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거시경제학 제5판

거시경제학 제5판 (5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명재
서명 / 저자사항
거시경제학 / 이명재 지음.
판사항
제5판
발행사항
서울 :   博英社 ,   2007.  
형태사항
xxi, 502 p. : 삽도 ; 26 cm.
ISBN
9788971895269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614camccc200241 k 4500
001 000045431294
005 20100806070147
007 ta
008 070302s2007 ulka h001c kor
020 ▼a 9788971895269 ▼g 93320
035 ▼a (KERIS)BIB000010848811
040 ▼d 211046 ▼d 211046 ▼d 211035 ▼d 211009
082 0 4 ▼a 339 ▼2 22
090 ▼a 339 ▼b 2007f1
100 1 ▼a 이명재 ▼0 AUTH(211009)94674
245 1 0 ▼a 거시경제학 / ▼d 이명재 지음.
246 0 1 ▼a Macro economics
250 ▼a 제5판
260 ▼a 서울 : ▼b 博英社 , ▼c 2007.
300 ▼a xxi, 502 p. : ▼b 삽도 ; ▼c 26 cm.
500 ▼a 색인수록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7f1 등록번호 1114610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7f1 등록번호 1114610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39 2007f1 등록번호 1512615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7f1 등록번호 1114610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7f1 등록번호 1114610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39 2007f1 등록번호 1512615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제5판에서는 독자들이 거시경제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보다 명확하고 쉽게 이해하도록 간결하고 평이하게 서술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주요변경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시경제모형의 구성과 정책효과의 설명에서 AD/AS분석에 초점을 두어 직관적인 방법으로 설명으로써 IS/LM 모형에 기초한 설명의 비중을 대폭 줄였다.
둘째, 다소 난해하거나 학부수준을 넘는다고 지적받은 내용을 과감히 수정하거나 보론으로 옮겼다. 예를 들어 제4장의 본문 중에서 ‘IS/LM곡선의 기울기와 관련된 정책효과’에 대한 논의는 보론으로 옮겼으며, 제8장의 개방경제론에서‘특수한 형태의 BP곡선과 관련된 논의’도 보론으로 이동하였다. 그리고 제15장 인플레이션의 보론이었던 ’동태적 균형과 조정과정‘ 및 제17장 경제성장이론의 보론이었던 ’내생적 성장이론‘은 삭제하였다.
셋째, 제17장 경제성장이론의 서술을 대폭 수정하였다. 4판에서는 처음부터 기술진보를 전제한 성장모형으로 설명을 시작하였다. 기술진보가 있는 성장모형에서 기술진보가 없다고 가정하면 기술진보가 없을 때의 성장모형이 되기 때문에 일반성이 있다고 생각해서였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방법은 오히려 난해하여 이해하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았다. 따라서 기술진보가 없는 성장모형에 대하여 먼저 논의하고 뒤이어 기술진보를 고려한 성장모형으로 발전시키는 방법으로 수정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명재(지은이)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물리학과(이학사)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경영학석사)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Michihan State Uninersity) 대학원(경제학박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원 국제경제연구원, 산업연구원 수석연구원 현재 부산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 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거시경제학의 과제와 이론구성
