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와인생활백서

와인생활백서 (Loan 1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田崎眞也 , 1958 김진섭 , 역
Title Statement
와인생활백서 / 다사키 신야 지음 ; 김진섭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Wine Books ,   2008.  
Physical Medium
243 p. : 색채삽도 ; 22 cm.
Varied Title
ワイン生活 : 樂しく飮むための200のヒント
기타표제
세계 최고의 소믈리에 다사키 신야의 알기 쉬운 와인 입문서. 알아두면 편리한 와인 생활 상식 200가지!
ISBN
9788995606872
General Note
부록: 세계의 와인 정보  
000 00904namccc200277 k 4500
001 000045426304
005 20100806054843
007 ta
008 080310s2008 ulka 000a kor
020 ▼a 9788995606872 ▼g 0359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641.22 ▼2 22
090 ▼a 641.22 ▼b 2008z3
100 1 ▼a 田崎眞也 , ▼d 1958
245 1 0 ▼a 와인생활백서 / ▼d 다사키 신야 지음 ; ▼e 김진섭 옮김.
246 0 3 ▼a 세계 최고의 소믈리에 다사키 신야의 알기 쉬운 와인 입문서. 알아두면 편리한 와인 생활 상식 200가지!
246 1 9 ▼a ワイン生活 : 樂しく飮むための200のヒント
260 ▼a 서울 : ▼b Wine Books , ▼c 2008.
300 ▼a 243 p. : ▼b 색채삽도 ; ▼c 22 cm.
500 ▼a 부록: 세계의 와인 정보
700 1 ▼a 김진섭 , ▼e
900 1 1 ▼a Tasaki, Shinya
940 ▼a Wine seikatsu-tanoshiku nomutame no 200 no hinto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41.22 2008z3 Accession No. 12116606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41.22 2008z3 Accession No. 12116606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옮긴이의 말 = 9
Part 1 가정에서 즐기는 와인 
 Chapter 1. 와인을 사러 가다 
  좋은 와인 숍, 그렇지 않은 와인 숍 = 31
   Q1. 어떤 와인 숍에서 와인을 사는 것이 좋을까요? = 31
   Q2. 와인 숍에서는 어떤 식으로 상담하면 좋을까요? = 32
   Q3. 가격 차이와 맛의 차이는 비례하나요? = 32
   Q4. 수입 와인 가격은 현지 가격과 차이가 얼마나 날까요? = 34 
  레이블에 관하여 = 34
   Q5. 와인 레이블에 있는 연도는 무엇을 표시한 것인가요? = 34
   Q6. 샤토는 고급 와인을 의미하는 말인가요? = 36
   Q7. 도멘과 네고시앙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37
   Q8 와인 용량에는 750㎖ 외에 어떤 것이 있나요? = 38
  실패하지 않는 와인 선택법 = 39
   Q9. 일상생활에서 자주 마시는 와인을 고를 때 포인트는 무엇인가요? = 39
   Q10. 2만 원 이하의 와인을 살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 40
   Q11. 연도가 표시된 와인을 살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 41
   Q12. 와인을 선물하려고 하는데 어떤 와인이 좋을까요? = 41 
   Q13.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에서 일어난 사고 영향은 걱정하지 않아도 되나요? =  42
  겉모양만 보고도 알 수 있는 것 = 43
   Q14. 겉모양으로 품질을 판단할 수 있나요? = 43
   Q15. 레이블이 더러운 와인을 싸게 파는데 구입해도 괜찮을까요? = 44
 Chapter 2 코르크를 열다 
  그 전에 잠깐! = 47
   Q16. 와인은 숙취가 심하다는데 정말인가요? = 47
   Q17. 와인이 몸에 좋다고 하는 까닭은 무엇인가요? = 48
