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중국영화의 이해 (Loan 12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임대근 이종희 박언진 김수현 박희성 곽수경 문지애
Corporate Author
한국 중국현대문학학회 , 편
Title Statement
중국영화의 이해 / 임대근 외 지음 ; 한국 중국현대문학학회 엮음 .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동녘 ,   2008.  
Physical Medium
323 p. : 삽도 ; 23 cm.
Series Statement
학술총서 ; 36
ISBN
9788972975557 9788972975021(세트)
General Note
부록수록  
공저자: 이종희, 박언진, 김수현, 박희성, 곽수경, 문지애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317-321
000 01006camccc200361 k 4500
001 000045431929
005 20100806071141
007 ta
008 080215s2008 ggka b 000c kor
020 ▼a 9788972975557 ▼g 94680
020 1 ▼a 9788972975021(세트)
035 ▼a (KERIS)BIB000011165464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82 0 4 ▼a 791.430951 ▼2 22
090 ▼a 791.430951 ▼b 2008z1
245 0 0 ▼a 중국영화의 이해 / ▼d 임대근 외 지음 ; ▼e 한국 중국현대문학학회 엮음 .
260 ▼a 파주 : ▼b 동녘 , ▼c 2008.
300 ▼a 323 p. : ▼b 삽도 ; ▼c 23 cm.
440 0 0 ▼a 학술총서 ; ▼v 36
440 0 0 ▼a 중국현대문학@문화 ; ▼v 3
500 ▼a 부록수록
500 ▼a 공저자: 이종희, 박언진, 김수현, 박희성, 곽수경, 문지애
504 ▼a 참고문헌: p. 317-321
700 1 ▼a 임대근 ▼0 AUTH(211009)56571
700 1 ▼a 이종희
700 1 ▼a 박언진 ▼0 AUTH(211009)57608
700 1 ▼a 김수현
700 1 ▼a 박희성
700 1 ▼a 곽수경 ▼0 AUTH(211009)142913
700 1 ▼a 문지애 ▼0 AUTH(211009)25364
710 ▼a 한국 중국현대문학학회 , ▼e▼0 AUTH(211009)136500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0951 2008z1 Accession No. 11146390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4-02-26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0951 2008z1 Accession No. 11146390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91.430951 2008z1 Accession No. 15128198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0951 2008z1 Accession No. 11146390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4-02-26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0951 2008z1 Accession No. 11146390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91.430951 2008z1 Accession No. 15128198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중국 현대문학회 연구자들이 함께 쓴 중국 영화 입문서. 2006년 출간된 <영화로 읽는 중국>의 짝궁 같은 책이다. 전작이 영화 속에 재현된 중국인들의 삶과 문화를 살폈다면, <중국 영화의 이해>는 중국 영화 그 자체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총 일곱 가지 주제로 나누어, 중국 영화가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기까지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1장 '중국영화의 둘레'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중국영화'라는 용어의 범위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2장 '중국영화의 전통과 현재'에서는 '삼중국'이라 할 수 있는 중국, 대만, 홍콩 영화의 흐름을 역사적으로 고찰했다. 3장 '세대 : 중국영화의 작가들'에는 영화를 창조하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를 실었다.

4장 '장르: 중국 영화의 갈래들'에서는 연극영화, 무협영화, 홍콩누와르 등 중국 영화의 장르와 그 특성에 관해 설명했다. 5장 ';미학 : 중국 영화의 스펙터클'은 영화를 현장에서 만드는 사람들이나 평론가들이 중요시하는 영화 그 자체의 '미학'과 함께 스펙터클해지는 중국 현대 영화의 경향을 말한다.

6장 '산업과 정책 : 중국영화의 시장과 개혁개방'은 삼중국 각각의 영화 산업과 정책의 특성과 그 문제점을 다루었다. 적극적인 개방 정책에 나선 중국의 영화 산업과 그에 대한 전망도 담겨 있다. 마지막으로 7장 '문학과 영화: 중국영화의 각색과 전환'은 중국 영화가 문학과 어떻게 결합해 왔고 문학과 영화의 교차점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중국 각 시기별 특징, 대표작들도 열거했다.

