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거시경제학의 기초
제1장 거시경제학의 주요변수
1. 거시경제의 수량지수 = 3
2. 거시경제의 물가지수 = 9
3. 실업률의 측정 및 한계 = 12
4. 주요 거시경제변수 간의 관계 = 17
보 론 : 지수의 이해 = 20
제2장_1 거시경제학의 주요시장 : 재화시장
1. 재화시장의 분석 = 27
2. 단기분석과 장기분석의 비교 = 29
3. 대부시장의 분석 = 30
제2장_2 거시경제학의 주요시장 : 화폐시장
1. 인플레이션의 정의 = 37
2. 화폐이론의 기초개념 = 37
3. 화폐경제의 이득 = 39
4. 화폐유통속도의 정의 = 41
5. 수량방정식과 화폐수량설의 이해 = 42
6. 피셔방정식과 피셔효과 = 44
7. 화폐시장의 균형과 물가수준 결정식 = 47
8. 화폐발행차익의 문제 = 49
9. 인플레이션의 사회적 비용 = 51
10. 하이퍼인플레이션의 종말 = 54
11. 명목변수와 실질변수 = 59
12. 고전적 이분법과 화폐의 중립성 = 60
제3장 거시경제학의 주요시장 : 노동시장
1. 실업의 정의 = 63
2. 실업문제의 구분 = 63
3. 자연실업률의 도출 = 64
4. 마찰적 실업의 발생원인 = 68
5. 구조적 실업의 발생원인 = 70
6. 실업의 지속기간에 대한 연구의 결과 = 72
7. 국가별 실업률 변화에 대한 실증연구 = 72
8. 고통지수의 문제 = 74
9. 실업과 인플레이션의 평가 = 75
제2편 경기변동의 기본모형
제4장 거시정제의 총수요 : IS-LM모형의 기초
1. 단기분석의 구조 = 79
2. 케인지안 크로스 모형과 국민소득의 결정 = 80
3. 재정정책과 승수효과 = 81
4. IS곡선의 도출 = 83
5. 유동성 선호이론과 이자율의 결정 = 85
6. 이자율결정이론의 비교 = 87
7. LM곡선의 도출 = 88
8. IS-LM의 동시균형 = 90
제5장 거시경계의 총수요 : IS-LM모형의 응용
1. IS-LM의 기본적인 분석-1 = 97
2. IS-LM의 기본적인 분석-2 = 99
3. 통화당국의 대웅에 따른 재정정책의 효과 = 100
4. 불확실성하에서 통화정책의 중간목표의 선정 = 101
5. 특수한 가정에 기초한 IS-LM 모델 = 102
6. IS-LM 모형의 내적 정합성의 문제 = 108
7. 대공황과 일본의 장기불황 = 110
8. 물가변화를 고려한 IS-LM의 장단기 분석 = 114
제6장 거시경제의 총공급 : AD-AS모형
1. 총수요의 이해 = 123
2. 총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이유 = 125
3. 총공급의 이해 = 127
4. 단기 총공급곡선의 도출 = 130
5. 모형의 비교 = 144
제7장 거시경제의 총공급 : Phillips Curve
1. 필립스곡선 = 151
2. 총공급곡선으로부터 필립스곡선의 도출 = 157
3. 필립스곡선에 대한 초기 케인즈학파의 이해 = 157
4. 자연실업률가설과 인플레이션 가속화 현상 = 157
5. 인플레이션의 발생원인과 인플레이션 관성 = 160
6. 합리적 기대와 고통 없는 디스인플레이션 논쟁 = 162
7. 이력가설 = 168
제3편 거시경제학의 미시적 기초
제8장_1 소비이론과 재정정적 : 소비이론
1. 소비의 정형화된 사실 = 173
2. 케인즈의 소비이론 = 173
3. 케인즈 소비함수의 실증분석 = 174
4. Fisher의 시점간 자원배분모형 = 175
5. 생애주기가설 = 180
6. 항상소득가설 = 182
7. 임의보행가설 = 185
8. 유동성제약가설과 소비이론의 수정 = 188
9. 즉각적 만족표출가설 = 191
10. 소비의 자산효과 = 192
제8장_2 소비이론과 제정정책 : 재정정책
1. 재정적자의 정의 = 197
2. 재정적자의 동태적 접근 = 197
3. 재정적자의 측정상의 문제점 = 199
4. 리카도 대등정리 논쟁 = 200
5. 논쟁 1 : 공채는 민간의 순부인가? = 201
6. 논쟁 2 : 조세를 공채로 대체하는 정책에 대해 민간은 어떻게 반응하는가? = 203
7. 논쟁 3 : 재정적자의 세대간 전가 논쟁 = 205
8. 논쟁 4 : 재정적자는 악인가? = 206
9. RET에 대한 실종연구와 주의사항 = 207
제9장 투자이론
1. 투자의 정형화된 사실 = 213
2. 투자의 특징 = 213
3. 투자의 종류 = 214
4. 투자의 신고전파 모형 = 215
5. 토빈의 q이론 = 217
6. 주식시장과 국민경제와의 관계 = 218
7. 금융제약과 신용붕괴의 문제 = 219
