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法哲學의 根本問題 제2판

法哲學의 根本問題 제2판 (5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영환 , 1953-
서명 / 저자사항
法哲學의 根本問題 / 金永煥 著.
판사항
제2판
발행사항
서울 :   弘文社 ,   2008.  
형태사항
xxii, 509 p. ; 25 cm.
총서사항
HY cases & materials book series
ISBN
9788977702097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621camccc200241 k 4500
001 000045431091
005 20100806065901
007 ta
008 080310s2008 ulk 001c kor
020 ▼a 9788977702097 ▼g 93360
035 ▼a (KERIS)BIB000011227811
040 ▼a 211041 ▼d 211009
082 0 4 ▼a 340.1 ▼2 22
090 ▼a 340.1 ▼b 2008
100 1 ▼a 김영환 , ▼d 1953- ▼0 AUTH(211009)36577
245 1 0 ▼a 法哲學의 根本問題 / ▼d 金永煥 著.
250 ▼a 제2판
260 ▼a 서울 : ▼b 弘文社 , ▼c 2008.
300 ▼a xxii, 509 p. ; ▼c 25 cm.
490 0 0 ▼a HY cases & materials book series
500 ▼a 색인수록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8 등록번호 1114643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8 등록번호 1114643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0.1 2008 등록번호 1512566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8 등록번호 1114643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8 등록번호 1114643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0.1 2008 등록번호 1512566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영환(지은이)

[약 력] ∙ 한양대학교 법대 졸업 ∙ 한양대학교 법대 대학원(형사법전공) ∙ 前 한림법학원, 합격의 법학원 사법시험, 변호사시험 형사소송법 강의 ∙ 前 경단기, 경찰간부 형사소송법 강의 ∙ 現 서울법학원, 법무사시험 및 법원사무관 등 형사소송법 강의 ∙ 現 베리타스 변호사시험 형사소송법 강의 ∙ 한대 등 고시반 특강 [주요저서] ∙ 형사소송법 Blackbox(학연, 2022) ∙ Rainbow 변시기출ㆍ모의해설 형사소송법 선택형(학연, 2023) ∙ Rainbow 변시 기출해설 형사법 사례형(학연, 2023) ∙ Rainbow 변시 모의해설 형사법 사례형(학연, 2023) ∙ Rainbow 핵심OX 형사소송법(학연, 2023) ∙ 2024 대비 변사기 형사소송법 사례연습(학연, 2023. 2.) ∙ 2024 대비 작은 변사기 형사소송법(학연, 2023. 2.)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법철학
 제1장 법의 개념 = 3
  1 법개념을 둘러 싼 논의의 구조 = 3
   Ⅰ. 서론 = 3
   Ⅱ. 자연법적 견해 = 4
   Ⅲ. 법실증주의적 견해 = 4
   Ⅳ. 소결 = 5
  2 법실증주의적인 법개념 = 5
   Ⅰ. 문제사례 1: "법의 사실성": 검찰의 5ㆍ18 불기소 처분(서울지방검찰청, 국방부검찰부, 5ㆍ18관련 사건 수사 결과 발표문, 1995.7.18.) = 5
   Ⅱ. 문제사례 2: "법의 실정성": 이완용손자재산환수사건(서울고법 1997.7.25. 선고 92나23638) = 7
   Ⅲ.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8
  3 자연법적 법개념 = 10
   Ⅰ. 문제사례 3: "법의 도덕성"("법원으로서의 자연법"): 구동독 국경수비대 사건(BGH, Urt. v. 3.11. 1992) = 10
   Ⅱ. 문제사례 4: "법의 도덕성"("해석상의 자연법"): 이재극 부동산에 관한 판결(서울지법 2001.1.16. 선고 99가합30782) = 12
   Ⅲ.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14
  4 법개념의 분석: 소위 "결합명제"와 "분리명제" = 16