중국 현대문학회 연구자들이 모여 공동 집필한 체계적인 중국 영화 입문서

지금 한국인에게 중국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다가오는 거대한 텍스트다. ‘한국 중국현대문학학회’는 그동안 쌓아온 현대 중국에 대한 심층적이며 전문적인 연구 결과들을 일반 독자들과 공유하기 위해 ‘중국현대문학@문화’ 시리즈를 기획하였는데, <중국 영화의 이해>는 <중국 현대문학과의 만남>, <영화로 읽는 중국>에 이은 이 시리즈의 세 번째 책이다.
중국 영화에 관한 책인데, 중국 현대문학 연구자들이 집필했다고 해서 전문성이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했다면 큰 오산이다. 중국 현대문학회는 1985년에 창립한 이래 꾸준히 중국의 현대문학을 연구해 왔고, 최근에는 그 관심 분야를 확장하여 중국문화, 영화, 도시문화, 대중문화는 물론 최근의 한류 열풍에 이르기까지 중국문화에 대한 전방위적 관심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어, 중국문학, 중국학 등 다양한 분야를 전공한 필진들의 대부분은 중국 문화에 관심을 기울여 중국 영화에 관한 저서나 논문을 활발히 내오면서 중국 영화를 집중적으로 연구해 왔고, <중국 영화의 이해>는 이렇게 100여 년이 넘는 중국 영화의 긴 흐름을 일곱 가지 주제로 나눠 체계적으로 탐구한 책이다.

세계인들의 관심은 ‘다시’ 중국 영화로!

제 63회 베니스 영화제에서 자장커의 <스틸라이프(三峽好人)>가 대상인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는 소식이 중국 대륙에 전해지자 많은 중국인들이 중국 영화의 부활을 자축했다. 그러나, 중국인들 보다 더 열광했던 사람들은 바로 이 영화를 보았던 ‘세계인’들이었다. 자본주의 도입 이후 중국 5세대 감독들의 영화는 상업 영화로 변질했거나 힘을 잃고 방황하기 시작했다. 중국인들은 더 이상 장이머우의 <붉은 수수밭>이나 천 카이거의 <패왕별희>의 영광은 기대하기 힘들 것이라는 절망감을 가진지 오래였고, 한 때 찬란했던 중국 영화의 역사가 끝나는 것이 아니냐는 비관적인 이야기도 흘러 나왔다. 홍콩 영화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다만 대만 영화만은 허우샤오셴이라는 거장과 비록 대만을 떠나긴 했지만 이안이 할리우드에 진출해 그 명성을 이어가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세계 4대 영화제 가운데 하나인 베니스에서 중국 6세대 영화감독의 기수 자장커가 대상을 받은 것은 중국인들에게 실로 감격적인 일이었다. 2007년 국내에도 개봉되어 ‘이 영화는 완전하다!’, ‘근래 10년에 본 영화 중 가장 최고!’라는 평론가들의 찬사를 받기도 했다. 이는 중국 영화가 아직 죽지 않았다는 중국 대륙인들의 새로운 ‘선언’이었고, 세계인들의 관심이 ‘다시’ 중국 영화로 쏠리고 있다는 신호탄이었다.