8. 주택투자의 모형 = 221
9. 재고투자의 이론 = 223
10. 투자의 소득의존성 = 226
11. 불확실성과 투자 = 229
제10장 노동의 수요와 공급
1. 고용과 실질임금에 대한 정형화된 사실 = 237
2. 노동수요와 노동공급의 2기간 모형 = 237
3. 복 습 : 실업문제의 구분 = 244
4. 직업탐색의 이론 = 245
5. 구조적 실업의 이론-1 = 249
6. 구조적 실업의 이론-2 = 250
7. 임금 경직성이론 : 암묵적 계약이론 = 254
제11장_1 화폐와 금융이론 : 화폐의 공급과 수요
1. 통화공급과 수요에 대한 정형화된 사실 = 159
2. 통화공급의 이론 = 259
3. 통화수요의 이론 = 268
제11장_2 화폐와 금융이론 : 통화정책
1. 통화정책의 동태적 접근 = 281
2. 화폐의 중립성과 초중립성 = 284
3. 통화정책의 적극적인 운용 또는 소극적인 운용 = 285
4. 경기선행지수의 이해 = 288
5. 통화정책의 재량적 운용 또는 준칙에 의한 운용 = 292
6. 우리나라의 물가안정목표제 = 296
7. 불리한 공급충격과 정책딜레마 = 299
8. 통화정책의 지표의 문제 = 301
9. 루카스 비판과 정책무력성의 명제 = 304
10. 최적정책의 비일관성 = 307
11. 신뢰성 문제의 해결방안 = 315
12. 통화정책의 전달경로의 이해 = 317
13. 신용의 개념과 이해 = 320
제11장 3 화폐와 금융이론 : 금융시장, 자산시장
1. 금융시장의 이해를 위한 기초논점 = 327
2. 실물투자와 금융부문의 관계 = 329
3. 채권가격과 이자율 간의 관계 = 331
4. 주식시장과 주가의 결정 = 333
5. 파생금융상품의 거래와 손익표 = 336
6. 효율적 시장의 가설과 랜덤워크 = 338
7. 포트폴리오 효과와 뮤추얼 펀드의 이해 = 340
8. 물가연동공채 = 342
9. 이자율의 만기구조의 이해 = 346
제4편 경기변동이론의 발전
제12장 동태적 일반균형모형
1. 모형의 개요 = 355
2. 동태적 일반균형모형의 주요함수 = 355
3. 시장청산조건과 균형의 성립 = 356
4. 분석상의 주요가정 및 유의사항 = 356
5. 거시경제의 일반균형의 도출 = 358
6. 중요한 분석의 경우의 수 = 362
7. 중요한 분석내용의 요약 = 363
8. 동태적 일반균형모형의 주요 분석 = 364
9. 전략적 보완성과 조정실패모형 = 370
10. 동태적 일반균형모형의 개방경제분석 = 375
제13장 경기변동이론의 발전
1. 거시경제이론의 발전 = 381
2. 경기변동의 주요 특징 = 381
3. 경기변동이론의 과제 = 381
4.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 382
5. 실물경기변동이론의 이해 = 383
6. 새케인즈 경제학의 이해 = 394
제14장_1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환율과 국제수지
1. 환율의 기초 = 409
2. 환율제도의 이해 = 410
3. 국제적 거래의 유형과 환율결정이론 = 412
4. 경상거래와 장기환율결정이론 = 413
5. 자본거래와 단기환율결정이론 = 416
6. 국제수지의 기초 = 423
7. 개방경제의 국민소득 항등식 = 425
8. 환율과 경상수지의 관계 = 432
9. 간단한 경상수지 결정모형 = 434
10. 기간간 교역의 이득 = 440
11. 국제적 포트폴리오 효과 = 442
제14장_2 재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먼델-플레밍 모형
1. 완전자본이동하에서 먼델-플레밍 모형 = 447
2. 국제이자율과 물가변화를 고려한 M-F 모형 = 455
3. 자본의 이동성에 따른 정책효과의 변화 = 461
4. 대국 경제의 M-F모형 = 469
제6편 경제성장의 이론과 정책
제15장 경제성장론-1
1. 경제성장의 의미 = 475
2. 생산성의 중요성과 생산성을 결정하는 요인 = 475
3. 경제성장의 정형화된 사실 = 476
4. 솔로우 모형의 기본가정 = 478
5. 장기균형조건의 도출 = 478
6. 저축률 상승의 효과 = 481
7. 황금률 이론 = 484
8. 인구성장을 고려한 솔로우 모형 = 487
제16장 경제성장론-2
1. 기술진보의 도입 = 493
2. Solow model의 비교정태분석 = 501
3. 수렴가설의 문제 = 503
4. 성장회계방정식과 경제성장의 현실 = 507
5. 내생적 성장이론 = 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