 제1장 거시경제학과 거시경제변수
   1.1 거시경제학의 과제와 한계 = 5
   1. 거시경제학의 과제 = 5
   2. 거시경제학의 한계 = 6
   3. 본서의 구성 = 7
  1.2 주요 거시경제변수 = 9
   1. 국내총생산 = 9
   2. 물가 = 21
   3. 고용과 실업 = 25
   4. 임금 = 31
   5. 이자율 = 33
 제2장 거시경제의 구조와 이론구성
  2.1 거시경제의 기본구조 = 39
   1. 경제주체와 시장 = 39
   2. 거시경제의 순환 = 40
  2.2 거시경제이론의 발전과 AD-AS모형 = 44
   1. 거시경제이론의 발전 = 44
   2. 거시경제모형 = 47
   3. AD-AS모형 = 48
제2편 거시경제의 일반균형
 제3장 거시경제의 공급측면
  3.1 생산함수와 노동시장 = 57
   1. 생산함수 = 57
   2. 노동수요함수 = 58
   3. 노동공급함수 = 62
  3.2 총공급곡선 = 68
   1. 노동시장의 균형과 총공급곡선 = 68
   2. 장기분석과 단기분석 = 69
   3. 장기총공급곡선 = 71
   4. 단기총공급곡선 = 74
 제4장 거시경제의 수요측면
  4.1 총수요의 구성부문과 물가변화의 파급경로 = 79
   1. 총수요의 구성부문 = 79
   2. 물가변화의 파급경로 = 88
  4.2 생산물시장과 IS곡선 = 89
   1. IS곡선의 정의 = 89
   2. IS곡선의 이동 = 90
  4.3 화폐시장과 LM곡선 = 93
   1. 화폐의 공급과 수요 = 93
   2. LM곡선의 정의 = 95
   3. LM곡선의 이동 = 96
  4.4 총수요곡선 = 98
   1. 총수요곡선의 도출 = 98
   2. 총수요곡선의 이동 = 100
  [보론] IS/LM곡선의 기울기와 총수요곡선의 이동 = 107
 제5장 거시경제의 균형과 정책효과
  5.1 거시경제의 일반균형 = 117
   1. 일반균형의 완결성 = 117
   2. 단기균형과 장기균형 = 119
  5.2 총수요관리정책 = 121
   1. 정부지출정책 = 121
   2. 조세정책 = 126
   3. 통화정책 = 130
   4. 자산효과 = 134
  5.3 공급측면의 정책 = 139
   1. 공급측면의 충격 = 139
   2. 소득정책 = 140
   3. 노동생산성의 변화 = 142
  5.4 경제정책과 관련한 제 문제 = 147
   1. 정책시차 = 147
   2. 정책효과의 불확실성 = 148
   3. 틴버겐의 원리와 정책배합 = 150
제3편 거시경제학의 발전과 개방경제론
 제6장 거시경제학의 역사적 발전
  6.1 고전학파 = 161
   1. 고전학파의 혁명 = 161
   2. 총공급과 잠재GDP = 163
   3. 화폐수량설과 총수요 = 164
   4. 일반균형과 정책효과 = 168
  6.2 케인즈학파 = 174
   1. 케인즈혁명 = 174
   2. 가격변수의 경직성과 비청산균형 = 177
   3. 케인즈와 유효수요이론 = 179
   4. 유효수요모형(1) = 181
   5. 유효수요모형(2) = 191
  6.3 통화학파 = 200
   1. 등장배경과 주요명제 = 200
   2. 적응적 예상가설과 총공급 = 202
   3. 신화폐수량설과 총수요 = 205
   4. 일반균형과 정책효과 = 207
   5. 통화정책의 지표와 준칙 = 209
  6.4 공급경제학 = 212
   1. 등장배경과 주요내용 = 212
   2. 조세율변화의 경제적 효과 = 214
   3. 레퍼곡선 = 217
 제7장 새고전학파와 새케인즈학파
  7.1 새고전학파 = 221
   1. 등장배경과 주요명제 = 221
   2. 예상가설에 대한 비판과 합리적 예상가설 = 223
   3. 일반균형과 정책효과 = 226
  7.2 새케인즈학파 = 234
   1. 등장배경과 주요특징 = 234
   2. 복수균형과 거시경제적 외부효과 = 236
   3. 가격변수의 경직성에 대한 이론 = 239
  [보론] 새고전학파이론의 수리모형 = 250
 제8장 개방경제론
  8.1 개방경제분석의 기초 = 257
   1. 새로운 경제변수와 시장 = 257
   2. 개방경제의 GDP항등식과 균형조건식 = 266
  8.2 유효수요모형과 종합균형 = 269
   1. IS/LM곡선과 대내균형 = 269
   2. 대외균형과 BP곡선 = 272
   3. 개방경제의 종합균형 = 275