일곱 가지 주제로 들여다보는 중국 영화의 힘과 그 흐름

중국문화 시리즈의 두 번째 책인 <영화로 읽는 중국>이 영화 속에 재현된 중국인들의 삶과 문화를 통해 현대 중국을 이해해보자는 접근에서 씌어졌다면, <중국 영화의 이해>는 중국 영화 그 자체에 관해 탐구하고자 한다. 중국 영화가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기까지의 역사적 흐름에 관한 설명을 체계적으로 풀었고, 독자들이 한 층 더 중국 영화에 다가가기 쉽게 일곱 가지 주제로 나누었다.
1장 <중국영화의 둘레> 편에서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중국영화’라는 용어의 범위에 관한 이야기다. ‘홍콩영화, 대만영화는 중국영화인가?’라는 물음은 누구나 한번쯤 생각해 보았을 것이다. 이 물음은 대만이 국제적으로 갖는 지위만큼이나 복잡하다. 저자는 중국 영화를 둘레 지으려는 다양한 개념인 ‘중국어 영화’, ‘중국권 영화’, ‘화인영화’를 통해 우리가 쓰고 있는 ‘중국영화’라는 용어의 범위를 설명한다.
2장 <중국영화의 전통과 현재>는 ‘삼중국’이라 할 수 있는 중국, 대만, 홍콩 영화의 흐름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3장 <세대: 중국영화의 작가들>에서는 영화를 창조하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를 실었다. 앞서 나왔던 ‘5세대 감독’, ‘6세대 감독’의 분류는 어떤 기준으로 하는가, 와 같은 물음에 관한 명쾌한 답도 들어 있다.
4장 <장르: 중국 영화의 갈래들>은 연극영화, 무협영화, 홍콩누와르 등 중국 영화의 장르와 그 특성에 관해, 5장 <미학: 중국 영화의 스펙터클>에서는 영화를 현장에서 만드는 사람들이나 평론가들이 중요시하는 영화 그 자체의 ‘미학’과 함께 스펙터클해지는 중국 현대 영화의 경향을 말한다. 6장 <산업과 정책: 중국영화의 시장과 개혁개방>은 삼중국 각각의 영화 산업과 정책의 특성과 그 문제점까지 고찰한다. 적극적인 개방 정책에 나선 중국의 영화 산업과 정망도 담겨 있다.
마지막으로 7장 <문학과 영화: 중국영화의 각색과 전환>은 현대문학연구자들의 ‘전공’답게 중국 영화가 문학과 어떻게 결합해 왔고 문학과 영화의 교차점은 무엇인지 생생한 작품들의 예와 함께 중국 각 시기별 특징, 대표작들을 열거했다.

중국 영화 전문가들의 전방위적 중국 영화 보고서

앞서 언급했듯이 글쓴이들은 모두 중국영화를 자신의 연구 분야로 삼고 있는 전문 필자들이다. 중국어와 중국문화에 대한 기본 이해를 바탕으로 중국영화를 중점적으로 연구해온 이들의 ‘힘’은 2000년 이후 중국영화 연구의 한 흐름을 형성해 기존 연구의 방향을 변화시킬 정도였다고 자부한다. 그 전문성을 바탕으로 덧붙인 이 책의 부록이 이채롭다. 중국영화를 만드는 주요 제작소와 전문영화기관, 중국의 영화 관련 법규를 부록으로 덧붙여 놓은 것은 중국영화에 관심이 많아 유학을 떠나려는 학생, 중국 시장의 개방으로 중국 영화계로 진출을 희망하는 현역 영화 관계자들, 그리고 조금 더 집중적으로 중국영화를 이해해 보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배려다.
중국 영화에 관한 책들은 많지만, 이처럼 우리 연구자들이 중국 영화를 ‘중국 영화’라는 용어의 개념부터 역사, 작가들, 장르, 미학, 현대 중국영화의 경향, 문학영화, 산업정책까지 전방위적으로 탐색한 책은 없었다. 중국 영화는 사회주의라는 폐쇄성에 갇혀 있다가 1980대부터 세계 영화사에 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하지만, 중국의 역사가 유구하듯 중국 영화의 역사도 100여 년이라는 긴 흐름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진화해 왔다. 그 영화 속에는 중국인의 삶과 정신이 있으며 미국의 패권이 서서히 중국이라는 거대한 그림자로 옮겨가고 있는 이 시대, 중국 영화의 전반적인 흐름을 통해 중국을 이해하는 데 이 책의 의의가 있다. <중국 영화의 이해>는 불과 몇 편의 영화로 거장 대접을 받고 있는 중국 현대 영화의 기수인 자장커의 등장 이후 부쩍 높아진 중국영화에 대한 관심과 중국 진출을 모색하는 학생이나 기업가들, 또한 세계 영화사를 공부하는 학생들과 중국 영화를 연구하는 이들에게도 훌륭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정색하고 앉아 중국을 알고 싶다기보다 다양한 역사의 흐름을 읽어가며 중국이라는 '괴물‘의 몸통을 만져보고 싶은 사람들, 극장 문턱이 닳도록 드나들며 영화를 즐기는 이들에게도 좋은 동반자가 되어 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종희(지은이)

2008년 현재 충북대 중문과 강사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중국영화의 어제, 오늘, 내일>, <중국영화의 이해>(공저)가 있고, 옮긴 책으로 <중국영상문화의 이해>가 있다.

