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미시경제학
제1장 시장의 수요ㆍ공급과 균형
[관련기출] 조세부과와 초과부담 : 행시 37회(93년) = 11
[관련기출] 수출자유규제와 관세부과의 효과 : 외시 36회ㆍ02년 = 15
[예상논점] 관세와 쿼터의 효과 = 15
제2장 소비자이론
Ⅰ. 소비자선택이론 및 응용 = 18
[기출] 가격보조와 소득보조 : 행시 40회(96년) = 18
[기출] 선호체계와 효용 : 행시 42회(98년) = 20
[기출] 공공재 : 행시 43회(99년) = 22
[관련기출] 조세관련이론(Rebate Policy) : 행시 45회(01년) 재정학 = 24
[관련기출] 근로시간 선택 모형 : 행시 42회ㆍ재정학(98년) = 27
[관련기출] 수요ㆍ공급과 시장의 균형 : 외시 34회(00년) = 30
[기출문제정리] = 30
[예상논점] 근로자의 여가소득선택문제 = 31
[예상논점] 대표적 개인의 효용극대화모형 = 33
[예상논점] 레온티에프 효용함수 = 36
[예상논점] 정보의 불완전성과 공공정책 = 38
[예상논점] 현시선호이론 = 40
[예상논점] 최적탈세모형 = 42
Ⅱ. 불확실성하의 선택 = 44
[기출] 조건부상품시장 : 행시 45회(01년) = 44
[예상논점] 불확실성하의 효용 = 47
[예상논점] 기대효용이론과 위험선호에 따른 보험 = 49
[예상논점] 불확실성하의 선택(폰노이만-모겐스턴 효용함수) = 53
제3장 생산자이론(생산기술 및 생산비용)
[기출] 규모의 경제 : 행시 46회(02년) = 58
[관련기출] 기업의 이윤과 생산자 잉여 : 외시 37회(03년) = 61
[예상논점] 비용극소화 = 62
제4장 시장조직이론
Ⅰ. 완전경쟁시장 = 65
[예상논점] 완전경쟁시장 = 65
[예상논점] 완전경쟁시장의 분석 = 68
Ⅱ. 독점시장
[기출] 독점기업의 가격 결정 : 행시 48회(04년) = 72
[기출] 독점기업과 결합판매 : 행시 49회(05년) = 75
[관련기출] 자연독점산업 : 행시 45회(01년) 재정학 = 77
[관련기출] 독점시장 : 외시 35회ㆍ38회 = 80
[예상논점] 독점시장 = 81
[예상논점] 자연독점에 대한 규제방안 = 85
Ⅲ. 과점시장 및 기타이론 = 89
[기출] 독점적 경쟁시장 : 행시 41회 = 89
[기출] 꾸르노 모형 : 행시 47회(03년) = 92
[예상논점] 과점시장 = 94
[예상논점] 복점시장과 수출보조금의 효과 = 100
제5장 게임이론 및 정보경제이론
[기출] 과점기업의 담합 가능성 : 행시 42회(98년) = 105
[기출] 역선택 : 행시 44회(00년) = 105
[기출] 도덕적 해이 : 행시 48회(04년) = 107
[기출문제정리] = 109
[예상논점] 정보의 비대칭으로 인한 역선택 = 110
[예상논점] 내쉬균형 = 117
[예상논점] 게임이론 = 119
[예상논점] 도덕적 해이 = 122
[예상논점] 노동시장에서의 주인 - 대리인 문제 = 125
[예상논점] 노동시장에서의 신호균형 = 127
제6장 생산요소시장과 소득분배이론
[기출] 수요독점시장과 최저임금제 : 행시 50회(06년) 필수 = 133
[관련기출] 지니계수 : 행시 48회(04년) 재정학 = 136
[관련기출] 이자소득세 부과의 효과 : 행시 43회(99년) 재정학 = 138
[예상논점] 최저임금제의 효과 = 140
[예상논점] 소득이전으로 인한 경제적 영향 = 143
[예상논점] 생산요소시장균형 = 145
제7장 일반균형이론
[기출] 계약곡선, 효용극대화와 자원배분 : 행시 49회(05년) = 148
[기출문제정리] = 152
[예상논점] 일반균형론 = 152
제8장 후생경제이론
[관련기출] 사회무차별곡선과 소득재분배 : 행시 49회(05년) 재정학 = 155
[관련기출] 사회후생함수 : 행시 41회(91년) 재정학 = 158
[예상논점] 후생경제학 및 외부성 분석 = 160
[예상논점] Arrow의 불가능성정리 = 162
제9장 시장실패이론
[기출] 공공재, 무임승차자와 내쉬균형 : 행시 41회(97년) = 168
[관련기출] 외부성, 코즈정리 : 행시 48회(04년) 재정학 = 171
[관련기출] 시장실패와 정부실패 : 행시 47회(03년) 재정학 = 173
[관련기출] 조세부과와 코즈정리 : 행시 45회(01년) 재정학 = 178
[관련기출] 시장실패와 정부규제 : 입시 21회(05년) = 180
[기출문제정리] = 183
[예상논점] 외부성과 자원배분 = 183
[예상논점] 공공재의 과소공급 = 187
[예상논점] 외부성과 시장실패 = 190
[예상논점] 외부성의 문제 = 193
