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2
제2절 연구의 목적 = 4
제3절 연구방법 = 5
제2장 공공기관 혁신평가에 관한 논의
제1절 혁신에 대한 개념적 검토 = 8
1. 혁신의 개념 = 8
2. 정부혁신의 의의와 개념 = 10
3. 경영혁신(기업혁신)의 개념 = 15
4. 정부혁신과 경영혁신의 비교 = 17
제2절 공공기관 혁신평가제도에 관한 논의 = 19
1. 참여정부의 정부혁신 추진체계 = 19
2. 공공기관 혁신평가 모태로서의 정부혁신관리평가제도 = 20
3. 공공기관 혁신평가제도 = 25
4. 공공기관 혁신평가와 경영평가 비교 = 36
제3장 메타평가 모형 설계
제1절 공공기관 혁신평가에 대한 메타평가의 필요성 = 48
제2절 메타 평가에 대한 이론적 검토 = 53
1. 메타평가에 대한 개념적 정의 = 53
2. 메타평가의 필요성 = 54
3. 메타평가의 유형과 평가표준 = 56
4. 메타평가의 선행연구 = 58
5. 메타평가의 구성요소 = 61
6. 메타평가의 문제점 = 62
제3절 메타평가의 분석틀과 요소들간 관계분석모형의 설정 = 63
1. 분석 틀 = 63
2. 혁신평가 결과에 대한 분석모형 = 66
제4절 분석 방법 = 75
제4장 결과 분석
제1절 면담조사결과 분석 = 80
1. 평가 투입 영역 = 80
2. 평가 실행 영역 = 81
3. 평가 결과 및 활용 영역 = 84
제2절 공공기관혁신평가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분석 = 86
1. 평가 투입 = 86
2. 평가 실행 = 91
3. 평가 결과 및 활용 = 108
제3절 평가 결과에 대한 가설 검증 = 116
1. 수용도에 대한 가설 검증 = 116
2. 혁신 기여도에 대한 가설 검증 = 117
3. 혁신평가의 효과성에 대한 가설 검증 = 119
4. 공정성 영향요인 분석 = 120
5. 타당성 영향요인 분석 = 122
제5장 공공기관 혁신평가제도 개선방안
제1절 평가 투입 단계 = 127
1. 혁신평가와 경영평가의 통합 운영 = 127
2. 혁신평가단 구성방법 = 128
3. 평가활동에 대한 환류 = 129
4. 혁신평가 시행일정 조정 = 130
제2절 평가 실행 단계 = 131
1. 평가방식의 개선 = 131
2. 혁신리더십 영역 평가방법의 개선 = 133
3. 혁신성과 영역 평가방법의 개선 = 134
4. 혁신평가 틀의 개선 = 134
5. 실적보고서 작성기간 개선 = 136
6. 실적보고서 작성지침 위반에 따른 불이익 강화 = 137
7. 실적보고서 제출 시 추가 자료 제출 허용 = 137
8. 실적보고서에 대한 사후검증 필요성 = 139
9. 현장실사/면담 개선 = 140
10. 평가에 대한 이의 제기 기회 제공 = 142
제3절 평가 결과 및 활용 단계 = 143
1. 평가결과보고서 보완 = 143
2. 평가 결과의 활용 = 144
3. 평가결과 발표회 개최 = 144
4. 혁신컨설팅 = 145
제6장 결론 = 148
참고문헌 = 153
부록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