   Q18. 레드 와인이 성인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데 사실인가요? = 48
   Q19. 와인은 다른 술보다 살이 찌기 쉬운가요? = 49
   Q20. 와인에도 유통기한이 있나요? = 50
   Q21. 와인의 적절한 음용시기는 언제인가요? = 50
   Q22. 어떤 와인이 맛있는 와인인가요? = 51
   Q23. '젊은 와인'인지 어떻게 구별하나요? = 52
  마개를 따는 비결 = 53
   Q24. 코르크 와인과 스크루 캡 와인은 무슨 차이가 있나요? = 53
   Q25. 가정용 병따개로 어떤 것이 좋은가요? = 54
   Q26. 일반인도 소믈리에 나이프를 사용할 수 있나요? = 54
   Q27. 어떻게 하면 샴페인 뚜껑을 잘 열 수 있나요? = 55
   Q28. 오래된 빈티지 와인을 열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 56
   Q29. 코르크가 길고 짧은 것은 무슨 차이인가요? = 56
   Q30. 코르크의 수명은 얼마나 되나요? = 57
   Q31. 코르크가 병 속으로 빠지면 어떻게 하나요? = 58
   Q32. 글라스에 들어간 코르크 조각은 먹으면 안 되나요? = 59   
  레드 와인은 실온으로, 화이트 와인은 차게? = 59
   Q33. 레드 와인과 화이트 와인의 적정 음용온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 59
   Q34. 레드 와인도 차게 해서 마실 수 있나요? = 60
   Q35. 온도계를 사용하지 않고 적정 음용온도를 맞추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 61
   Q36. 와인을 차게 할 시간이 없을 때 냉동실에 넣어서 차게 해도 괜찮은가요? = 62
   Q37. 와인에 물이나 얼음을 넣어 마셔도 되나요? = 62 
  와인 글라스가 필요한 이유 = 63
   Q38. 레드 와인은 마개를 서둘러 열어두라고 하는데 왜 그런가요? = 63
   Q39. 화이트 와인은 마개를 빨리 열어둘 필요가 없나요? = 64
   Q40. 디캔딩이 무엇인가요? = 65
   Q41. 디캔터가 없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 66
   Q42. 와인 종류에 적합한 와인 글라스 형태나 용량이 있나요? = 66
   Q43. 와인의 향기나 맛을 제대로 음미하려면 어떻게 마셔야 하나요? = 68
   Q44. 글라스의 질은 와인 맛과 관계가 있나요? = 69
   Q45. 가정용으로 와인 글라스를 선택한다면 어떤 모양이 좋을까요? = 69
   Q46. 가정용에서 쓰기에 어떤 형태의 와인 글라스가 좋을까요? = 71
  침전물이 생기면 = 71
   Q47. 침전물의 정체는 무엇인가요? = 71
   Q48. 침전물이 있으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 72
   Q49. 빈티지 포트는 특별하게 취급해야 하나요? = 73
  와인이 남았다면 = 75
   Q50. 마시다 남은 와인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 75
   Q51. 마시다 남은 와인을 달리 즐기는 방법이 없을까요? = 76
   Q52. 마시다 남은 와인은 요리에 어떻게 이용하나요? = 77
   Q53. 쉽게 만들 수 있는 와인 조미료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 78
   Q54. 달콤한 와인도 요리에 쓸 수 있나요? = 79
   Q55. 마시다 남은 스파클링 와인도 보존할 수 있나요? = 79
   Q56. 와인을 마신 뒤 병의 레이블을 떼어내려면 어떻게 하나요? = 80
 Chapter 3 와인의 보존 
  병을 옆으로 눕히지 않는 것이 요즘 상식 = 83
   Q57. 와인을 보존할 때 꼭 알아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 83
   Q58. 보존 상태가 나쁘다는 것은 어떤 상태를 말하나요? = 84
   Q59. 와인을 흔들면 안 된다고 하는데, 맛에 어느 정도 영향이 있나요? = 85
  가정에 보관하는 경우 = 86
   Q60. 가정에서는 어떻게 보관하면 좋을까요? = 86
   Q61. 와인셀러를 구입하려는데 어떤 것이 좋을까요? = 87
   Q62. 와인셀러의 전원부 진동이 신경 쓰이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 88