  8.3 재정-통화정책 = 276
   1. 고정환율제도 = 276
   2. 변동환율제도 = 279
   3. 재정-통화정책의 상대적 효율성 = 282
  [보론] 특수한 BP곡선과 정책효과 = 284
제4편 개별함수의 미시이론적 기초
 제9장 소비함수
  9.1 케인즈의 소비이론과 실증분석 = 297
   1. 케인즈의 소비이론 = 297
   2. 쿠즈네츠의 실증분석 = 299
  9.2 소비함수의 이론적 기초 = 302
   1. 소비자선택이론 = 302
   2. 유동성제약 = 307
  9.3 소비에 관한 이론 = 309
   1. 항상소득가설 = 309
   2. 일생주기가설 = 312
   3. 상대소득가설 = 315
 제10장 투자함수
  10.1 투자의 역할과 이론의 다양성 = 312
   1. 투자의 역할 = 312
   2. 투자이론의 다양성 = 312
  10.2 투자에 관한 제 이론 = 324
   1. 현재가치법과 한계효율법 = 324
   2. 가속도이론 = 327
   3. 사용자비용접근법 = 330
   4. 토빈의 q이론 = 332
 제11장 화폐수요함수
  11.1 화폐의 기능과 화폐수요이론의 발전 = 337
   1. 화폐의 기능 = 337
   2. 화폐수요이론의 발전 = 338
  11.2 화폐수요에 관한 제 이론 = 342
   1. 고전학파의 이론 = 342
   2. 케인즈의 유동성선호이론 = 343
   3. 재고이론적 접근 = 348
   4. 자산선택이론 = 352
   5. 프리드만의 이론 = 358
  11.3 화폐수요의 불안정성과 새로운 통화지표의 모색 = 361
   1. 화폐수요의 불안정성 = 361
   2. 새로운 통화지표의 모색 = 362
 제12장 화폐의 공급
  12.1 금융기관과 통화지표 = 367
   1. 금융기관 = 367
   2. 통화지표 = 369
  12.2 통화량의 결정과 조정 = 370
   1. 본원통화의 공급 = 370
   2. 예금통화의 창출 = 373
   3. 통화량의 결정 = 373
   4. 통화량의 조정방법 = 375
   5. 통화량의 내생성 = 377
 제13장 정부부문
  13.1 정부재정과 예산제약 = 383
   1. 정부재정 = 383
   2. 재정의 예산제약 = 383
  13.2 재정적자와 관련한 문제 = 386
   1. 리카도의 등가정리 = 386
   2. 균형재정의 적절성 = 389
제5편 거시경제의 동태분석
 제14장 동태분석의 기초
  14.1 동태분석과 경제변수의 시간적 변화경로 = 395
   1. 정태분석파 동태분석 = 395
   2. 경제변수의 시간적 변화경로 = 396
  14.2 동태분석과 동태적 균형 = 400
   1. 거시경제의 동태분석 = 400
   2. 동태적 균형 = 401
 제15장 인플레이션과 필립스곡선
  15.1 인플레이션 = 407
   1. 인플레이션의 측정 = 407
   2. 인플레이션의 경제적 비용 = 408
   3. 인플레이션의 원인 = 410
  15.2 필립스곡선 = 417
   1. 필립스곡선의 발견 = 417
   2. 예상이 도입된 필립스곡선 = 421
 제16장 경기변동
  16.1 경기변동의 특징과 이론의 발전 = 429
   1. 경기변동의 의미 = 429
   2. 국면분류와 주기 = 429
   3. 경기변동의 특성 = 433
   4. 경기변동이론의 발전 = 436
  16.2 케인즈학파적 경기변동이론 = 437
   1. 승수-가속도이론 = 437
   2. 새케인즈학파의 관점 = 442
  16.3 고전학파적 경기변동이론 = 443
   1. 화폐적 경기변동이론 = 443
   2. 실물적 경기변동이론 = 444
 제17장 경제성장
  17.1 경제성장이론의 발전과 경제성장의 전형적 현상 = 451
   1. 경제성장이론의 발전 = 451
   2. 경제성장의 전형적 현상 = 453
  17.2 솔로우의 성장모형 = 455
   1. 집약형 생산함수 = 455
   2. 기본가정 = 458
   3. 경제성장의 기본방정식 = 460
   4. 균제성장경로 = 461
   5. 균제성장경로의 변화 = 464
   6. 자본축적의 황금률 = 468
   7. 경제성장의 수렴가설 = 471
  17.3 기술진보와 경제성장 = 474
   1. 기술진보의 성장기여도 = 474
   2. 기술진보와 집약형 생산함수 = 476
   3. 기술진보를 도입한 성장모형 = 478
  17.4 솔로우 성장모형에 대한 평가 = 483
   1. 총수요의 문제 = 483
   2. 기술진보의 외생성 문제 = 484
  [보론] 해로드-도마의 성장이론 = 486
색인 = 49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