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05c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45430740 | |
005 | 20100806065213 | |
007 | ta | |
008 | 080305s2007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90828477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1159831 | |
040 | ▼a 247017 ▼d 211009 | |
082 | 0 4 | ▼a 321.80952 ▼2 22 |
090 | ▼a 321.80952 ▼b 2007 | |
245 | 0 0 | ▼a 일본의 민주주의 : ▼b 나가타초의 사무라이들 / ▼d 김웅진 외 지음. |
260 | ▼a 서울 : ▼b 르네상스 , ▼c 2007. | |
300 | ▼a 277 p. : ▼b 삽도 ; ▼c 21 cm. | |
440 | 1 0 | ▼a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세계 민주주의 산책 ; ▼v 2 |
500 | ▼a 부록: 자료로 본 일본 | |
504 | ▼a 참고문헌(p. 273-275), 색인수록 | |
700 | 1 | ▼a 김웅진 ▼0 AUTH(211009)144159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80952 2007 | Accession No. 11146165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80952 2007 | Accession No. 11146165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1.80952 2007 | Accession No. 15125335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1.80952 2007 | Accession No. 15125335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80952 2007 | Accession No. 11146165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80952 2007 | Accession No. 11146165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1.80952 2007 | Accession No. 15125335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1.80952 2007 | Accession No. 15125335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바쿠후 말기 지방의 중하급 사무라이들이 성공시킨 메이지 유신 후 천황제가 어떻게 일본의 상징으로 부활했으며 국회는 어떤 시련을 딛고 민주주의라는 질서를 확립하게 되었는지 과거와 현재를 통해 일본민주주의를 돌아보고 있는 책.
나가타초는 일본의 정치일번지로 의회민주주의의 상징인 국회의사당이 자리잡고 있으며 그 맞은편에는 국민통합의 상징은 천황이 살고 있는 황거가 자리잡고 있다.지은이들은 이런 나카타 초를 일본의 정치, 민주주의를 이해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지은이들은 나카타초에 대한 탐색을 통해 황제가 어떻게 일본의 상징으로 부활했으며, 국회는 어떤 시련을 딛고 민주주의라는 질서를 확립했는가. 어떤 정당이 일본을 이끌고 있으며, 그들은 어떻게 선출되는가. 자유민주당의 일당지배는 왜 가능했는가. 그리고 일본은 어떻게 근세와 현대를 아우르는 강대국이 될 수 있었는가등에 대한 질문에 대답함과 동시에 일본의 민주주의를 개괄하고 있다.
나가타초는 일본의 정치일번지다. 의회민주주의의 상징인 국회의사당이 있기 때문이다. 일본을 뜻하는 날 일(日)자의 구조로 외벽은 벚꽃을 상징하는 분홍색 화강암이 장식됐다. 국회의사당 주위로 중의원과 참의원 회관, 총리공관, 헌법재판소가 펼쳐져있다. 일본국회의 정면은 울창한 숲으로 둘러싸인 황거다. 빌딩숲으로 빽빽한 도심 한 복판에 해자로 둘러싸인 황거는 바쿠후 시기의 옛 정취를 그대로 안고 있는 곳이다. 국민통합의 상징인 천황이 살고 있다. 또한 정부청사들이 몰려있어 행정일번지로 불리는 가스미가세키 지역은 나가타초의 동쪽에 맞붙어 있다.
국회, 총리, 행정부 그리고 천황은 일본의 정치를 움직이는 기둥이다. 원래 이 기둥을 세운 이들은 바쿠후 말기 지방의 중하급 사무라이들이었다. 이들 사무라이들은 메이지 유신을 성공으로 이끈 뒤, 우호적인 국제환경과 뚜렷한 정책목표로 당대 일본을 세계 3위의 군사강국으로 만들었다. 사무라이 계급은 폐지됐지만 끝 모를 군국주의의 발호과정에서 메이지 기의 사무라이는 신화로 남겨진다. 그리고 그 신화는 2차 대전의 패망 속에서 재빠르게 평화주의의 외피를 걸치고 세계 2위의 강제강국으로 부흥하게 했다. 그 과정에서 일본의 민주주의는 놀라울만한 일관성 속에서 서구화의 영향과 일본 특유의 형질이 융화된 독특한 일본식 민주주의를 배양해냈다. 그리고 그 속에는 아직도 메이지 시기를 이끈 사무라이의 사상과 역사가 그대로 담겨져 있다. 일본 민주주의는 양복을 입은 사무라이에 의해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그런 일본의 정치, 민주주의를 이해하기 위한 출발점이다. 천황제가 어떻게 일본의 상징으로 부활했으며, 국회는 어떤 시련을 딛고 민주주의라는 질서를 확립했는가. 어떤 정당이 일본을 이끌고 있으며, 그들은 어떻게 선출되는가. 자유민주당의 일당지배는 왜 가능했는가. 그리고 일본은 어떻게 근세와 현대를 아우르는 강대국이 될 수 있었는가. 이 책은 이런 질문을 일본의 과거와 현재에서 찾는 일본민주주의의 산책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웅진(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82년 미국 신시내티 대학교(University of Cincinnati)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공분야는 정치학연구방법론과 사회과학철학이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영국 엑시터 대학교(University of Exeter)와 프랑스 보르도 소재 국립정치대학(시앙스포 보르도, Sciences Po Bordeaux)에서 각각 리버흄 펠로우(Leverhulme Fellow)와 객원교수로서 학부 강의를 담당했으며, 한국정치학회 연구이사 및 편집이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정치행정언론대학원 원장을 역임했다. <인과모형의 설계: 사회과학적 접근>(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1)과 <과학패권과 과학민주주의>(서강대학교출판부, 2009) 등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저서≫로 지정된 두 권의 책을 포함해 총 11종의 단독저서를 출간했고, 역시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정치학연구방법론: 경험과학연구의 규준과 설계>(명지사, 2005), <현대정치학의 방법론적 성찰>(인간사랑, 2018) 등 총 26종의 공동저서를 출간한 바 있다. 또한 "사회과학지식의 방법론적 인증: 경험적 인식의 선험적 정당화"(<국제정치논총> 54집 4호, 2014), "방법론의 이론 종속성과 이론의 방법론 종속성: 연구방법론의 聖化와 지식의 化石化"(<한국정치학회보> 27집 2호, 1993) 등 수십 편의 연구논문을 주요 학술지에 게재했다. 2018년 8월 31일에 33년 6개월간의 교수 생활을 마무리하고 퇴임할 예정이다.
