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거시경제학 제3판

거시경제학 제3판 (24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경수 박대근
서명 / 저자사항
거시경제학 = Macroeconomics / 김경수, 박대근.
판사항
제3판
발행사항
서울 :   博英社 ,   2008.  
형태사항
xx, 670 p. : 삽도 ; 27 cm.
ISBN
9788971895788
일반주기
부록 및 색인수록  
000 00569namccc200229 k 4500
001 000045431803
005 20100806070940
007 ta
008 080331s2008 ulka 001a kor
020 ▼a 9788971895788
040 ▼a 211009 ▼c 211009
082 0 4 ▼a 339 ▼2 22
090 ▼a 339 ▼b 2008z1
100 1 ▼a 김경수 ▼0 AUTH(211009)58097
245 1 0 ▼a 거시경제학 = ▼x Macroeconomics / ▼d 김경수, ▼e 박대근.
250 ▼a 제3판
260 ▼a 서울 : ▼b 博英社 , ▼c 2008.
300 ▼a xx, 670 p. : ▼b 삽도 ; ▼c 27 cm.
500 ▼a 부록 및 색인수록
700 1 ▼a 박대근 ▼0 AUTH(211009)5490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8z1 등록번호 11146496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8z1 등록번호 11146496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8z1 등록번호 1114664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8z1 등록번호 1115516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8z1 등록번호 1211973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9 2008z1 등록번호 1512564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8z1 등록번호 11146496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8z1 등록번호 11146496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8z1 등록번호 1114664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8z1 등록번호 1115516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8z1 등록번호 1211973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9 2008z1 등록번호 1512564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대근(지은이)

한양대학교 교수는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나와 한국과학기술원 경영공학 석사(1983.2)를 취득했으며, 미국 Harvard대학교(1989.5)에서 경제학 박사를 취득했다. 그 후 미국 뉴욕주립대학교(1989.9~1991.8) 경제학과 조교수로 재직한 후 현재까지 한양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거시경제학과 국제금융론을 강의하고 있으며, 국내외 학술지 및 학술서적에 거시, 금융, 국제금융 관련 연구논문을 기고했다. 주된 논문으로는 가계부채의 결정요인에 대한 패널자료 분석(경제연구, 2015), Population Aging and Financial Markets(Seoul Journal of Economics, 2007) 등이 있다. 제7대 한국국제금융학회 회장과 제 제41대 한국국제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김경수(지은이)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는 성균관대학교(1988.9~2019.2월)와 미 툴레인대학교(1984.5-1988.8월)에서 경제학 강의를 했으며 잠시 대학을 떠나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장(2007.3-2011.2월)으로 일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1978.2월)를 나와 미 펜실베이니아 대학교(1984.5월)에서 공부를 마쳤으며 국내외 학술지 및 학술서적에 60여 편의 거시, 금융, 국제경제학 관련 연구논문을 기고했다. 최근 International Capital Mobility and Structural Transformation (B.E. Journal of Macroeconomics, 공저 2018), 자본개방과 램지모형(경제학연구, 2019)을 발표했으며 교양도서 『빅픽쳐 경제학, 위험한 글로벌시대를 항해하는 기술』(들녘, 2020)을 출간했다. 제48대 한국경제학회 회장과 제22대 한국금융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Ⅰ부 거시경제학의 기초
