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430337 | |
005 | 20180605112919 | |
007 | ta | |
008 | 071002s2007 ulk 000c kor | |
020 | ▼a 9788970136141 ▼g 04360 | |
020 | 1 | ▼a 9788970132976 (세트) |
035 | ▼a (KERIS)BIB000010814093 | |
040 | ▼a 211044 ▼d 211009 ▼c 211009 | |
041 | 1 | ▼a kor ▼h ger |
082 | 0 4 | ▼a 340.1 ▼2 22 |
085 | ▼a 340.1 ▼2 DDCK | |
090 | ▼a 340.1 ▼b 2007c12 | |
100 | 1 | ▼a Jhering, Rudolf von, ▼d 1818-1892 ▼0 AUTH(211009)28548 |
245 | 1 0 | ▼a 권리를 위한 투쟁 / ▼d 루돌프 폰 예링 지음; ▼e 윤철홍 옮김 |
246 | 1 9 | ▼a Der Kampf um's Recht |
246 | 3 9 | ▼a Kampf um's Recht |
260 | ▼a 서울 : ▼b 책세상, ▼c 2007 ▼g (2017) | |
300 | ▼a 188 p. ; ▼c 21 cm | |
440 | 0 0 | ▼a 책세상문고·고전의 세계 ; ▼v 060 |
500 | ▼a 해제: 법학계의 프로메테우스 예링의 권리를 위한 투쟁 | |
650 | 0 | ▼a Law ▼x Philosophy. |
700 | 1 | ▼a 윤철홍 ▼g 尹喆洪, ▼e 역 ▼0 AUTH(211009)80782 |
900 | 1 0 | ▼a 예링, 루돌프 폰, ▼e 저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7c12 | Accession No. 11146124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7c12 | Accession No. 11146124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7c12 | Accession No. 11148811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40.1 2007c12 | Accession No. 12124478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7c12 | Accession No. 11146124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7c12 | Accession No. 11146124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7c12 | Accession No. 11148811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40.1 2007c12 | Accession No. 12124478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1872년 봄, '인류에게 법학의 불을 가져다준 프로메테우스'라는 평가를 받던 독일의 법학자 예링은 4년 남짓 재직한 빈 대학을 떠나면서 1872년 빈 법조협회에서 고별 강연을 했다. 그리고 같은 해 이 강연의 내용을 대폭 보완해 더 많은 독자들이 읽을 수 있도록 출판했다.
예링은 이 책을 통해 법의 이론보다는 윤리적이고 실천적인 면을 강조하고, 권리에 대한 학문적 인식보다는 권리를 위해 투쟁하려는 개인과 사회의 자각을 이끌어내고자 했다. 법과 권리의 생성 및 목적, 법과 권리를 위한 개인의 투쟁 등을 다뤄 예링 사상의 핵심을 드러내는 이 책은 법을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보는 목적법학의 단초를 제공했을 뿐 아니라 20세기의 법학 방법론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루돌프 폰 예링(지은이)
1818년 독일의 서북단 동프리슬란트의 유복한 법률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하이델베르크, 괴팅겐, 뮌헨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자유와 독립, 법을 중시하는 가정교육과 보수적이고 학문 지향적인 대학 교육이 그의 세계관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학창 시절에는 법학뿐 아니라 피아노 연주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극작가 헤벨과 교류하며 극작에 관심을 갖기도 했다. 특히 셰익스피어는 이후 예링의 저작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42년 베를린 대학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이듬해부터 사강사로서 교직에 들어섰다. 1845년 바젤 대학의 교수로 임용된 이래 로스톡, 킬, 기센, 빈 대학에 재직하는 동안 많은 저작을 썼다. 특히 기센 대학에 재직하던 1852년에는 로마법의 현대적 의의와 연구 목적을 밝힌 대저작 《로마법의 정신》 제1권을 발표한 이후 13년간 전4권을 출간해 법학계에 명성을 알렸다. 동료 법학자 게르버와 함께 학술지 《현대 로마법과 독일사법의 해석론을 위한 연보》를 창간하기도 했다. 빈 대학에서 그의 강의는 특히 인기가 높았는데, 수강생 중 하나였던 러시아 황태자 레오 갈리친은 예링을 일컬어 ‘인류에게 법학의 불을 가져다준 프로메테우스’라고 극찬했으며, 오스트리아 황제는 법학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는 이유로 그에게 작위를 내리기도 했다. 예링은 4년 남짓 재직한 빈 대학을 떠나면서 1872년 빈 법조협회에서 고별 강연회를 열었다. 이 강연의 원고가 훗날 《권리를 위한 투쟁》으로 출간되고 수십 개국의 언어로 번역되어 그의 이름을 전 세계에 알렸다. 법의 목적은 평화이며 그 수단은 투쟁임을 선언한 이 책은 법과 권리에 대한 그의 사상을 포괄적으로 보여준다. 그는 1872년 다시 독일의 괴팅겐 대학에 초빙되어 정년퇴직할 때까지 재직하며 또 다른 명저 《법에서의 목적》을 출간했다. 이 책은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법을 자세하게 전개함으로써 목적법학을 창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를 통해 당시 독일 법학에 지배적이던 형이상학적 추상성과 개념의 유희를 비판하고 대안을 모색한 그는 20세기 세계법학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남기고 1892년 9월 17일 괴팅겐에서 사망했다.
