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우리말 문법론 (33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고영근 高永根, 1936- 구본관 具本寬, 1966-, 저
서명 / 저자사항
우리말 문법론 / 고영근, 구본관
발행사항
파주 :   집문당,   2008   (2016 10쇄)  
형태사항
xii, 593 p. ; 23 cm
ISBN
8930313558 9788930313551
서지주기
참고문헌(p. 533-556)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428750
005 20161021142325
007 ta
008 080307s2008 ggk b 001c kor
020 ▼a 8930313558 ▼g 93710
020 ▼a 9788930313551 ▼g 93710
035 ▼a (KERIS)BIB000011213983
040 ▼a 211046 ▼d 211046 ▼d 211009 ▼c 211009
082 0 4 ▼a 495.75 ▼2 22
085 ▼a 497.5 ▼2 DDCK
090 ▼a 497.5 ▼b 2008
100 1 ▼a 고영근 ▼g 高永根, ▼d 1936- ▼0 AUTH(211009)57949
245 1 0 ▼a 우리말 문법론 / ▼d 고영근, ▼e 구본관
260 ▼a 파주 : ▼b 집문당, ▼c 2008 ▼g (2016 10쇄)
300 ▼a xii, 593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533-556)과 색인수록
700 1 ▼a 구본관 ▼g 具本寬, ▼d 1966-, ▼e▼0 AUTH(211009)120978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08 등록번호 111462632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14-09-29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08 등록번호 11161532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5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참고 청구기호 497.5 2008 등록번호 192048824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97.5 2008 등록번호 1211674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97.5 2008 등록번호 1212379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5 2008 등록번호 1512576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08 등록번호 111462632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14-09-29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08 등록번호 11161532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5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참고 청구기호 497.5 2008 등록번호 192048824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97.5 2008 등록번호 1211674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97.5 2008 등록번호 1212379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5 2008 등록번호 1512576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전체적으로 학교문법의 체계를 따르고 있지만 조사나 어미에 대한 연구, 조어법 연구, 시제나 서법의 연구 등에서는 최근의 연구를 받아들여 학교문법의 체계를 대폭적으로 보완했다. 특히 현행 학교문법에서 통용되는 '높임법' 체계는 현실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 보고 이희승의 '공대법' 체계를 수용했다.

조사와 어미의 장을 따로 마련하여 다루고, 비슷한 기능을 가지는 문법범주를 특징적인 명칭을 붙여 묶었다. 본문 외에 풍부한 덧붙임을 붙였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본문은 전통문법 체계를 바탕으로 일관된 흐름으로 기술했고, 덧붙임에서는 최근의 생성문법까지를 포함한 다양한 학설을 소개함으로써 국어 문법 연구의 흐름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했다.

우리말의 특성에 맞는 문법서로, 전통문법에 바탕을 둔 현행 학교문법의 체계를 준수하고 풍부한 덧붙임을 통해 우리말의 특성에 주목한 다양한 학설을 소개했다. 아울러 해방 후 북한에서 이루어진 성과도 수용함으로써 언어문화 통합의 기반을 조성코자 했다.
