서의 개인차 = 173 손잡이 = 173 왼손잡이가 건강에 해로운가 = 174 성별 = 176 왜 편재화된 두뇌를 가지게 되는가 = 179 제2부 정신기능의 신경학적 기저 = 183 제5장 운동통제 = 185 서론 = 187 운동통제에 관여하는 두뇌 구조 = 188 피질하 구조 = 188 피질 영역 = 204 운동장애 = 217 피질하 운동장애 = 217 헌팅턴병의 유전적 근거를 밝히는 데 관여한 Wexler일가의 역할 = 224 피질 운동장애 = 226 제6장 대상 재인 = 237 '무엇'복측 시각계 = 239 인간을 제외한 영장류로부터의 증거 = 240 인간으로부터의 증거 = 243 대상 재인의 계산 모델 = 247 시각 실인증 = 251 통각 실인증 = 252 연합 실인증 = 255 통각 실인증과 연합 실인증 간의 차이 = 256 시각 실인증의 특별한 형태로서의 얼굴 재인 장애 = 257 시각적 심상 : 마음의 눈으로 대상을 보다 = 258 다른 종의 얼굴 재인 = 260 인간의 얼굴 재인 = 262 얼굴 처리 기능의 전문성 또는 경험의 역할 = 268 얼굴의 암묵적 재인 = 273 대상 재인에서 범주특정적 결함 = 275 다른 감각 양상의 실인증 = 279 청각 실인증 = 279 체감각 실인증 = 281 제7장 공간 처리 = 287 공간 처리에 관여하는 '어디에' 배측 시각 체계 = 289 인간의 기초적 공간 처리 = 293 공간 내 장소의 국소화 = 294 깊이 지각 = 296 선의 방향 = 297 도형적 관계 = 298 움직임 = 299 회전 = 302 구성 능력 = 303 길찾기와 지형적 기술 = 305 신체 도식 = 309 공간기억 = 311 단기 공간기억 = 311 장기 공간기억 = 314 지형기억 = 315 공간 처리에서의 주의장애 = 317 Balint증후군 = 317 편측무시증 = 319 공간 처리에서 좌반구의 역할 = 319 공간 능력에 관한 신경심리학이 비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320 제8장 주의 = 327 '주의'는 무엇인가 = 329 주의에 관여하는 뇌 구조 = 330 망상활성체계 = 330 상구 = 332 시상 = 334 두정엽 = 336 전대상피질 = 339 전두엽 = 340 시간 경과에 따른 주의 선택 = 341 공간 위치,대상 및 특징에 의한 선택 = 343 대뇌 연결망에 의한 주의 통제 모델 = 345 독립된 뇌 영역에 의한 요소 과정 = 345 분산 연결망 모델 = 347 계산 모델 = 349 편측무시증 : 임상 측면 = 350 임상 측면 = 350 편측무시증 이론 = 355 치료 = 358 편측무시증 : 뇌-행동 관계의 이해 = 359 다양한 공간 참조틀 = 360 공간 기초 주의 대 대상 기초 주의 = 362 의식의 신경심리적 근거 = 364 주의 통제에서의 좌우 반구 차이 = 364 주의를 주지 않은 자극의 처리 = 368 제9장 언어 = 373 청각 언어 과정의 신경학적 기초 = 375 뇌 손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 375 다른 방법을 사용한 연구 결과 = 390 시각 언어 과정의 신경학적 기제 = 394 뇌 손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 396 다른 방법을 사용한 연구 결과 = 402 비인도유럽 언어와 다른 상징 체계의 처리 = 405 가나와 간지 = 405 미국 수화 = 406 음악 = 410 언어와 우반구 = 411 언어 과정에 관한 우반구의 역할 = 411 이중언어자들의 뇌 조직화 = 414 왜 우반구는 언어에 전문화되어 있지 않은가 = 417 제10장 기억 = 423 기억이란 무엇인가 = 425 기억상실증-장기기억의 장애 = 426 발병 원인 = 426 기억상실증의 시간 범위 = 429 기억상실증의 일반적 특성 = 433 작업기억의 유지 = 434 제한된 시간 영역에만 