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자본주의와 현대사회이론 : 마르크스, 뒤르켕 그리고 막스 베버의 저작분석 (43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Giddens, Anthony, 1938- 박노영 朴魯英, 역 임영일 林榮一, 역
서명 / 저자사항
자본주의와 현대사회이론 : 마르크스, 뒤르켕 그리고 막스 베버의 저작분석 / 앤서니 기든스 지음 ; 박노영, 임영일 옮김
발행사항
파주 :   한길사,   2008  
형태사항
460 p. : 도판 ; 24 cm
총서사항
한길그레이트북스 = Hangil great books ; 94
원표제
Capitalism and modern social theory : an analysis of the writings of Marx, Durkheim and Max Weber
ISBN
9788935657384
일반주기
인류의 위대한 지적유산  
색인수록  
주제명(개인명)
Marx, Karl,   1818-1883  
Durkheim, Émile,   1858-1917  
Weber, Max,   1864-1920  
비통제주제어
사회이론 , 지적유산 , 저작분석 , 사회학,,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429258
005 20160930150724
007 ta
008 080222s2008 ggkf b 001c kor
020 ▼a 9788935657384 ▼g 94160
035 ▼a (KERIS)BIB000011210394
040 ▼a 241018 ▼c 241018 ▼d 24400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30.122 ▼2 22
085 ▼a 330.122 ▼2 DDCK
090 ▼a 330.122 ▼b 2008z1
100 1 ▼a Giddens, Anthony, ▼d 1938- ▼0 AUTH(211009)67657
245 1 0 ▼a 자본주의와 현대사회이론 : ▼b 마르크스, 뒤르켕 그리고 막스 베버의 저작분석 / ▼d 앤서니 기든스 지음 ; ▼e 박노영, ▼e 임영일 옮김
246 1 9 ▼a Capitalism and modern social theory : ▼b an analysis of the writings of Marx, Durkheim and Max Weber
260 ▼a 파주 : ▼b 한길사, ▼c 2008
300 ▼a 460 p. : ▼b 도판 ; ▼c 24 cm
440 0 0 ▼a 한길그레이트북스 = ▼x Hangil great books ; ▼v 94
500 ▼a 인류의 위대한 지적유산
500 ▼a 색인수록
600 1 0 ▼a Marx, Karl, ▼d 1818-1883
600 1 0 ▼a Durkheim, Émile, ▼d 1858-1917
600 1 0 ▼a Weber, Max, ▼d 1864-1920
653 ▼a 사회이론 ▼a 지적유산 ▼a 저작분석 ▼a 사회학
700 1 ▼a 박노영 ▼g 朴魯英, ▼e▼0 AUTH(211009)139956
700 1 ▼a 임영일 ▼g 林榮一, ▼e▼0 AUTH(211009)97822
900 1 0 ▼a 기든스, 앤서니,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0.122 2008z1 등록번호 1114629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0.122 2008z1 등록번호 1114629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0.122 2008z1 등록번호 1211865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0.122 2008z1 등록번호 1211865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0.122 2008z1 등록번호 1512532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0.122 2008z1 등록번호 1513029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0.122 2008z1 등록번호 1513029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0.122 2008z1 등록번호 1114629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0.122 2008z1 등록번호 1114629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0.122 2008z1 등록번호 1211865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0.122 2008z1 등록번호 1211865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0.122 2008z1 등록번호 1512532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0.122 2008z1 등록번호 1513029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0.122 2008z1 등록번호 1513029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제3의 길>로 국내에도 널리 알려진 영국의 중견 사회학자 앤서니 기든스가 근대 사회학의 골격을 제시한 대표적 세 학자인 마르크스, 뒤르켐, 베버의 저작들을 통해 자본주의의 본질을 분석·비교·비판한 책. 총체론적 접근방식에 의하면서 학문적 객관성에 의해 기술된, 현대 사회과학도의 교과서로 꼽히는 텍스트다.

먼저 기든스는 마르크스, 뒤르켕, 베버의 순서로 각자의 저작을 면밀하게 검토한다. 세 이론가의 저작을 각자가 처해 있던 시대적, 사회적 배경에 비추어 살피고 또 각자의 총제적인 사상적, 이론적 맥락에 비추어 해석한 뒤에, 마르크스의 주요 아이디어들을 중심에 두고 그것을 베버 및 뒤르켕의 주요 아이디어들과 비교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바탕으로 지은이는 초기 마르크스와 후기 마르크스 사이에 인식론적 단절이 있다는 주장이 적절치못하다거나, 뒤르켕이 사회만을 내세울 뿐 인간이라는 주제를 무시하는 이론가라고 보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하는 등 주목할 만한 해석을 제시한다. 한길 그레이트 북스 시리즈 94번째 책.