전체적으로 학교문법의 체계를 따르고 있지만 조사나 어미에 대한 연구, 조어법 연구, 시제나 서법의 연구 등에서는 최근의 연구를 받아들여 학교문법의 체계를 대폭적으로 보완했다. 특히 현행 학교문법에서 통용되는 '높임법' 체계는 현실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 보고 이희승의 '공대법' 체계를 수용했다. 조사와 어미의 장을 따로 마련하여 다루고, 비슷한 기능을 가지는 문법범주를 특징적인 명칭을 붙여 묶었다. 본문 외에 풍부한 덧붙임을 붙였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본문은 전통문법 체계를 바탕으로 일관된 흐름으로 기술했고, 덧붙임에서는 최근의 생성문법까지를 포함한 다양한 학설을 소개함으로써 국어 문법 연구의 흐름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고영근(지은이)

1936년 경남 진양군 (현재 진주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와 대학원을 거쳐 같은 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문학박사). 훔볼트 초빙교수로 독일 라이프치히 소재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만하임 소재 독일어 연구원, 보훔, 콘스탄츠, 함부르크, 뷔르츠부르크 대학에서 이 론문법과 텍스트과학을 연구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있으며 어학전문 국제학술지 『형태론』의 편집고문과 <이극로박사 기념사업회> 회장을 맡고 있다. 짖고 엮은 책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2018), 한국어와 언어 유형론(2018),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2004/2007 보정판),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1981/1986 재판/1998 보정판/2011 제4판), 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1993), 국어형태론연구(1989/1999 증보판), 텍스트이론(1999), 텍스트과학(2011), 단어·문장·텍스트(1995/2004 보정판), 표준 중세 국어 문법론(1997/2009 개정판/2010 제3판/2020 제4판), 역대한국문법의 통합적 연구(2001), 한국의 언어연구(2001), 국어문법의 연구(1983), 민족어의 수호와 발전(2008), 민족어학의 건설과 발전(2011), 한국어문 운동과 근대화(1998), 북한의 언어문화(1999), 북한의 문법연구와 문법지식의 응용화(2008), 최현배의 학문과 사상(1995), 통일시대의 語文問題(1994), 표준국어문법론(공저 1985/1993 개정판/2011 제3판/2014 제4판), 새로 쓴 표준 국어문법론(2019 전면개정판), 북한의 문법연구와 문법교육(공저 2004), 한국텍스트과학의 제과제(공저 2001), 문법과 텍스트(공저 2002),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분석(공저 2003), 우리말 문법론(공저 2008/2018 개정판), 중세어자료강해(공편 1997), 문법(국정단일통일 고등학교 1985, 1992), 주시경의 『국어문법』(공동교감 1986), 역대한국문법대계 153책(공편 1977~2015), 우리 언어 문화의 뿌리를 찾아(어문수상집 1996), 우리 언어 문화의 바른 길을 찾아서(어문수상집 2020) 등 50여 종 수상 세종문화상(1996), 일석국어학상(2004), 삼일문화상(2008), 외솔문화상(2020)

구본관(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겸무연구원 대표 논저 『15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1998) 『우리말 문법론』(2008, 2018개정판, 공저) 『어휘 교육론』(2014, 공저) 『다문화 시대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2016, 공저) 『한국어 표준 문법』(2018, 공저)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총론
 제1장 문법과 문법 연구 = 3
  1.1. 문법이란 무엇인가 = 3
  1.2. 문법의 영역과 연구방법 = 7
 제2장 우리말 문법 현상의 특징 = 13
  2.1. 형태적 특징 = 13
  2.2. 통사적 특징 = 16
제2부 형태론
 제3장 형태소의 분석 방법과 단위들 = 25
  3.1. 분석 방법 = 25
  3.2. 형태소 = 28
  3.3. 단어 = 31
 제4장 품사 분류 = 41
  4.1. 품사 분류에 대한 이해 = 41
  4.2. 우리말의 품사 분류 기준과 품사 분류 = 42
  4.3. 우리말의 품사 체계 = 44
  4.4. 품사의 통용 = 49
 제5장 체언과 그 쓰임 = 63
  5.1. 명사 = 63
  5.2. 대명사 = 69
  5.3. 수사 = 77