안승국(지은이)
한국외국어대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 부소장 및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연구교수로 재직중이다.
김세걸(지은이)
서강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정치학을 배우고 연구하는 학생으로 혹은 정치학을 가르치는 선생으로 반평생을 살아왔다. 한땐 루소와 마르크스의 사상에 매료되어 정치사상사의 산맥을 넘나들기도 하고, 한땐 현실사회주의의 실패와 소련의 붕괴를 직접 현장에서 목도함으로써 깊은 환멸과 좌절감을 맛보기도 했다. 이념의 소용돌이에서 벗어나기 위해 박사과정에서는 정치과정론과 일본지역연구로 전공을 바꿨으며. 과정 수료 후 Japan Foundation의 초청으로 일본 쓰쿠바대학에서 외국인 연구자로서 2년간 활동하였다. 논문 〈재정위기와 자민당 지배구조의 균열〉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아태평화재단 연구위원으로 각종 정책보고서 작성 과정에 참여하였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 겸임교수와 서강대 공공정책대학원 대우교수로 재직하면서 《현대일본정치의 이해》를 비롯해 다수의 일본 관련 서적을 공저하였다. 일본 영화에 관한 비평집인 《진실의 서로 다른 얼굴들》은 그가 매우 아끼는 저작이다. 여행과 교육에 관한 단상을 담은 《아들과 함께한 특별한 여행》과 함께.
이상훈(지은이)
일본 오사카대학교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강릉대학교 일본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일본의 정치과정>이 있다.
김형기(지은이)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 연구위원, 한국외국어대 강사. “비교민주주의 연구의 이론적 정향: 동아시아 비교 연구에 대한 함의”, 『비교민주주의: 분석모형과 측정지표』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5); “80년대 남북회담”, 강인덕·송종환 외, 『남북회담: 7.4에서 6.15까지』 (서울: 극동문제연구소, 2004) 등을 저술했다.
김형철(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 상임연구위원이며, 한국외국어대학교와 명지대학교 강사이다.
홍재우(지은이)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비교민주주의 연구소 상임연구위원 및 한국외국어대학교.한신대학교 강사로 일하고 있다.
김경묵(지은이)
일본 동경대학교 정치학 박사. 현재 일본 주쿄대학교 교양부 준교수.
김숙현(지은이)
일본 동경대학교 국제관계 박사. 현재 일본 민주당 대표 오자와 이치로 의원 비서.
박수옥(지은이)
국민대학교 국제지역학부 일본학과 박사과정.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 튜터.
정정숙(지은이)
한국문화기획평가연구소 소장. 이화여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국제정치학 석사를, 비교정치학 박사를 마쳤다.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 문화예술연구실 실장을 거쳐,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대학원 겸임교수,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집행위원,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전문위원, 전주문화재단 대표이사로 활동하면서 중앙 및 국제교류 활성화에 힘써왔다. 「국제문화교류 진흥방안」, 「문화분야 공적개발원조(ODA) 사업개발 연구」, 「‘한류’에 있어서의 인문학의 활용방안」, 「한·중·일 문화교류 협력관계 비교분석과 전망」 등을 연구했으며, 2020년 3월부터는 한국문화기획평가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김혜숙(지은이)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박사과정 졸업. 국제학박사(일본학). 한양대학교 고령사회연구원 비상근 연구원을 했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 시간강사를 하고 있다. 현재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소멸 위기의 지방도시는 어떻게 명품도시가 되었나?』(공저, 2022), 『죽음과 장례의 의미를 묻는다』(공역, 2019), 『한일관계의 긴장과 화해』(공저, 2019), 『일본의 평화주의를 묻는다-전범재판, 헌법 9조, 동아시아 연대』(공역, 2012), 『일본의 민주주의』(공저, 2007)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1장 일본 민주주의의 발아: 도쿠가와 시대로부터 군국주의의 대두까지 / 김웅진 = 11 2장 천황제와 헌법에 새겨진 일본의 얼굴 / 정정숙 = 37 3장 일본국회 길라잡이 / 김숙현 ; 김형기 = 57 4장 일본의 행정부: 누가 일본을 통치하는가? / 이상훈 = 83 5장 일본의 정당: 민주주의가 만들어낸 일당 장기지배 / 김세걸 = 105 6장 안정적 민주주의의 기반: 일본의 선거 / 김형철 ; 안승국 ; 홍재우 = 129 7장 시민사회, 일본 민주주의의 잠재력 / 김경묵 = 155 8장 세계 속의 일본 제1부: 메이지 유신에서 태평양 전쟁까지 / 김형기 = 171 9장 세게 속의 일본 제2부: 주식회사 일본에서 보통국가로 / 김형기 = 209 부록 자료로 본 일본 / 김혜숙 ; 박수옥 1. 일본정치의 주요인물 = 247 2. 역대 천황 계보 = 258 3. 역대 총리 명단 = 262 4. 정당의석분포 = 265 5. 주요 연표 = 266 주 = 269 참고문헌 = 273 찾아보기 = 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