   Ⅰ. 결합명제: 자연법적 논거 = 16
   Ⅱ. 분리명제: 법실증주의의 논거 = 18
   Ⅲ. 올바른 법개념의 모색 = 20
  5 개별적인 법개념들 = 21
   Ⅰ. 하트의 법개념 = 21
   Ⅱ. 드워킨의 법개념 = 23
  6 법의 개념에 관한 논의의 진행과정 = 27
   Ⅰ. 서론 = 27
   Ⅱ. 논의의 현황 = 27
   Ⅲ. 맺음말 = 36
  사례풀이 = 37
   Ⅰ. 문제 = 37
   Ⅱ. 풀이 = 37
 제2장 법의 이념 = 40
  7 법이념의 개념적인 틀 = 41
  8 개별적인 법이념 : 정의 = 42
   Ⅰ. 문제사례 1: 평등으로서의 정의(헌법재판소 2002.9.19. 2000헌바84 전원재판부) = 42
   Ⅱ. 문제사례 2: 차별대우로서의 정의(헌법재판소 1999.12.23. 98헌마363 전원재판부) = 45
   Ⅲ. 문제사례 3: 소위 "평균적 정의"에 관하여(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 2003.11.27. 2002헌바24 전원재판부) = 48
   Ⅳ. 문제사례 4: "배분적 정의"에 관하여(헌법재판소 2001.6.28. 99헌바32 전원재판부) = 50
   Ⅴ.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50
  9 개별적인 법이념: 합목적성 = 54
   Ⅰ. 문제사례 1: 행정행위의 합목적성(대법원 1984.7.24. 선고 84다카597) = 54
   Ⅱ. 문제사례 2: 도로교통법상의 합목적성(헌법재판소 1997.3.27. 96 헌가 11 전원재판부) = 56
   Ⅲ. 문제사례 3: 자동차운송사업한정면허처분(대법원 2001.1.19. 선고 99두3812) = 58
   Ⅳ.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59
  10 개별적인 법이념: 법적 안정성 = 60
   Ⅰ. 문제사례 1: 명확성으로서의 법적안정성(헌법재판소 2002.7.18 2000헌바57 전원재판부) = 60
   Ⅱ. 문제사례 2: 신뢰보호로서의 법적 안정성(헌법재판소 1999.7.22. 97헌바76, 98헌바50ㆍ51ㆍ52ㆍ54ㆍ55) = 63
   Ⅲ.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66
  11 법의 이념의 분석 = 68
   Ⅰ. 머리말 = 68
   Ⅱ. 정의 = 68
   Ⅲ. 합목적성 = 71
   Ⅳ. 법적 안정성 = 74
  12 법이념 간의 갈등 = 75
   Ⅰ. 문제사례 1: 정의와 법적 안정성의 충돌(헌법재판소 1996.2.16. 96헌가2, 95헌바7, 96헌바13 전원재판부) = 76
   Ⅱ. 문제사례 2: 정의와 합목적성 간의 대립 1(헌법재판소 1992.4.28. 90헌바24) = 82
   Ⅲ. 문제사례 3: 정의와 합목적성 간의 대립 2(헌법재판소 2000.6.1. 97헌바74 전원재판부) = 85
   Ⅳ. 문제사례 4: 법적 안정성과 합목적성 간의 대립(헌법재판소 2001.12.20. 2001헌바7014) = 87
   Ⅴ.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89
  13 법이념들 사이의 긴장관계 = 93
   Ⅰ. 정의와 법적 안정성의 충돌 = 93
   Ⅱ. 정의와 합목적성 간의 충돌 = 96
   Ⅲ. 한편으로 정의와 합목적성과 다른 한편 법적 안정성간의 충돌 = 97
  14 정의론의 발달과정 = 98
   Ⅰ. 고대 = 98
   Ⅱ. 중세 = 100
   Ⅲ. 근대 = 102
   Ⅳ. 현대 = 105
  15 절차적 정의론 = 109
   Ⅰ. 머리말 = 109
   Ⅱ. 존 롤즈의 정의론 = 110
   Ⅲ. 하버마스의 보편적 실용론과 절차적 정의 = 112
  사례풀이 = 115
  Ⅰ. 문제 = 115
  Ⅱ. 풀이 = 116
 제3장 법의 효력 = 118
  16 법효력에 관한 논의의 위치 및 개념적 범주 = 118
   Ⅰ. 논의의 위치 = 118
   Ⅱ. 개념적 범주 = 119
  17 법의 효력요소들의 충돌 = 120
   Ⅰ. 문제사례 1: 정당성과 합법성의 충돌 1(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 2001.2.22. 2000헌바38) = 120
   Ⅱ. 문제사례 2: 정당성과 합법성의 충돌 2(대법원 1995.6.16. 선고 94누12159) = 122
   Ⅲ. 문제사례 3: 정당성과 실효성의 모순 1(헌법재판소 2003.9.25. 2003헌바16 전원재판부) = 124
   Ⅳ. 문제사례 4: 정당성과 실효성의 모순 2(헌법재판소 1998.3.26. 96헌가20) = 126