기억장애를 보이는 역행성 기억상실증의 특성 = 435 기술 학습의 유지 = 436 기억장애의 설명 = 440 동물에서 관찰되는 기억상실증 = 444 작업기억 = 448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 448 기타 연구 결과 = 450 기술 학습 = 454 다중 기억 체계 = 456 서술기억/절차기억의 구분 = 456 기억 저장 = 459 기억 체계 간 관련성 = 465 부호화,응고와 인출에 관여하는 뇌 영역 = 465 해마 = 466 전두 영역 = 467 좌반구 두정피질 = 469 편도체 : 기억과 정서의 인터페이스 = 470 기억과 의식 = 473 제11장 집행기능 = 479 집행기능과 목표지향적 행동 = 481 행동의 시작,중단과 통제 = 482 추상적 사고와 개념적 사고 = 486 인지적 추정과 예상 = 488 인지적 유동성과 신기함에 대한 반응 = 489 목표지향적 행동 = 492 집행 통제에 있어서 전두엽 기능에 관한 이론 = 506 작업기억의 역할 = 506 통제적 과정과 자동 과정의 역할 = 507 정신분열병 치료법으로서의 전두엽 절제술 = 508 스크립터의 사용 = 510 목표를 향한 행동의 가이드 = 511 통합 = 512 제12장 정서 = 515 정서란 무엇인가 = 517 정서에 관여하는 뇌의 피질하 영역 = 521 편도체 : 공포와 정서적 학습 = 523 해마 : 상황으로 정서를 투입하기 = 526 시상하부 : 도망칠 준비하기 = 526 대상피질 : 정서와 인지를 접속시키기 = 527 정서에 관여하는 피질 영역 = 529 전전두 피질 = 530 도 : 코를 찡그리기 = 535 두정엽 = 535 정서의 신경 조직화 모델 = 544 정서 처리 모델의 개관 = 545 접근/회피 모델 = 546 정서가/각성 모델 = 547 정서적 스타일의 개인차 = 548 정신병리학에서 기분과 정서장애의 신경 기저 = 549 우울증 = 549 불안장애 = 552 우울증에서 성차의 원인 : 생물학적인 것인가,환경적인 것인가,아니면 둘 다인가? = 554 정신분열병 = 556 제3부 주요 현상 = 561 제13장 전 생애에 걸친 가소성 = 563 발달 인지 신경과학과 신경심리학 = 565 발달하는 동안 일어나는 뇌의 변화 = 565 발달하는 두뇌에 미치는 환경의 영향 = 576 발달장애 = 578 학습장애 = 578 자폐증과 전반적 발달장애 = 583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 586 정신지체 = 588 발달장애의 성인기 결과 = 595 기능의 회복 = 596 손상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반응 = 597 기능 회복의 기제 = 598 성인의 기능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603 아동의 기능 회복 = 605 재활 프로그램 = 609 박탈이 특별한 능력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뇌가 재구조화되도록 이끄는가? = 610 노화에 따른 뇌의 변화 = 613 노화에 따른 인지적 변화 이론 = 614 노화의 효과에 가장 민감한 뇌 영역 = 614 노화에 따른 두뇌 활성화 패턴의 전반적인 변화 = 616 노화의 효과를 늦추기 = 617 제14장 전반적 인지장애 = 623 폐쇄성 두부 손상 = 625 역학과 신경심리학적 결과 = 626 폐쇄성 두부 손상과 스포츠 = 630 치매 질환 = 633 피질 치매 = 635 피질하 치매 = 649 혼합 치매 = 654 탈수초성 질환 = 657 물질 남용과 독소 노출로 인한 뇌 증후군 = 660 물질 남용 = 660 사병을 어떻게 탐지하였는가? = 664 독소 = 664 간질 = 668 찾아보기 = 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