  5.4. 체언과 복수 = 81
 제6장 용언과 그 쓰임 = 93
  6.1. 동사 = 93
  6.2. 형용사 = 96
  6.3. 보조용언 = 99
  6.4. 용언의 활용 = 105
 제7장 수식언 및 독립언과 그 쓰임 = 123
  7.1. 관형사 = 123
  7.2. 부사 = 128
  7.3. 감탄사 = 135
 제8장 조사와 어미 = 147
  8.1. 조사 = 147
   8.1.1. 조사의 특징과 종류 = 147
   8.1.2. 격조사 = 150
   8.1.3. 접속조사 = 158
   8.1.4. 보조사 = 159
   8.1.5. 조사의 결합 = 163
  8.2. 어미 = 167
   8.2.1. 어미의 특성과 종류 = 167
   8.2.2. 어말어미 = 172
   8.2.3. 선어말어미 = 177
   8.2.4. 어미의 결합 = 179
 제9장 단어 형성의 원리 = 199
  9.1. 단어의 짜임새 = 199
   9.1.1. 조어론 연구의 두 가지 관점 = 199
   9.1.2. 짜임새에 따른 단어의 분류 = 200
   9.1.3. 어근, 어간과 접사, 어미 = 203
  9.2. 파생법 = 206
   9.2.1. 파생법과 파생접사 = 206
   9.2.2. 접두파생법 = 210
   9.2.3. 접미파생법 = 214
  9.3. 합성법 = 230
   9.3.1. 합성법과 합성어 = 230
   9.3.2. 품사별 합성어 = 236
   9.3.3. 반복합성어 = 241
  9.4. 한자어 단어 형성 = 243
   9.4.1. 한자어와 단어 형성 = 243
   9.4.2. 한자어 파생법 = 246
   9.4.3. 한자어 합성법 = 250
제3부 통사론
 제10장 문장의 구조와 성분 = 271
  10.1. 기본문형과 문장의 성분 = 271
   10.1.1. 기본문형의 설정 = 271
   10.1.2. 문장 형성의 단위 = 272
   10.1.3. 어절과 성분 = 272
  10.2. 주성분 = 276
   10.2.1. 주어 = 276
   10.2.2. 서술어 = 284
   10.2.3. 목적어와 보어 = 291
  10.3. 부속성분 = 302
   10.3.1. 관형어 = 302
   10.3.2. 부사어 = 310
  10.4. 독립성분 = 315
   10.4.1. 감동어 = 315
   10.4.2. 호격어 = 316
   10.4.3. 접속어 = 318
   10.4.4. 제시어 = 319
 제11장 일과 관련된 문법 범주 = 333
  11.1. 부정 = 333
   11.1.1 부정과 부정문 = 333
   11.1.2. 짧은 부정문과 긴 부정문 = 337
   11.1.3. '안' 부정문과 '못' 부정문과 '말다' 부정문 = 339
  11.2. 피동 = 344
   11.2.1. 피동과 피동문 = 344
   11.2.2. 피동문의 유형 = 348
   11.2.3. 피동문 형성과 관련된 문제들 = 352
   11.2.4. 능격 표현 = 354
  11.3. 사동 = 358
   11.3.1. 사동과 사동문 = 358
   11.3.2. 사동문의 유형과 의미 = 361
 제12장 앎과 시간에 관련된 문법 범주 = 379
  12.1. 서법 = 379
   12.1.1. 서법이란 무엇인가 = 379
   12.1.2. 직설법 = 381
   12.1.3. 부정법 = 384
   12.1.4. 회상법 = 385
   12.1.5. 추측법 = 390
   12.1.6. 원칙법과 확인법 = 393
   12.1.7. 서법과 양태성, 시간성, 동작성 = 396
  12.2. 시제 = 398
   12.2.1. 현재시제 = 400
   12.2.2. 과거시제 = 402
   12.2.3. 미래시제 = 405
   12.2.4. 시제와 시간성, 양태성, 동작성 = 408
  12.3. 동작상 = 409
   12.3.1. 동작상이란 무엇인가 = 409
   12.3.2. 동작류와 동작성 = 410
   12.3.3. 완료상 = 411
   12.3.4. 진행상 = 413
   12.3.5. 동작상과 양태성 = 416
 제13장 사람과 관련된 문법 범주 = 425
  13.1. 결어법 = 425
   13.1.1. 문체법 = 425
   13.1.2. 존비법 = 444
  13.2. 공대법 = 457
   13.2.1. 존경법 = 458
   13.2.2. 겸손법 = 465
 제14장 문장의 확장 = 483
  14.1. 이어진 문장 = 484
   14.1.1. 이어진 문장의 유형 = 484
   14.1.2. 이어진 문장들의 통사적 차이 = 489
   14.1.3. 이어진 문장의 구성과 통사적 제약 = 492
  14.2. 안은 문장 = 496
   14.2.1. 안은 문장의 범위와 구성 = 496
   14.2.2. 명사절을 가진 안은 문장 = 499
   14.2.3. 관형사절을 가진 안은 문장 = 502
   14.2.4. 부사절을 가진 안은 문장 = 505
   14.2.5. 인용절을 가진 안은 문장 = 508
   14.2.6. 서술절을 가진 안은 문장 = 512
참고논저 = 533
용어풀이(glossary) = 557
찾아보기
 1. 문법용어 = 569
 2. 문법형태 = 58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