[예상논점] 환경오염의 경제적 측면에서의 문제점과 방지수단 = 197
제2부 거시경제학
제1장 IS-LM모형과 거시경제정책
[기출] 조세감면정책 : 행시 43회(99년) = 203
[기출문제정리] = 205
[예상논점] 화폐금융정책 = 207
[예상논점] IS-LM 모형과 재정ㆍ통화 정책 = 209
[예상논점] 금리인하와 투자 = 213
제2장 개방경제이론
[기출] 긴축 재정ㆍ통화정책 : 행시 42회(98년) = 216
[기출] 상품권 무료제공, 정액세 삭감과 IS-LM모형 : 행시 45회(01년) = 220
[기출] 국가신용등급 상향조정의 영향 : 행시 46회(02년) = 225
[기출] 국제무역, 기술변화와 학력간 임금격차 : 행시 48회(04년) = 226
[기출] 자본시장의 자유화 : 행시 49회(05년) = 229
[기출] 고정환율제도와 변동환율제도 : 행시 50회(06년) 필수 = 231
[기출] 비교우위와 FTA : 행시 50회(06년) 필수 = 234
[기출] 국제수지, 외환보유고 누적의 경제적 효과 : 행시 50회(06년) 재경 = 236
[관련기출] 시장개방 및 시장폐쇄의 이득행렬표와 전략조합 : 입시 21회(05년) = 239
[기출문제정리] = 241
제3장 총공급이론 및 실업과 인플레이션(필립스곡선)
[기출] 노동시장의 이력현상 : 행시 44회(00년) = 242
[기출] 필립스 곡선과 물가ㆍ실업률 : 행시 50회(06년) 재경 = 243
[기출문제정리] = 245
[예상논점] 실업이론 1 = 246
[예상논점] 실업이론 2 = 248
[예상논점] 실질임금의 경직성 = 255
[예상논점] 우상향하는 총공급곡선 = 259
[예상논점] 최적정책의 비일관성 = 265
제4장 거시경제의 일반균형과 거시경제정책(학파별 비교)
[기출] 생산성 향상의 효과 : 행시 46회(02년) = 268
[기출] 금리인하가 경기호전을 가져올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 : 행시 47회(03년) = 269
[기출] 단기총공급 곡선과 통화정책의 효과 : 행시 48회(04년) = 270
[기출] 확장적 통화정책 : 행시 49회(05년) = 274
[기출]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의 기본가정, 확대재정정책, 소득세누진율의 경제적 효과 : 행시 50회(06년) 필수 = 278
[기출문제정리] = 281
[예상논점] 재량적 총수요정책과 실업률 = 283
[예상논점] 자유재량정책과 준칙주의 = 289
[예상논점] 금융정책과 이자율(공개시장 조작정책의 효과) = 295
[예상논점] 금융정책의 준칙주의 = 299
[예상논점] 동태적 인풀레이션과 그 대책 = 301
[예상논점] 새고전학파와 새케인즈학파 = 306
[예상논점] 리카도의 등가정리 = 310
제5장 소비이론
[기출] 소비와 투자의 위축과 부동산 가격 폭등 : 행시 50회(06년) = 315
[관련기출] 적자재정에 의한 경기부양책 : 행시 47회(03년) 재정학 = 317
[기출문제정리] = 321
제6장 투자이론
[기출] 미래의 불확실성과 기업의 투자 : 행시 43회(99년) = 322
[기출] 금리ㆍ주가와 설비투자, 금리스프레드 : 행시 49회(05년) = 324
[기출문제정리] = 326
[예상논점] 토빈의 q이론 = 327
제7장 화폐시장과 금융제도
[기출문제정리] = 331
[예상논점] 화폐수요함수의 안정성 = 331
[예상논점] 외환보유고 = 333
[예상논점] 화폐수요이론 = 336
[예상논점] 통화정책의 파급경로 = 341
제8장 경기변동론
[예상논점] 조정실패와 복수균형 = 346
[예상논점] 실물적 경기변동이론 = 348
[예상논점] 명목임금과 가격의 경직성 = 352
제9장 경제성장론
[기출] 솔로우의 성장모형과 수렴가설 : 행시 41회(97년) = 358
[기출] 우리나라 성장과정의 주요특징, 내생적 성장이론 : 행시 43회(99년) = 363
[기출] Solow 모형과 수렴현상 : 행시 49회(05년) = 366
[예상논점] 기술진보와 경제성장 = 369
제3부 한국경제론
[기출] IMF 위기극복방안 : 행시 42회(98년) = 375
[기출] 공기업의 민영화 : 행시 43회(99년) = 377
[기출] 공적자금의 재원확보방안 : 행시 44회(00년) = 382
[기출] 기업의 부채비율 : 행시 47회(03년) = 384
[기출] 양극화 현상 : 행시 50회(06년) 재경 = 385
[관련기출] FTA체결의 사회후생효과 : 입시 19회(03년) = 388
부록 : 기출문제 연도별 배열 = 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