 제1장 거시경제학이란? = 3
  1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 = 4
  2 거시경제학의 연구과제 = 6
  3 거시경제학의 관점 = 19
  4 거시경제학의 발전 = 24
 제2장 국민경제의 구조와 측정 = 35
  1 거시경제모형의 4부문 = 36
  2 국민경제의 순환모형 = 38
  3 국내총생산 = 44
  4 기타 국민소득의 개념 = 49
  5 국민소득계정과 항등식 = 52
  6 물가의 측정 = 58
  7 실업의 정의와 측정 = 61
  8 생산성 = 65
  부록 : 국민소득의 여러 가지 개념 = 68
제Ⅱ부 국민소득의 결정
 제3장 국민소득의 결정 = 81
  1 단순모형과 승수이론 = 82
  2 IS곡선-생산물시장의 균형조건 = 100
  3 LM곡선-화폐시장의 균형조건 = 104
  4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균형 = 112
 제4장 IS-LM모형과 거시경제정책 = 121
  1 재정정책 = 122
  2 통화정책 = 127
  3 정책결합 = 131
  4 인플레이션기대와 IS-LM 분석 = 134
 제5장 경제개방과 거시경제 = 147
  1 생산물시장의 개방과 실질환율 = 148
  2 개방경제에서의 생산물시장의 균형 = 155
  3 지출조정정책과 지출전환정책 = 161
  4 구매력평가와 실질환율 = 163
  부록 : 마샬-러너 조건의 도출 = 170
 제6장 국제자본이동과 거시경제 = 177
  1 자본자유화와 국제자본이동성 = 178
  2 이자율평가 = 182
  3 변동환율제도와 거시경제정책 = 185
  4 고정환율제도와 거시경제정책 = 193
  5 자본자유화와 외환위기 = 200
  6 신흥시장경제의 약진과 글로벌 불균형 = 204
  부록 : 환율결정모형 = 211
제Ⅲ부 국민소득과 물가
 제7장 총수요-총공급 모형 = 221
  1 일반균형모형의 필요성 = 222
  2 총수요곡선 = 223
  3 총공급곡선 = 227
  4 노동시장의 이해 = 231
  5 총공급곡선의 도출 = 238
  6 경제의 단기균형과 장기균형 = 245
  부록
   A. 노동공급곡선의 도출 = 252
   B. 고전학파 모형 = 255
 제8장 총공급곡선의 이해 = 269
  1 단기총공급곡선 = 270
  2 기대형성과 총공급곡선 = 282
 제9장 실업 = 293
  1 실업의 종류 = 294
  2 자연실업률 = 297
  3 실업과 경기변동 = 300
  4 비자발적 실업 = 306
  5 유럽의 동맥경화증 = 317
 제10장 인플레이션과 물가안정정책 = 323
  1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 324
  2 인플레이션의 비용 = 325
  3 필립스곡선 = 331
  4 물가안정정책 = 343
  부록 : 마크업 모형에 의한 필립스곡선의 도출 = 350
 제11장 경기안정정책 논쟁 = 357
  1 대공황과 거시경제정책 = 358
  2 거시경제정책 논쟁 = 361
  3 재량적 정책과 준칙에 의한 정책 = 366
  4 경기안정정책은 불필요한가? = 374
제Ⅳ부 개별 경제주체의 의사결정
 제12장 소비와 저축 = 383
  1 절대소득이론 = 384
  2 소비이론의 미시경제적 기초 = 386
  3 평생소득이론 = 397
  4 항상소득이론 = 399
  5 항상소득이론과 유동성 제약 = 402
  6 저축의 동기 = 410
  부록 : 소비의 임의보행 = 413
 제13장 투자 = 421
  1 투자의 형태와 경제적 역할 = 422
  2 자본의 한계효율이론 = 424
  3 자본의 사용자비용이론-신고전적 접근 = 428
  4 주택투자 = 435
  5 재고투자 = 438
 제14장 재정과 정부부채 = 447
  1 정부지출과 재정수입 = 448
  2 재정적자와 정부부채 = 452
  3 재정적자의 경제적 효과 = 458
  4 재정의 정치경제이론 = 462
  부록 : GDP대비 정부부채 비율 변화식의 도출 = 469
제Ⅴ부 화폐와 금융
 제15장 화폐수요와 공급 = 477
  1 왜 화폐가 중요한가? = 478
  2 화폐의 기능과 정의 = 481
  3 화폐의 공급 = 487
  4 통화정책 = 500
  5 화폐수요의 결정 = 516
  6 화폐수량설과 화폐의 유통속도 = 526
 제16장 금융시장 = 537
  1 금융시장과 금융기관 = 538
  2 채권과 수익률곡선 = 544
  3 주식시장과 주가 = 552
  4 주가와 거품 = 556
제Ⅵ부 장기 경제성장
 제17장 경제성장 = 565
  1 신고전적 성장이론 = 566
  2 자본의 신개념 = 585
  3 내생적 성장이론 = 590
  4 경제성장의 요인 = 593
  5 한국경제의 성장 과제 = 598
  부록 : 수렴속도의 문제 = 604
제Ⅶ부 새로운 아이디어
 제18장 경기변동과 거시경제학의 신조류 = 613
  1 화폐적 균형경기변동론 = 614
  2 실물적 경기변동론 = 618
  3 새 케인즈학파와 메뉴비용모형 = 638
  부록 : 2기간실물적 경기변동모형 = 643
찾아보기 = 65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