“나는 현대의 사회이론이 근본적으로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는 느낌이
사회학자들 사이에 널리 번져 있다고 믿으면서 이 책을 쓰게 되었다.
그런 재조명은 근대 사회학의 가장 중요한 준거들을
정립했던 이들의 업적을 재음미하는 데서 시작되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누구보다도 먼저 마르크스와 뒤르켕, 그리고 막스 베버라는
세 이름이 떠오르게 된다.”

현대사회학의 거장 앤서니 기든스
기든스는 1938년 영국 에드먼턴에서 태어나 헐 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한 뒤 런던 경제학교에서 석사학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9년 케임브리지 대학교를 시작으로 미국·프랑스·독일 등지에서 사회학 교수로 활약했다.
기든스의 학문적 장점은 마르크스와 막스 베버, 에밀 뒤르켕 등의 고전과 현상학·구조주의 같은 현대사회이론을 토대로 하여 현대사회와 자본주의의 현상을 분석한 데 있다. 1980년대 이후 좌우이념 대립 및 그 극복방안을 연구한 끝에 구조주의와 행동이론을 결합한 ‘구조화 이론’을 발표하여 명성을 얻었으며, 그 연구결과는 영국의 정치가 토니 블레어가 주장한 ‘제3의 길’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
그는 폴리티라는 학술전문 출판사를 세워 1985년부터 매년 80여 권에 이르는 학술서적을 출판하고 있고, 1997년부터는 런던 경제학교 총장 겸 교수로 있다.
저서에 『자본주의와 현대사회이론』(1971), 『선진사회의 계급구조』(1973), 『사회학방법의 새로운 규칙』(1976), 『사적 유물론의 최신비판』(1981), 『국민국가와 폭력』(1985), 『모더니티의 결과들』(1990), 『모더니티와 자아정체성』(1991), 『친밀성의 변동』(1992), 『좌파와 우파를 넘어서』(1994), 『사회학의 변론』(1996), 『제3의 길』(1998) 등이 있다.

40년 동안 60만 부 이상 판매된 책
이 책은 기든스의 Capitalism and Modern Social Theory(1971)의 1975년 제2판을 완역한 것이다. 여기에는 마르크스, 뒤르켕, 베버 등 사회학의 세 거인으로 불리는 인물들의 저작에 관한 기든스의 소개와 해석이 담겨 있다. 기든스는 오늘날 사회학자들 가운데 고전에 관한 이해가 가장 충실하다는 점에서 남다른 강점을 지니고 있는 인물로 알려져 있는데, 그의 그런 면모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이 책의 영문판은 1971년에 처음 출판된 후 이내 학계의 관심을 받게 되었고, 세계의 많은 대학에서 꾸준히 교재로 채택되면서 판을 거듭, 지금까지 60만 부 이상이 판매되었다. 이는 학술서의 경우로는 그리 흔치 않은 일이다.

책의 구성
이 책은 전체 4부로 되어 있다. 제1~3부에서 기든스는 마르크스, 뒤르켕, 베버의 순서로 각자의 저작들을 면밀하게 검토한다. 이 부분에서 그는 세 이론가의 저작들을 각자가 처해 있던 시대적.사회적 배경에 비추어 살피고, 또 각자의 총체적인 사상적.이론적 맥락에 비추어서 해석한다. 마지막 제4부에서는 마르크스의 주요 아이디어들을 중심에 두고 그것을 베버 및 뒤르켕의 주요 아이디어들과 비교한다. 그는 이런 작업들을 통해서 초기 마르크스와 후기 마르크스 사이에 인식론적 단절이 있다고 하는 주장이 적절치 못하다거나, 베버와 (베버가 이해하는 마르크스주의가 아닌) 원래의 마르크스의 현실인식이나 이론적 입장의 차이가 의외로 크지 않다거나, 마르크스가 헤겔식 변증법을 받아들이는 데 반해 베버가 신칸트학파의 이원론을 받아들인다고 하는 정말 근본적인 인식론상의 차이가 두 사람 사이의 다른 차이들의 밑바닥에 깔려 있다거나, 뒤르켕이 사회만을 내세울 뿐 인간이라는 주체를 무시하는 이론가라고 보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거나 하는 주목할만한 해석들을 제시한다.
이 책에 담겨 있는 그의 이러한 고전연구의 성과는 세계 사회학계의 주목을 끌 만큼 가치 있는 것일 뿐 아니라, 그 자신의 향후의 전 학문 활동의 밑바탕을 이루는 것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독자들을 마르크스, 뒤르켕, 베버의 세계로 충실하게 안내해준다는 의의를 가질 뿐만 아니라, 현대의 가장 중요한 사회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라고 일컬어지는 기든스 자신의 전체 학문세계로 안내하는 길잡이로서의 의의를 갖기도 한다. 이 책은 다소 어렵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읽기에는 쉽지 않겠지만, 대학에서 사회학의 고전을 공부하거나 기든스의 학문세계에 접근해보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매우 유익한 교재가 될 수 있을 것인데, 이 책이 최근까지 판을 거듭해오고 있는 것도 바로 이 점에서 이 책이 갖는 독보적인 가치 때문일 것이다.

