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870camccc200289 k 4500 | |
001 | 000045431217 | |
005 | 20100806070009 | |
007 | ta | |
008 | 060410s2005 ulka b 000c kor | |
035 | ▼a (KERIS)BIB000010335709 | |
040 | ▼a 242003 ▼d 211009 | |
041 | 0 | ▼a kor ▼a eng |
082 | 0 4 | ▼a 378.013 ▼a 331.2592 ▼2 22 |
090 | ▼a 378.013 ▼b 2005 | |
100 | 1 | ▼a 이종선 ▼0 AUTH(211009)9824 |
245 | 1 0 | ▼a 고등교육과 HRD 중심 산학협력 / ▼d 이종선, ▼e 주용국. |
260 | ▼a 서울 : ▼b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c 2005. | |
300 | ▼a xxv, 243 p. : ▼b 삽도 ; ▼c 24 cm. | |
490 | 1 0 | ▼a 정책연구 ; ▼v 2005-10-1 |
500 | ▼a 부록 : 1, 4년제 대학교 산학협력교육 실태조사. - 2, 산업체 산학협력교육의 실태조사 | |
504 | ▼a 참고문헌: p. 239-243 | |
700 | 1 | ▼a 주용국 ▼0 AUTH(211009)44036 |
710 | ▼a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
830 | 0 | ▼a 정책연구(한국직업능력개발원) ; ▼v 2005-10-1 |
910 | ▼a KRIVET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2/ | Call Number 378.013 2005 | Accession No. 1114634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78.013 2005 | Accession No. 15125580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2/ | Call Number 378.013 2005 | Accession No. 1114634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78.013 2005 | Accession No. 15125580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 7 1. 연구의 내용 = 7 2. 연구의 방법 = 7 제2장 신산학협력 정책 및 법령 제1절 인적자원개발중심의 신산학협력 = 11 1. 신산학협력의 의미 = 11 2. 신산학협력의 정책영역과 인적자원개발 = 14 제2절 신산학협력 관계 법령 = 18 1. 신산학협력 관계 법령 = 18 2. 분석 및 시사점 = 27 제3절 신산학협력 정책사업 현황 = 31 1. 산학협력단 운영 = 31 2. 신산학협력 확산사업 현황 = 32 제4절 신산학협력 정책 성과와 문제점 = 41 1. 신산학협력 정책의 성과 = 41 2. 신산학협력 정책의 문제점 = 43 제3장 국내ㆍ외 산학협력 사례 제1절 해외 사례 = 47 1. 미국의 UCSD CONNECT 프로그램 = 47 2. 캐나다 워털루 대학의 Co-op 프로그램 = 52 3. 스웨덴의 적극적 산학연 연계활동: 첨단과학기술단지 = 58 4. 핀란드의 산학협력 프로그램: 사이언스 파크(Science Park)과 인큐베이터 네트워킹 = 64 5. 중국 칭화대의 교판기업과 국가기술이전센터 = 71 제2절 국내 사례 = 75 1. 경북대 현장실습(샌드위치) 교육과정 = 76 2. 성균관대의 Co-op 프로그램 = 80 3. 한국산업기술대학교의 엔지니어링하우스 = 84 4. 고려대ㆍLG전자 맞춤식 교육과정: LG Track = 91 제3절 국내ㆍ외 사례의 시사점 = 96 제4장 대학 및 산업체의 산학협력 실태 제1절 조사 개요 = 101 1. 설문조사 설계 = 102 2. 조사 내용 = 103 3. 조사 진행절차 = 105 제2절 대학의 산학협력 실태 = 108 1. 산학협력 인프라 현황 = 108 2. 산학협력의 인식과 참가 수준 = 111 3.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추진 실태 및 효과 = 114 4. 산학협력의 성과와 문제점 = 136 제3절 산업체의 산학협력 실태 = 141 1. 산학협력 인프라 구축 현황 = 141 2. 산학협력의 인식과 참가수준 = 144 3.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실태 및 효과 = 150 4. 산학협력의 성과 및 문제점 = 162 제4절 분석과 시사점 = 167 1. 산학협력 인프라 현황 = 167 2. 산학협력의 인식과 참가 수준 = 169 3.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추진 실태 및 효과 = 172 4. 산학협력의 성과와 문제점 = 175 5. 산학협력 강화방안 및 효과 = 178 제5장 대학 산학협력체제 혁신 방안 제1절 산학협력체제 혁신 방향 = 181 제2절 인적자원개발 중심의 신산학협력 체제 = 186 1. 인적자원개발 중심의 신산학협력 모형 = 186 2. 인적자원개발 중심 산학협력체제 구축: 행위자별ㆍ수준별 정책 = 191 제3절 창의적 인재육성과 신산학협력 구체화 방안 = 198 1. 창의적 인재육성을 위한 혁신방안 = 198 2. 신산학협력 활성화 정책 방안 = 207 SUMMARY = 213 〈부록 1〉 4년제 대학교 산학협력교육의 실태조사 = 223 〈부록 2〉 산업체 산학협력교육의 실태조사 = 231 참고문헌 =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