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 2
제2절 연구의 목적 = 2
제2장 성과관리제도의 이론적 논의
제1절 성과관리제도의 개관 = 6
1. MBO(Management By Objective) 시스템 = 8
2. BSC(Balanced Score Card) 시스템 = 9
제2절 성과관리제도의 선행연구 = 10
1. 법ㆍ제도적 측면 = 15
2. 경제적 측면 = 16
3. 문화적 측면 = 17
4. 정보시스템 측면 = 18
제3절 수용성 결정요인의 이론적 배경 = 19
1. 법ㆍ제도 측면 = 19
2. 경제적인 측면 = 21
3. 문화적 측면 = 24
4. 정보시스템 측면 = 27
제4절 참여정부의 성과관리제도 현황 = 29
1. 성과관리제도의 추진현황 = 29
2. 각 부처별 성과관리모델 = 34
3. 각 성과관리모델별 장단점 = 39
제3장 연구설계
제1절 분석의 틀 = 44
제2절 변수정의 = 45
1.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 45
2. 연구모형 = 47
제3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48
1. 자료수집 = 48
2. 분석방법 = 50
제4장 실증분석
제1절 기술통계 = 54
1. 부처별 = 54
2. 근무기관별 = 74
3. 연령별 = 75
4. 성별별 = 76
5. 직급별 = 77
6. 평정자 위치별 = 78
7. 입직경로별 = 78
8. 학력별 = 80
9. BSC 모델 도입 시기별 = 81
10. 성과관리모델별 = 82
11. 소결론 = 83
제2절 분산분석을 통한 요인별 차이분석 = 84
1. 법ㆍ제도적 측면 = 84
2. 경제적 측면 = 89
3. 문화적 측면 = 94
4. 정보시스템 측면 = 97
5. 수용성 = 99
6. 소결론 = 100
제3절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수용성 영향요인 = 101
1. 수용성 영향요인 = 101
2. 집단 간 수용성 차이 = 110
제5장 성과관리제도 수용성 개선방안
제1절 현황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 118
제2절 실증분석을 통한 개선방안1(분류기준별) = 122
1. 부처별 = 122
9. 근무기간별 = 123
3. 연령별 = 123
4. 성별 = 124
5. 직급별 = 124
6. 평정자위치별 = 124
7. 입직경로별 = 125
8. 학력별 = 126
9. BSC 도입시기별 = 126
10. 성과관리모델별 = 127
제3절 실증분석을 통한 개선방안2(종합적) = 128
제6장 결론
제1절 연구결과 요약 = 136
제2절 정책적 제언 = 137
제3절 향후 연구과제 = 140
참고문헌 = 142
부록
〈부록 1〉 설문조사 인구통계학적 배경 = 152
〈부록 2〉 주요 변수별 설문 평균 결과 = 154
〈부록 3〉 참여정부의 성과관리 유형별 모델 = 215
〈부록 4〉 병무청 성과관리 등에 관한 규정 = 243
〈부록 5〉 행정자치부 2007년도 성과관리제도 개선방향 = 272
〈부록 6〉 건설교통부 2007년도 성과관리제도 개선방향 = 277
〈부록 7〉 설문조사지 = 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