   Ⅴ.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128
  18 법효력에 관한 종합적 검토 = 130
   Ⅰ. 법효력의 개념 = 130
   Ⅱ. 법효력에 관한 세 가지의 언어관용 = 132
   Ⅲ. 법효력의 근거 = 134
   Ⅳ. 올바른 효력개념 = 144
  19 시민불복종 = 145
   Ⅰ. 문제사례 1: 공직선거및 선거부정방지법 등 위헌확인(헌법재판소 2001.8.30. 2000헌마121) = 145
   Ⅱ. 문제사례 2: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위반(대법원 2004.4.27. 2002도315) = 147
   Ⅲ.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149
  20 시민불복종의 개념과 정당화 = 151
   Ⅰ. 문제제기 = 151
   Ⅱ. 시민불복종의 개념 = 152
   Ⅲ. 시민불복종과 구별되어야 할 개념 = 155
   Ⅳ. 시민불복종의 정당화 = 156
   Ⅴ. 시민불복종의 법적인 처리가능성 = 160
  사례풀이 = 163
   Ⅰ. 문제 = 163
   Ⅱ. 풀이 = 164
 제4장 법과 도덕 = 166
  21 개념적인 범주 = 166
   Ⅰ. 개념적인 분류방식 = 166
   Ⅱ. 법과 도덕의 관계 = 167
   Ⅲ. 법에 대한 도덕의 최소한의 기준 = 167
  22 법과 도덕의 관계에 관한 개별적인 사례들 = 168
   Ⅰ. 문제판례 1: 존속에 대한 형가중(헌법재판소 2002.3.28. 2000헌바53) = 168
   Ⅱ. 문제사례 2: 간통죄의 위헌여부(헌법재판소 1990.3.10. 89헌마82) = 171
   Ⅲ.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182
  23 법과 도덕 = 188
   Ⅰ. 한계설정들 = 188
   Ⅱ. 법과 도덕의 양극성 = 188
   Ⅲ. 사회적 행동의 유사한 규칙들과의 관계 = 192
   Ⅳ. 법과 도덕 간의 가치평가의 모순들 = 194
   Ⅴ. 부수성의 원리 = 196
  24 가치평가의 모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의 "법으로부터 자유로운 영역" = 197
   Ⅰ. 문제제기 = 197
   Ⅱ. 법으로부터 자유로운 영역: 법적으로 규율되어 있지만, 그러나 법적으로 평가되지 않은 = 198
   Ⅲ. 합법적인가 혹은 위법한가: 제3의 영역? = 199
   Ⅳ. 해결시도들 = 200
   Ⅴ. 제3의 길: "금지되지도 허용되지도 않은" = 202
  문제사례 = 203
   Ⅰ. 사례 = 203
   Ⅱ. 소위 "착한 사마리아인법" = 204
   Ⅲ. 입법안에 대해 = 204
 제5장 위험사회에서의 법철학 = 206
  25 개별적인 논의에 필요한 개념적 범주들 = 206
   Ⅰ. "위험사회"에서의 논의의 틀 = 206
   Ⅱ. 자연(특히 동물)의 권리 = 207
   Ⅲ. 생명공학 = 208
  26 위험사회에서의 형법적인 대응책 = 209
   Ⅰ. 문제제기 = 209
   Ⅱ. 위험사회에서의 형법의 특징 = 210
   Ⅲ. 위험사회에 대한 형법적인 대응책의 문제점 = 212
   Ⅳ. 위험사회에 대한 형법적 대안들 = 214
   Ⅴ. 필자의 대안 = 217
  27 자연의 권리는 있는가? = 221
   Ⅰ. 서론: 법철학의 과제 = 221
   Ⅱ. 인간중심적인 사고, 도덕확장주의, 생태(생명)중심주의 = 222
   Ⅲ. 인간과 동물의 구분: 유추존재론 = 224
   Ⅳ. 동물실험 = 226
   Ⅴ. 동물의 권리와 남겨진 문제들 = 227
  28 생명공학 = 225
   Ⅰ. 생명과학기술의 혁명 = 228
   Ⅱ. 기술과 윤리 = 228
   Ⅲ. 생명윤리의 기초 = 229
   Ⅳ.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이성적 논증 = 231
제2부 법학방법론
 제6장 법학방법론 = 239
  29 법학방법론의 전반적인 체계 = 240
   Ⅰ. 법발견과 법형성의 상호관계: 허용되는 해석과 금지되는 유추 = 240
   Ⅱ. "법문언의 가능한 의미"라는 기준의 문제점 = 241
   Ⅲ. "해석"의 종류로서의 "축소해석"과 "확장해석" = 242
   Ⅳ. 법의 흠결의 종류: "명시적인 흠결"과 "은폐된 흠결" = 243
   Ⅴ. 법의 흠결의 보충방법과 그 정당화 문제: "유추"와 "목적론적 축소" = 244
 제7장 법적용의 과정 = 246
  30 연역적인 모델 = 246
   Ⅰ. 문제되는 사례 = 246
   Ⅱ. 전반적인 구조 = 247