곽수경(지은이)

베이징사범대학교에서 <루쉰의 소설과 영화>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베이징영화아카데미와 중국영화예술연구소 석사과정에서 영화를 공부했다. 현재 동아대학교 국제학부에서 강의를 하면서 중국영화와 문화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연구논문으로 「상하이와 홍콩의 도시성격과 할리우드 수용-장아이링의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신시기 상하이영화와 여성형상-동화와 할리우드의 영향을 중심으로」, 「<적벽대전>의 할리우드 콤플렉스」, 「중국에서의 <대장금>현상의 배경과 시사점」 등 다수가 있다. 지은 책으로 『상하이영화와 상하이인의 정체성』(공저), 『20세기 상하이영화: 역사와 해제』(공저), 『영화로 만나는 현대중국』(공저) 등이 있고, 『이중톈 미학강의』, 『21세기 중국의 문화지도』(공역) 등을 번역했다.

박희성(지은이)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정책센터의 정책조사팀장이다. 부산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했다. 동국대학교에서 영화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01년에 영화진흥위원회에 입사해 정책연구팀에서 주로 중국과 아시아 지역의 영화 산업에 대한 보고서를 집필했다. 2006년 국제사업센터로 옮겨 중국과 아시아 지역 담당자로 일했으며, 글로벌마케팅팀장을 거쳤다. 2012년 8월 영화정책센터로 옮겨 정책조사팀장을 맡고 있다. 베이징영화대학(北京電影學院)에서 6개월 진수(進修) 과정을 수료했으며, 전주국제영화제의 중국 지역 코디네이터로 활동한 바 있다. 저서로 &lt;중국영화 산업백서Ⅰ&gt;(2001), &lt;아시아 태평양 지역 한국영화 진출현황연구&gt;(2003), &lt;WTO 가입 이후 중국영화 산업의 변화와 전망&gt;(2005), &lt;영화 분야 한류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gt;(2006) 등이 있다.

박언진(지은이)

상명대 중문과 강사이다. 박사학위 논문으로 「신시기 이전 중국의 영화 리얼리즘 : 이론과 실천」이 있다.

김수현(지은이)

2008년 현재 상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문지애(지은이)

영화진흥위원회 국제진흥팀에서 일하고 있다. 논문으로 「호금전과 장철이 중화권 액션영화에 끼친 영향력 연구」 등이 있다.

임대근(지은이)

한국과 중국, 아시아 여러 지역의 문화가 더욱 건강하고 활기차게 상호 교류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중국영화와 대중문화, 아시아에서의 한류, 21세기 문화콘텐츠, 문화정체성과 스토리텔링 등의 관심 분야를 중심으로 강의, 저술, 번역에 힘쓰고 있다. 『문화콘텐츠연구』, 『한류, 다음』(공저), 『세계의 영화 영화의 세계』(공저), 『한국영화의 역사와 미래』(공저) 등의 책을 지었다. 한국외대에서 중국어를 공부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중국영화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대 인제니움칼리지 교수이자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회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콘텐츠연구소 대표, 전주국제단편영화제 조직위원장, 한국문화콘텐츠비평협회 회장 등을 맡고 있다.

한국 중국현대문학학회(엮은이)