   Q63. 카브를 만들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 88 
Part 2 와인을 요리와 맞추는 비결 
 Chapter 1 가정요리로 와인을 즐기다 
  알아두면 좋은 기본 정보 = 95
   Q64. 생선 요리에는 화이트 와인, 고기 요리에는 레드 와인이라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95
   Q65. 요리와 와인을 함께 낼 때 쉽게 조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 96
   Q66. 패턴에 맞는 구체적인 요리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 97
   Q67. 와인과 요리의 궁합이 잘 맞는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요? = 98
   Q68. 와인과 요리의 조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 100 
  와인과 간장의 궁합 = 101
   Q69. 요리와 술을 조합할 때 와인과 청주는 어떻게 다른가요? = 101
   Q70. 일식과 와인은 맞지 않는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 101
   Q71. 와인과 궁합이 좋지 않은 요리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 102
   Q72. 와인과 어울리지 않는 음식은 없나요? = 103
   Q73. 간장과 와인은 궁합이 맞지 않는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 104
   Q74. 치즈와 와인은 궁합이 좋을 때도 있고 나쁠 때도 있나요? = 105
   Q75. 와인과 맞지 않는 식재료도 있나요? = 106
   Q76. 와인에 맞춰 요리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 107
   Q77. 식초는 와인과 어울리지 않나요? = 108 
  와인을 어패류와 맞출 때 = 108
   Q78. 생선 요리에 와인을 맞출 때 포인트는 무엇인가요? = 108
   Q79. 와인과 생선회를 맛있게 먹는 비결은 무엇인가요? = 110
   Q80. 생굴과 와인은 궁합이 잘 맞나요? = 111
   Q81. 생굴은 샤블리와 잘 맞는다는데 정말인가요? = 112
   Q82. 조개류에는 어떤 와인이 어울리나요? = 114
   Q83. 샴페인과 조개 요리의 궁합은 어떤가요? = 115
   Q84. 생선구이와 와인을 조합하는 비결은 무엇인가요? = 116
   Q85. 생선 요리에는 어떤 와인이 잘 어울리나요? =117
   Q86. 장어와 와인의 궁합은 어떤가요? = 120 
  와인을 고기 요리와 맞출 때 = 122
   Q87. 고기 요리와 와인을 맞추는 비결은 무엇인가요? = 122
   Q88. 고기 요리에는 레드 와인이라는데 왜 그런가요? = 123
   Q89. 쇠고기 다타키에는 어떤 와인이 잘 어울리나요? = 123
   Q90. 차돌박이에는 어떤 와인이 잘 어울리나요? = 124
   Q91. 돈가스에는 어떤 와인이 잘 어울리나요? = 125
   Q92. 햄이나 소시지에는 어떤 와인이 잘 어울리나요? = 126
  와인을 채소 요리와 맞출 때 = 127
   Q93. 채소 샐러드에는 어떤 와인이 어울리나요? = 127
   Q94. 채소 조림에는 어떤 와인이 어울리나요? = 128
   Q95. 채소 볶음에는 어떤 와인이 어울리나요? = 129
  와인을 전골 요리와 맞출 때 = 130
   Q96. 전골 요리에는 어떤 와인이 어울리나요? = 130
   Q97. 스키야키에는 어떤 와인이 어울리나요? = 130
   Q98. 불고기에는 어떤 와인이 어울리나요? = 131
   Q99. 생선초밥에는 어떤 와인이 어울리나요? = 131
   Q100. 중화요리에는 어떤 와인이 어울리나요? = 132
   Q101. 카레에는 어떤 와인이 어울리나요? = 133
  가지고 있는 와인에 요리를 맞출 때 = 134
   Q102. 가정에 있는 와인에 맞춰 요리를 만들 때 포인트는 무엇인가요? = 134
   Q103. 가정에서 반찬과 함께 먹을 수 있는 와인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 135
