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807namccc200253 k 4500 | |
001 | 000045430231 | |
005 | 20100806064538 | |
007 | ta | |
008 | 080103s2008 ulka bmAC 000a kor |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 |
085 | ▼a 0510 ▼2 KDCP | |
090 | ▼a 0510 ▼b 6K04 ▼c 61 | |
100 | 1 | ▼a 이종무 ▼g 李鍾武 |
245 | 1 0 | ▼a 조직의 지원, 충성심 및 자기조절이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b 대학행정직원을 대상으로 / ▼d 李鍾武.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 ▼c 2008. | |
300 | ▼a vi,87 p. : ▼b 삽도 ; ▼c 26 cm. | |
500 | ▼a 지도교수: 김문석 | |
500 | ▼a 단면인쇄임 | |
500 | ▼a 부록수록 | |
502 | 0 | ▼a 학위논문(석사) -- ▼b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 ▼c 조직관리전공 , ▼d 2008.2. |
504 | ▼a 참고문헌 : p.73-82 | |
900 | ▼a 김문석 , ▼e 지도교수 | |
900 | 1 0 | ▼a Lee, Jong-Mu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K04 61 | 등록번호 1630458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K04 61 | 등록번호 16304588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위논문실(3층)/ | 청구기호 0510 6K04 61 | 등록번호 15305200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K04 61 | 등록번호 1630458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K04 61 | 등록번호 16304588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위논문실(3층)/ | 청구기호 0510 6K04 61 | 등록번호 15305200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초록
치열해지는 대학 간 경쟁으로 대학의 운영방식도 과거의 공급자인 대학중심에서 소비자인 학생중심으로 변환함과 동시에, 대학경영에도 마케팅의 개념이 필수적인 요소로 되고 있다. 안정적인 재원확보와 대학의 생존을 위해 신입생의 유치노력도 중요하지만, 기존 고객인 재학생에 대한 배려도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학생들에게 제공되는 대학행정서비스 품질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대학행정직원들의 서비스지향성을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지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조직지원에 대한 인식, 조직에 대한 충성심, 자기조절능력 등을 설정하여 K사립대학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Eisenberger(1986)의 조직지원에 대한 지각척도, Lennox와 Wolfe (1984)의 Self-Monitoring 측정척도 등을 활용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첫째, 자기조절능력이 높은 직원일수록 학생들에 대한 서비스지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감정을 통제할 수 있고, 타인에게 보여지는 이미지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서비스지향성과 유의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조직지원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서비스지향성도 높게 나타났다. 조직의 개인에 대한 인정과 관심을 인식할수록, 학생에 대한 서비스지향성도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조직에 대한 충성심이 높을수록 서비스지향성도 높게 나타났으며, 넷째, 직원들의 개인적인 특성 중 학력과 근무연수는 서비스지향성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지만, 성별이나 근무처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대학행정직원의 학생에 대한 서비스 제공에 대한 연구에서, 그 동안 고려되지 않았던 자기조절능력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조직지원에 대한 인식과 충성심이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도 검증하였다. 앞으로 후속연구에서는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세분화하여 서비스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직원들의 서비스지향성 측정결과와 실제로 서비스를 제공받는 학생들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