한길사의 사상신서 가운데 하나, 전면 수정
한길사에서는 1981년 사상신서 가운데 하나로 이 책을 번역 출판한 적이 있다. 당시에는 임영일 교수가 마르크스, 베버 부분과 결론부를, 박노영 교수가 뒤르켕 부분을 번역했다. 한 번 출판되었던 책을 30년 가까운 시간이 흐른 다음에 다시 낸다는 것 역시 흔한 일은 아닐 터인데, 그럴 수 있는 이유는 영문판 자체가 지금까지 판을 거듭할 수 있는 이유와 다르지 않다.
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초판 당시의 번역본을 검토한 결과 적지 않은 오류가 발견되어 전면적인 수정작업이 필요했다. 그러나 초판 당시의 주 번역자인 임영일 교수는 참여할 수 없는 사정이었기 때문에 수정작업은 박노영 교수가 전담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앤서니 기든스(지은이)

현대 사회학계의 세계적인 석학인 그는 사회 이론과 계층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영국의 대표적인 사회학자다. 독일의 위르겐 하버마스와 함께 유럽 지성의 쌍벽을 이루며 ‘영국의 자존심’으로 불릴 만큼 대중적 지지와 학문적 권위를 인정받는 거장이다. 특히 사회 이론 분야에서 유럽의 지적 전통과 현대적 흐름을 반영한 ‘사회 구조화 이론’으로 독자적인 이론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사회주의의 경직성과 자본주의의 불평등을 극복하는 ‘제3의 길’이라는 새로운 사회 발전 모델을 주창하였다. 이 ‘제3의 길’은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와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 등 유럽을 이끄는 중도좌파 정치가들의 이론적 바탕이 되었다. 기든스는 고전 사회학자들의 이론을 검토하는 작업부터 현대성에 관한 논의에 이르기까지 사회 이론가로서 세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세계적인 사회학자가 사회학 입문서를 쓴다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 일이었지만, 기든스는 혼신의 힘을 다하여 이 책을 계속 보완하며 제8판에 이르렀다. 그의 저작은 전 세계 29개 국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고 있는데, 기든스 자신이 폴리티(Polity)라는 학술 전문 출판사를 공동 설립해서 매년 80여 권의 학술 서적을 간행하는 출판인이기도 하다. 영국 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했으며(1959), 런던정치경제대학교(LSE)에서 사회학 석사 학위를,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976). 영국 레스터대학교 사회학 강사(1961~1970), 케임브리지대학교 강사와 교수(1970~1997)를 거쳐 런던정치경제 대학교 학장(1997~2003)을 역임했다. 현재 런던정치경제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 『자본주의와 현대 사회 이론』(1971), 『선진 사회의 계급 구조』(1973), 『사회학 방법의 새로운 규칙』(1976), 『사적 유물론 비판』(1981), 『민족 국가와 폭력』(1985), 『근대성의 결과』(1990), 『근대성과 자아 정체성』(1991), 『친밀성의 변동: 현대 사회의 성, 사 랑, 에로티시즘』(1992), 『좌파와 우파를 넘어서』(1994), 『사회학의 변론』(1996), 『제3의 길: 사회 민주주의 쇄신』(1998), 『노동의 미래』(2002)가 있다.

임영일(옮긴이)

<중국과 사회주의>

박노영(옮긴이)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현재 민주노총 대전지역본부 지도위원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와 역서로는 『노동과 발전의 사회학』(2003, 공저), 『자본주의와 현대사회이론』(2008, 공역), 논문으로는 「지구화와 계급」(2007), 「철도산업 사유화: 공익적 관점에서의 비판」(2009)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고전에서 현대를 읽는다 / 박노영 = 13
감사의 말 = 27
저자의 말 = 29
서론 = 37
제1부 마르크스
 제1장 마르크스의 초기 저작 = 49
 제2장 사적 유물론 = 77
 제3장 생산관계와 계급구조 = 103
 제4장 자본주의 발전의 이론 = 121
제2부 뒤르켕
 제5장 뒤르켕의 초기 저작 = 153
 제6장 사회학적 방법에 관한 뒤르켕의 견해 = 179
 제7장 개인주의·사회주의·직업집단 = 201
 제8장 종교와 도덕률 = 217
제3부 막스 베버
 제9장 프로테스탄티즘과 자본주의 = 241
 제10장 베버의 방법론 저작 = 263
 제11장 사회학의 기초개념 = 283
 제12장 합리화·세계종교·서구 자본주의 = 321
제4부 자본주의.사회주의.사회이론
 제13장 마르크스의 영향 = 349
 제14장 종교·이데올로기·사회 = 381
 제15장 사회분화와 분업 = 411
저자 후기 = 439
옮긴이의 말 = 447
찾아보기 = 451

관련분야 신착자료

大塚啓二郎 (2023)
최병선 (2023)
柄谷行人 (2023)
Garritzmann, Julian L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