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사 = 6
목차 = 10
표목차 = 14
그림목차 = 16
제1장 참여정부의 행정개혁 왜, 어떻게 시작? = 20
제1절 행정개혁의 개요 = 22
1. 행정개혁의 필요성 = 22
2. 행정개혁의 비전과 목표 = 25
제2절 행정개혁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 29
1. 행정개혁 추진전략 = 29
2. 행정개혁 추진체계 = 35
제2장 효율적인 행정으로의 변화 = 40
제1절 성과중심의 행정시스템 구축 = 42
1. 국가평가인프라 구축 = 42
2. BPR을 통한 일하는 방식 개선 = 61
3. 유연하고 탄력적인 조직문화 조성 및 권위주의 문화청산 = 68
제2절 정부기능의 체계화 = 74
1. 수평적 정책조정체계 강화 = 74
2. 국가재난관리시스템 제도화 = 85
3. 분권형 정부조직 설계 = 96
4. 총액인건비제도 도입 = 102
5. 업무재설계와 연계한 인력의 단·중장기 활용계획 수립 = 109
6. 정부조직 재설계 = 113
(1) 가족/청소년기능 개편 = 113
(2) 소비자정책/공정거래기능 조정 = 122
(3) 과학기술 조직·기능 개편 = 125
(4) 해외홍보기능 일원화 = 134
(5) 공직자 재산등록 심사업무 소관 조정 = 139
(6) 국립묘지 관할권 일원화 = 144
(7) 방위사업청 설립 = 147
(8) 식품안전관리기능 개편 = 152
(9) 하천방재기능 조정 = 161
(10) 물관리기능 일원화 = 166
(11) 국토 및 환경관리기능 조정 = 171
(12) 고용안정기능 강화 = 178
(13) 통계인프라 강화 = 187
(14) 외교통상기능 강화 = 193
(15) 부처자율기능조정 = 204
(16) 산업안전관리기능 강화 = 209
제3장 봉사하는 행정으로의 변화 = 216
제1절 행정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 218
1. 서비스 스탠다드 추진 = 218
2. 일선기관 서비스 공급역량 제고 = 223
3. 행정서비스 민간위탁 제도 개선 = 227
제2절 고객지향적 민원제도 개선 = 232
1. 소외민원 처리제도 개선 = 232
2. 전국적 민원연계시스템 구축 = 239
제4장 투명한 행정으로의 변화 = 248
제1절 행정의 개방성 강화 = 250
1. 행정정보 공개 확대 및 접근성 제고 = 250
2. 정책실명제 및 주요사안 기록 의무화(정책품질관리제도 등) = 254
제2절 행정행위의 투명성 제고 = 259
1. 인터넷 민원서비스 확대 = 259
2. 행정절차의 투명성 강화 = 263
3. 재량행위의 투명화 = 267
제5장 함께하는 행정으로의 변화 = 272
제1절 시민사회와 협치 강화 = 274
1. 정책공동체 활성화 = 274
2. 전문옴브즈만 제도 도입 = 279
제2절 공익활동 적극지원 = 284
1. 자원봉사활동 인프라 구축 = 284
2. 시민단체 활동여건 개선 = 287
제6장 깨끗한 행정으로의 변화 = 292
제1절 공직부패에 대한 체계적 대응 = 294
1. 부조리 유발 제도·규제 개선 및 분야별 반부패 대책 마련 = 294
2. 감찰기관간 견제와 균형 = 301
제2절 공직윤리의식 함양 = 304
1. 행동강령 내실화 = 304
2. 공직자윤리제도 개선 = 310
제7장 참여정부 행정개혁의 평가 및 전망 = 314
제1절 분야별 주요 성과 및 평가 = 316
1. 분야별 주요 성과 = 316
2. 평가 = 324
제2절 차기 정부에의 기대 및 향후 전망 = 328
전문가가 바라본 참여정부의 행정개혁 = 334
정부혁신과 행정개혁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미래 = 336
부록 = 346
1. 행정개혁전문위원회 위원 명단 = 348
2. 행정개혁 과제별 T/F 구성 현황 = 350
3. 행정개혁전문위원회 운영 현황 = 352
행정개혁 백서 집필/감수 명단 = 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