   Ⅲ. 구체적인 법적용: 3번의 포섭절차 = 250
   Ⅳ. 연역적 모델에 의한 법의 해석과 적용과정 = 252
  31 해석학적 모델 = 252
   Ⅰ. 문제제기 = 252
   Ⅱ. 문제사례: 염산이 독일형법 제250조 제1항 제1호의 "무기"인가?(독일연방법원 형사판례집 제1권, 1면 이하) = 253
   Ⅲ. "동일화"과정 = 256
 제8장 법의 해석 = 260
  32 법의 해석기준 = 260
   Ⅰ. 문제사례 1: 문리적 해석기준(대법원 2003.5.13 선고 2003도1178) = 260
   Ⅱ. 문제사례 2: 체계적 해석기준[헌법재판소 2004.8.26. 2003헌바85, 102(병합) 전원재판부] = 261
   Ⅲ. 문제사례 3: 역사적 해석기준(대법원 2004.11.12. 선고 2004도5257) = 263
   Ⅳ. 문제사례 4: 목적론적 해석기준(대법원 1997.5.30. 선고 97도597) = 264
   Ⅴ.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265
  33 법의 해석기준에 관한 종합적 검토 = 267
   Ⅰ. 네 가지 해석기준 = 267
   Ⅱ. 해석기준의 선호관계 = 275
  34 객관적 해석론과 주관적 해석론 = 277
   Ⅰ. 문제사례 1: 객관적 해석론(대법원 1998.4.23. 선고 95다36466 전원합의체) = 277
   Ⅱ. 문제사례 2: 주관적 해석론과 객관적 해석론의 대립(대법원 2004. 11.18. 선고 2004도1228 전원합의체) = 280
   Ⅲ. 법철학적 의의 및 문제점 = 282
  35 객관적 해석론과 주관적 해석론의 대립 = 284
   Ⅰ. 객관적 해석이론과 주관적 해석이론의 전반적인 구도 = 284
   Ⅱ. 두 이론에 대한 비판 = 285
   Ⅲ. 절충설 = 286
 제9장 법의 흠결의 보충 = 288
  36 법흠결과 흠결보충에 관한 개념적인 범주 = 288
   Ⅰ. 법의 흠결 = 288
   Ⅱ. 흠결보충의 방식 = 290
  37 유추에 의한 법흠결의 보충 = 293
   Ⅰ. 문제사례: 대법원 1994.12.20. 선고, 94모32 전원합의체결정 = 293
   Ⅱ. 판례의 평석 = 296
  38 목적론적 축소해석에 의한 법흠결의 보충 = 306
   Ⅰ. 문제사례: 대법원 1997.3.20. 96도1167 전원합의체 판결 = 306
   Ⅱ. 대상판결의 방법론적 문제점 = 311
   Ⅲ. 여론: 대상 판결의 형법해석상의 문제점 = 317
  39 법원리 등에 의한 흠결의 보충 = 319
   Ⅰ. 문제사례: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제국법원 판례(RGSt 61, 242) = 319
   Ⅱ. 평석 = 324
 제10장 개별적인 문제들 = 327
  40 법적 논증이론의 전개과정과 그 실천적 의의 = 327
   Ⅰ. 법적 논증이론의 생성원인 = 327
   Ⅱ. 법적 논증이론의 개념규정: 법학방법론과의 구별 = 330
   Ⅲ. 개별적인 형태 1: 논리-분석적인 접근방식 = 332
   Ⅳ. 개별적인 형태 2: 문제변증적-수사학적인 접근방식 = 341
   Ⅴ. 개별적인 형태 3: 논증이론적인 접근방식 = 345
   Ⅵ. 개별적인 형태 4: 다원적인 접근방식 = 356
   Ⅶ. 개별적인 형태 5: 경험적인 접근방식 = 360
   Ⅷ. 법적 논증이론의 실천적 의의 = 362
  41 개념법학적인 사유형태와 일반조항에로의 도피 = 365
   Ⅰ. 문제제기 = 365
   Ⅱ. 개념법학의 전개과정과 그 의미 = 367
   Ⅲ. 일반조항의 의의 및 그 문제점 = 372
   Ⅳ. 개념법학적인 사유방식과 일반조항을 원용하는 방법의 공통점 = 375
   Ⅴ. 해결방안 = 377
  42 일반조항의 예: 형법 제20조 정당행위 = 378
   Ⅰ. 문제제기 = 378
   Ⅱ. 법이론적인 문제 = 380
   Ⅲ. 범죄체계론적인 문제 = 383
   Ⅳ. 형법해석학적인 문제 = 387
   Ⅴ. 결론 = 390
부록
 부록 : 머리말 = 395
  법률적 불법과 초법률적 법 = 397
  사회적인 정의로서의 정의 = 408
  정의에 관한 최근의 논쟁 = 441
  조그만 동전의 저항권 = 455
  형법에서의 주관적 해석의 유용성 = 467
  방법론적인 문제로서의 법관의 법형성 = 479
사항색인 = 501
인명색인 = 508

관련분야 신착자료

Dreier, Horst (2023)
김삼웅 (2023)
국회도서관. 법률정보실 (2022)
Marmor, Andrei (2022)
박주영 (2023)
양천수 (2022)
손동유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