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55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429391 | |
005 | 20100806063242 | |
007 | ta | |
008 | 080219s2007 ulk sb 00 c kor | |
020 | ▼a 9788991057401 ▼g 93340: ▼c \13,000 | |
035 | ▼a (KERIS)BIB000011192079 | |
040 | ▼d 245011 ▼d 244002 | |
082 | 0 4 | ▼a 321.8095 ▼2 22 |
090 | ▼a 321.8095 ▼b 2007 | |
100 | 1 | ▼a 조희연 ▼0 AUTH(211009)57990 |
245 | 1 0 | ▼a 동아시아와 한국 : ▼b 민주화와 민주주의의 위기를 넘어 / ▼d 조희연; ▼e 박은홍 [공]편. |
260 | ▼a 서울 : ▼b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c 2007. | |
300 | ▼a 316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653 | ▼a 민주주의 | |
710 | ▼a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8095 2007 | Accession No. 11146468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8095 2007 | Accession No. 11146468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1.8095 2007 | Accession No. 15125328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8095 2007 | Accession No. 11146468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8095 2007 | Accession No. 11146468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1.8095 2007 | Accession No. 15125328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와 성공회대 민주주의와사회운동연구소가 공동으로 주최한 6월민주항쟁 20년 기념 국제심포지엄에서 발표된 자료를 토대로 만들어진 책. 각국에서 민주주의 문제와 사회운동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학자들과 연구자들의 논문을 통해 동아시아 민주화와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크게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와 2부에서는 대만,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의 사례를 통해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위기’를 다루고 있고, 3부는 아직 최소한의 민주화 문턱조차 넘지 못하고 있는 말레이시아와 버마의 사례를 다루고 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이사장 함세웅)가 연구서 『동아시아와 한국 - 민주화와 민주주의의 위기를 넘어』(조희연·박은홍 편, 선인, 13,000원)를 발간했다. 이 책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와 성공회대 민주주의와사회운동연구소가 공동으로 주최한 6월민주항쟁 20년 기념 국제심포지엄인 ‘동아시아 민주주의와 한국의 역할’에서 발표된 자료를 토대로 만들어졌다.
1997년 통화위기에서 경험한바와 같이 동아시아는 이제 단순한 지리적 범주가 아닌 정치·경제적으로 밀접히 연결된 공간이다. 이 책은 이러한 이해 위에서 각국에서 민주주의 문제와 사회운동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활동가형 학자들과 연구자들의 논문을 통해 동아시아 민주화와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책의 구성은 1부와 2부에서 대만,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의 사례를 통해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위기’를 다루고 있고, 3부는 아직 최소한의 민주화 문턱조차 넘지 못하고 있는 말레이시아와 버마의 사례를 다루고 있다.
제1부 제1장인 ‘대만의 힘겨운 민주주의’에서 추윤한(Yun-han Chu)은 55년 동안 지속된 국민당 장기집권을 종식시킨 민진당 정권이 부패에 연루되면서 민주주의에 대한 국민적 신뢰도가 추락하는 대만 민주주의의 위기를 보여준다. 제2장에서 베디 하디즈(Vedi R. Hadiz)는 인도네시아의 민주화에 따른 지방분권화가 약탈적인 지역 엘리트들의 연합을 공고화시키는 쪽으로 나아가고 있는 ‘분권화의 역설’을 지적한다.
제2부 제3장 ‘필리핀의 민주화이행과 계속되는 우경화’를 통해 테레사 S. 엔카르나시온 타뎀(Teresa S. Encarnacion Tadem)은 1986년 피플파워로 민주화를 이끈 필리핀 사회운동세력이 적절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면서 구 지배세력에 의해 우경화되는 우울한 현실을 보여준다. 제4장에서 자일스 짜이 응파껀(Giles Ji Ungpakorn)은 민중운동 내 우익 자유주의자들이 보수파와의 연대를 취하면서 결국 군부쿠데타까지 지지하는 ‘탱크자유주의자’에 이르게 된 태국 사회운동의 비극을 다룬다.
제3부 제5장에서 앤드류 아리아(Andrew Aeria)는 말레이시아의 마하티르 이후 국민들의 개혁에 대한 기대와 달리 더 악화되는 정치상황을 다루고 있고, 제6장에서 아웅 모 저(Aung Moe Zaw)는 버마 사회운동진영이 범국민적 투쟁을 매개로 이행의 전 단계를 만드는 데 실패한 사례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있다.
또한 이 책의 서장과 결론에서 조희연·박은홍은 동아시아의 사례와 여전히 소용돌이(vortex) 상태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는 한국 민주주의와의 동일성과 차이성을 규명하면서 민주화이론의 심화에 기여할 수 있는 분석틀의 구축을 한편으로 하고, 아시아 사회운동과의 연대를 통해 ‘민주주의의 사회화’와 ‘사회적 아시아(Social Asia)’를 향한 실천적 프로젝트 구축의 중요성을 제안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박은홍(지은이)
서강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박사) 2020년 현재: 성공회대학교 사회융합자율학부 정치학전공 교수
조희연(지은이)
서울특별시교육감. 전북 정읍 출생. 전주 북중학교와 서울 중앙고를 거쳐,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사회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남가주대(USC)에서 한국학 객원교수와 일본 케이센대, 대만 국립교통대, 영국 랑카스터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UBC)에서 교환교수를 지냈고 비판사회학회장,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다.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이자 민주주의연구소장, 시민사회복지대학원장을 지냈으며 제20·21대 서울특별시교육감이다. 주요 저서로는 『계급과 빈곤』, 『현대 한국 사회운동과 조직』,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한국의 국가·민주주의·정치변동』, 『비정상성에 대한 저항에서 정상성에 대한 저항으로』,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 등이 있다. 민주화운동, 시민운동, 교수운동, 학술운동의 경험을 종합하여 한국정치와 사회운동의 역동적 상호관계를 다룬 『투트랙민주주의: 제도정치와 운동정치의 병행 접근(전 2권)』을 출간한 바 있다. 교육 관련 저서로는, 『병든 사회, 아픈 교육』, 『태어난 집은 달라도 배우는 교육은 같아야 한다』, 『일등주의교육 넘어』, 『교육감의 페이스북: 특별하지 않은 꽃은 없다』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책을 펴내며 = 5 서장 한국 '민주정부'의 위기에 대한 연구 / 조희연 = 13 제1부 민주주의, 위기와 기회의 공존 제1장 대만의 힘겨운 민주주의 / 추윤한 = 89 제2장 탈권위주의 시대 인도네시아지방권력의 정치사회학 / 베디 R. 하디즈 = 123 제2부 민주주의의 위기, 그리고 파국 제3장 필리핀의 민주화 이행과 계속되는 우경화 / 테레사 S. 엔카르나시온 타뎀 = 149 제4장 태국의 군사쿠데타 / 자일스 짜이 응파껀 = 189 제3부 안정적 권위주의의 지속인가 제5장 말레이시아의 퇴보하는 정치와 깊어지는 귄위주의 / 앤드류 아리아 = 223 제6장 버마, 민주주의로의 이행에서 사회운동의 중요성 / 아웅 모 저 = 253 결론 '사회적 아시아(Social Asia)'를 향하여 / 조희연ㆍ박은홍 = 279 보론 민주주의와 민주화에 대한 소견 / 프란시스코 네멘조 =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