윤철홍(옮긴이)
목포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75년 당시 후기 대학인 숭실대학교에 입학했다. 집안 식구 중 많은 분들이 교직에 있는 관계로 교직이 싫어서 법대에 진학했다. 1학년 때는 전기 대학 실패의 충격을 잊고자 문학에 심취했는데 이때 밤을 새워 가며 읽은 시와 소설, 사회과학 서적은 평생의 윤기 있는 삶에 큰 자양분이 되었다. 당시 숭실대학교 법학과에는 젊고 유능한 네 분의 교수님이 계셨는데, 학문과 인생에 모두 귀감이 되는 훌륭한 분들이어서 대한민국 최고의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그래서 숭실대학교로 인도해주신 하나님께 감사드리며 만족스러운 대학 생활을 할 수 있었다. 저학년 때는 한동안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고시 준비를 생각해보기도 했으나, 3학년 때부터는 학문에 뜻을 두고 독일어 공부에 매진하면서 독일 유학을 준비했다. 이때부터 읽은 기초 법학(법철학, 법사학, 법사회학) 책들은 법학의 또 다른 묘미를 알 수 있게 했다. 그래서 전공을 법사학으로 정하려 했으나, 법사학만으로는 대학에서 밥을 먹을 수 없다고 판단해 기본법인 민법을 공부하면서 부전공으로 법사학을 하기로 결정했다. 군대 복무와 대학원을 마치고 1983년에 꿈에 그리던 독일 유학을 떠났다.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독일어 ‘Frei(자유)’의 참 의미를 만끽하면서 공부할 수 있었다. 그곳에서 독일 법제사와 민법을 전공하면서 주로 토지소유권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1989년부터 광운대학교 법학과에 전임교수로 근무하던 중 1993년에 숭실대학교로 옮겨 재직하다 2020년에 정년퇴직했다. 그동안 사단법인 한국민사법학회 회장과 한국토지법학회 회장을 맡기도 했다. 토지소유권을 핵심 연구과제로 삼아 《소유권의 역사》, 《토지소유권에 대한 새로운 이해》, 《민사특별법 연구》 등을 저술하고 학생들을 위한 강의 교재로 《채권각론》, 《채권총론》, 《물권법》을 썼으며, 막스 카저의 《로마법제사》, 예링의 《권리를 위한 투쟁》, 헤데만의 《일반조항으로 도피》 등을 번역해 20여 권의 저서와 역서를 출간했다. 현재는 숭실대학교 법과대학 명예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들어가는 말 = 9 머리말 = 15 제11판 서문 = 31 제1장 법과 권리의 생성과 목적 = 35 제2장 법과 권리를 위한 개인의 투쟁 = 49 제3장 국민의 법감정 = 101 제4장 독일 보통법에서 권리를 위한 투쟁의 문제 = 111 해제 : 법학계의 프로메테우스 예링의 권리를 위한 투쟁 = 134 1. 강렬한 자유정신의 소유자, 예링 = 135 (1) 출생과 교육 그리고 세계관 = 135 (2) 로마법을 통한 로마법 위로 = 138 (3) 법학 연구에 불을 지핀 법학계의 프로메테우스 = 143 (4) 목적법학의 완성, 그리고 영면 = 144 2. 법과 권리의 존재 이유를 말하다 = 147 (1) 목적법학을 창시하다 = 147 (2) 법과 권리의 생성과 목적 = 148 (3) 법과 권리를 위한 개인의 투쟁 = 149 (4) 국민의 법감정 = 151 (5) 독일 보통법에서 권리를 위한 투쟁의 문제 = 153 3. 예링이 후대에 미친 영향 = 156 (1) 법학 방법론 = 157 (2) 민법학에 미친 영향 = 158 4. 맺는말 = 161 주 = 164 더 읽어야 할 자료들 = 183 옮긴이에 대하여 =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