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피부 미용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피부 미용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료유형
학위논문
개인저자
조미경
서명 / 저자사항
피부 미용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ho Mi Kyoung.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   2008.  
형태사항
v,56 p. : 삽도 ; 26 cm.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 조직관리전공 , 2008.2.
학과코드
0510   6K04   62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문석  
단면인쇄임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 p.48-51
000 00780namccc200253 k 4500
001 000045430230
005 20100806064536
007 ta
008 080103s2008 ulka bmAC 000a kor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85 ▼a 0510 ▼2 KDCP
090 ▼a 0510 ▼b 6K04 ▼c 62
100 1 ▼a 조미경
245 1 0 ▼a 피부 미용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d Cho Mi Kyoung.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 ▼c 2008.
300 ▼a v,56 p. : ▼b 삽도 ; ▼c 26 cm.
500 ▼a 지도교수: 김문석
500 ▼a 단면인쇄임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 ▼b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 ▼c 조직관리전공 , ▼d 2008.2.
504 ▼a 참고문헌 : p.48-51
900 ▼a 김문석 , ▼e 지도교수
900 1 0 ▼a Cho Mi Kyoung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피부 미용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9회 열람)
PDF 초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K04 62 등록번호 1630458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K04 62 등록번호 16304587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위논문실(3층)/ 청구기호 0510 6K04 62 등록번호 15305200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K04 62 등록번호 1630458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K04 62 등록번호 16304587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위논문실(3층)/ 청구기호 0510 6K04 62 등록번호 15305200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초록

국 문 초 록 
피부 미용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 출 자 : 조  미  경
지도교수 : 김  문  석

 본 연구는 피부 미용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 변수로는 직무만족, 서비스 지향성으로 하였으며, 탐색 변수로는 자기조절 능력 척도로 하였다. 또한, 이를 분석 조사 연구 한 결과를 토대로 피부미용사가 추구하는 경영 목표에 도달 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서울지역의 피부 미용관리실에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와 현재 피부미용사로써 피부미용 관련 대학과정을 밟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150부 배포, 회수 하였다. 또한 피부 미용관리실은 서울 지하철역 근교부분으로 170부 배포, 회수 하였다. 그중 불성실 응답, 무응답 및 중심경향이 높은 설문지를 제외한 272부를 선택한 후 논문의 취지에 맞게 최종 분석하였다. 조사기간은 2007년 10월 23일부터 11월 4일까지 약12일간 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고찰을 토대로 가설적 연구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 하였다.
가설Ⅰ:자기조절력과 서비스지향성은 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설Ⅱ:직무만족과 서비스지향성은 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설Ⅲ: 개인 특성은 서비스 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Ⅲ-1 :경력이 서비스 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Ⅲ-2 :연령이 서비스 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연구 목적에 따라 요인분석, 회귀분석, 빈도분석, ANOVA, 상관분석 그리고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등을 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피부 미용사는 자기조절력이 높을 수 록 서비스지향성이 높으며, 직무만족이 높을 수 록 서비스 지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경력이 길수록 서비스 지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연령과는 서비스 지향성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직무만족이 높고, 연령이 많으며, 상사와의 관계가 좋으면 이직률이 낮고 직무자체와도 이직과의 유의미함을 보였다.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