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k 4500 | |
001 | 000045427926 | |
005 | 20221128131853 | |
007 | ta | |
008 | 080317s2007 ulka b 000a kor | |
020 | ▼a 9788957042274 ▼g 9335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52 ▼2 22 |
090 | ▼a 352 ▼b 1993j ▼c 2007-9 | |
100 | 1 | ▼a 이광희 |
245 | 1 0 | ▼a 거버넌스 지수 도입방안에 대한 연구 : ▼b 새로운 국정평가모형 구축을 중심으로 / ▼d 연구책임: 이광희 ; ▼e 공동연구: 정하용 ; ▼e 연구참여: 김길수. |
260 | ▼a 서울 : ▼b 한국행정연구원, ▼c 2007. | |
300 | ▼a 244 p. : ▼b 삽도 ; ▼c 25 cm. | |
440 | 0 0 | ▼a KIPA 연구보고서 ; ▼v 2007-09 |
500 | ▼a 부록수록 | |
504 | ▼a 참고문헌: p. 175-181 | |
700 | 1 | ▼a 정하용, ▼e 연구 |
700 | 1 | ▼a 김길수, ▼e 연구 |
710 | ▼a 한국행정연구원 ▼0 AUTH(211009)86926 | |
910 | ▼a KIPA | |
910 | ▼a (The)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2 1993j 2007-9 | Accession No. 11146090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Ⅰ. 서론 1. 연구목적 = 2 1) 문제제기 = 2 2) 연구의 필요성 = 5 2.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 7 1) 연구범위 = 7 2) 연구방법 = 9 Ⅱ. 이론적 논의 1. 국정평가의 개념 = 12 1) 국가 및 국가역량 = 12 2) 국정평가의 대상: 국가발전과 국가역량 = 17 3) 국정평가와 정부업무평가 = 22 2. 평가방법론 = 27 1) 지표방식 vs 설계모형 = 28 2) 과정평가 vs 결과평가 = 33 3) 정부업무평가에 대한 평가방법론적 분석 = 35 4) 국정평가 방법론 = 40 3. 분석틀 = 42 Ⅲ. 국내외 사례 분석 1. 국가발전지표 = 48 1) Canada's Performance = 48 2) Measures of Australia's Progress(MAP) = 54 3) USA Series 0.5 = 60 4) 비교분석 = 64 2. 국제기구의 국가평가지표 = 71 1) Global Competitiveness Index = 71 2) World Competitiveness Index = 76 3)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SDI) = 80 4) 비교 분석 = 85 3. 국정평가 차원에서 운영되는 국내 사례 = 92 1) e-나라지표 = 92 2) Vision 2030 = 96 3) 참여정부 성과평가 = 101 4) 비교분석 = 117 4. 사례 분석 종합 = 126 Ⅳ. 새로운 국정평가의 모형 1. 모형 연구의 의의와 범위 = 132 2. 국정평가의 모형과 구성요소 = 133 1) 전체 모형 = 133 2) 평가주체 = 134 3. 국가발전(National Progress) 지표 = 136 1) 국가발전(National Progress)의 개념 = 137 2) 국가발전의 영역 = 139 3) 지표체계 = 144 4) 측정주기 및 공표 = 150 4. 국가역량(State Capacity) 평가 = 151 1) 국가역량(State Capacity)의 개념 = 152 2) 국가역량의 영역 = 153 3) 평가방식 = 157 4) 측정주기 및 공표 = 164 5. 국정평가모형의 활용방안 = 165 1) 국정성과에 대한 정보의 집약적 제공 = 165 2) 국가발전 전략 수립 및 추진에 활용 = 165 3) 국정 최고관리자의 국정운영 수단 = 166 4) 국정평가와 정부업무평가의 연계 = 167 5) 국정평가의 제도화 = 167 Ⅴ. 결론 1. 연구 요약 = 170 2.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 172 참고문헌 = 175 부록 1. World Competitiveness Index = 184 2. 정부기능분류체계(BRM) =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