1985년에 창립되었으며, 중국현대문학과 문화를 연구하고 교육하는 국내외 500여 회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정기간행 학술지인 「중국현대문학」을 연 4회 발간해왔고, 100회를 넘는 국제 및 국내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문학뿐만 아니라 중국의 영화, 도시문화, 대중문화 등으로 연구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중국현대문학@문화' 시리즈를 내며 : 한국 중국현대문학학회 = 4
중국과 스크린에 관한 두 번째 이야기 / 임대근 = 6
1장 개념 : 중국영화의 둘레 / 임대근 = 15
 1. 영화와 국적 = 16
 2. 중국영화의 지역분화 현상 : '삼중국영화' = 22
 3. 중국과 영화를 둘레 지으려는 다양한 개념 = 26
  1) 중국어 영화 = 26
  2) 중국권 영화 = 29
  3) 화인영화 = 32
 4. 중국영화의 둘레에 관한 마무리 = 37
2장 역사 : 중국영화의 전통과 현재 / 이종희 = 39
 1. 중국영화 = 42
  1) 초창기 중국영화의 성장 = 42
  2) 좌익시기 중국영화의 새로운 경향 = 47
  3) 항전영화와 종전 이후의 리얼리즘 영화 = 51
  4) 사회주의 리얼리즘 : 신중국시기 영화 = 55
  5) 정치의 극대화 = 60
  6) '신시기'의 새로운 중국영화 = 61
  7) 상업화와 대중화시대를 맞이한 중국영화 = 68
  8) '국제화'의 길을 걷는 중국영화 = 73
 2. 홍콩영화 = 74
  1) 홍콩영화의 성장과 발전 = 74
  2) 세계시장을 향한 홍콩영화 = 77
  3) '현대화'를 향해 나아가는 홍콩영화 = 80
  4)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홍콩영화 = 84
 3. 타이완영화 = 87
  1) 식민지시대 초기 타이완영화 = 87
  2) 해방 후의 타이완영화 = 89
  3) 발전하는 타이완영화 = 92
  4) 타이완 신영화운동 이후 = 95
3장 세대 : 중국영화의 작가들 / 박언진 = 100
 1. 중국영화의 세대 구분 = 100
  1) 세대론의 발생과 유래 = 100
  2) 1990년대 영화문화의 소지형도 = 104
  3) 세대구분 = 110
 2. 세대별 영화론 = 116
  1) 대중문화, 상업영화와 영희 전통 = 116
  2) '나래주의'와 영화의 민족화 = 120
  3) 영화로 역사를 다시 쓰다 : '잊을 수 없는 1959년' = 126
  4) 큰 시대의 작은 이야기 : 〈청춘제〉 = 130
4장 장르 : 중국영화의 갈래들 / 임대근 = 134
 1. 장르와 영화 = 134
 2. 중국영화의 장르론 = 138
 3. 중국의 장르영화 = 144
  1) 연극영화 = 145
  2) 애니메이션 = 152
  3) 무협영화 = 157
 4. 홍콩누아르 = 164
5장 미학 : 중국영화의 스펙터클 / 김수현 = 171
 1. 영화를 향한 미학적 접근 = 171
 2. 초기 영화와 스펙터클 = 174
 3. 초기 중국영화와 스펙터클의 미학 = 178
 4. 현대 중국영화의 스펙터클 = 184
 5. 중국영화의 숙명 혹은 욕망 = 195
6장 산업과 정책 : 중국영화의 시장과 개혁개방 / 박희성 = 198
 1. 중화권 영화산업 및 정책의 특성 = 198
  1) 중국 :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 = 199
  2) 홍콩 : 동방의 할리우드 = 200
  3) 타이완 : 붕괴된 영화산업 = 202
 2. 잠재된 거대한 시장 중국 = 202
  1) 정책 : '개방'과 '폐쇄'의 경계선에 머뭇거리다 = 202
  2) 투자와 제작 : 관에서 민으로 중심축 이동 = 204
  3) 배급과 상영 : 배급과정 간소화와 민간배급사의 부상 = 207
  4) 수입과 수출 : 수입 독점체제 = 213
  5) 관객 특성 : 높은 관람료와 불법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 216
 3. 재기를 꿈꾸는 동방의 할리우드, 홍콩 = 217
  1) 투자와 제작 : 아시아 금융위기에 따른 침체 = 217
  2) 배급과 상영 : 불황 속에 대륙에 거는 희망 = 219
 4. 자국의 영화산업이 실종된 타이완 = 224
  1) 투자와 제작 : 정부보조금과 해외자본 = 224
  2) 배급과 상영 : 할리우드 영화의 절대적 우세 = 226
 5. 영화 한류와 한국과의 교류 현황 = 230
  1) 영화에서의 한류 = 230
  2) 한국과 교류 현황 = 232
 6. 중국 영화산업의 당면 과제와 전망 = 234
7장 문학과 영화 : 중국영화의 각색과 전환 / 곽수경 = 236
 1. 영화의 탄생과 문학의 결합 = 236
 2. 문학과 영화 = 241
  1) 문학과 영화의 교차점 = 241
  2) 각색 방법 = 245
 3. 중국 각색의 시기별 특징과 대표작 = 252
  1) 1930년대 이전 = 252
  2) 1930년대와 1940년대 = 256
  3) 1950년대와 1960년대 = 258
  4) 1980년대 이후 = 259
 4. 홍콩과 타이완의 문학과 영화 = 265
부록 = 272
본문의 주 = 304
참고문헌 = 31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책마을해리 (2022)
Page, Elliot (2023)
Page, Elliot (2023)
James, Chiabella (2023)
노만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