   Q104. 등급이 높은 부르고뉴 레드 와인에는 어떤 요리를 곁들이면 좋을까요? = 136
   Q105. 등급이 높은 보르도 와인에는 어떤 요리를 곁들이면 좋을까요? = 137
   Q106. 로제 와인에 맞는 요리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 138
   Q107. 샴페인은 어떤 요리와 잘 맞나요? = 139
 Chapter 2 레스토랑에서 와인 즐기기 
  식전주는 무엇으로 하시겠습니까? = 143
   Q108. 매트로 도테르와 소믈리에가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 = 143
   Q109. 소믈리에는 어떤 일을 하나요? = 143
   Q110. 좋은 소믈리에와 그렇지 않은 소믈리에는 어떻게 구별하나요? = 144
   Q111. 소믈리에가 있는 고급 레스토랑을 현명하게 이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 145
   Q112. 고급 레스토랑에 갈 때 어떤 옷을 입어야 하나요? = 146
   Q113. 메뉴를 보기 전에 식전주를 물어보는데 어떤 것이 좋은가요? = 147
   Q114. 메뉴를 부탁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 149
   Q115. 유럽의 레스토랑에는 여행자용 메뉴가 있다는데 어떤 요리인가요? = 149
   Q116. 소믈리에에게 주문을 맡길 때 어떤 식으로 부탁하나요? = 150
   Q117. 요리와 와인의 예산 비율은 어느 정도가 좋을까요? = 151
   Q118. 소믈리에가 없는 레스토랑에서는 와인을 어떻게 주문하나요? = 152
   Q119. 프랑스 요리의 경우 같은 고장의 요리와 와인을 곁들이는 것이 좋은가요? = 152
   Q120. 고급 레스토랑이라도 와인은 그 지방 와인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가요? = 153
   Q121. 프랑스 레스토랑에서 추천 요리에는 추천 와인을 마시는 것이 좋은가요? = 154
   Q122. 소믈리에가 블라인드 테이스팅을 하는 목적은 무엇인가요? = 155
  와인 리스트를 앞에 두고 = 156
   Q123. 와인 지식이 전혀 없는데 어떻게 주문하나요? = 156
   Q124. 와인 지식이 약간 있는데 어떻게 주문하나요? = 157
   Q125. 와인을 꽤 많이 아는데 어떻게 주문하나요? = 158
   Q126. 손님을 접대할 때 어떤 와인을 고르면 좋을까요? = 158
   Q127. 와인 리스트를 보는 요령이 있나요? = 159
   Q128. 레스토랑의 격에 맞는 와인 리스트는 어떤 것인가요? = 161 
  레스토랑 와인이 비싼 까닭 = 161
   Q129. 레스토랑에서 파는 와인은 왜 비싼가요? = 161
   Q130. 레스토랑에 와인을 가져가도 되나요? = 163
  디캔팅을 부탁합니다 = 163
   Q131. 프렌치 레스토랑에서 맥주를 주문해도 되나요? = 163
   Q132. 글라스 와인을 주문해도 되나요? = 164
   Q133. 하우스 와인이 무엇인가요? = 165
   Q134. 레스토랑에서 레드 와인을 차게 해달라고 해도 되나요? = 165
   Q135. 화이트 와인이나 샴페인이 너무 찰 때 내 기호대로 요구해도 되나요? = 166
   Q136. 소믈리에에게 디캔팅을 부탁해도 되나요? = 167
  호스트 테이스팅 = 167
   Q137. 호스트 데이스팅은 왜, 어떻게 하나요? = 167
   Q138. 테이블에 코르크를 올려놓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168
   Q139. 호스트 테이스팅한 뒤 와인이 마음이 들지 않으면 바꿔도 되나요? = 169
   Q140. 와인은 앉은 자리 순서에 맞게 따라야 하나요? = 170
   Q141. 와인을 스스로 따라 마셔야 할 때는 어떻게 하나요? = 171
   Q142. 와인을 여성이 따라도 되나요? = 172
  치즈와 식후주 = 173
   Q143. 레스토랑에서 식후에 치즈를 주문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 173
   Q144. 레스토랑에서 달콤한 소테른을 마시고 싶을 때 음식은 어떻게 맞추나요? = 174
   Q145. 반드시 화이트 와인, 레드 와인, 소테른 순서로 마셔야 하나요? = 175
   Q146. 식후주는 어떻게 선택하나요? = 175
   Q147. 기념으로 레이블을 가져가겠다고 해도 되나요? = 177
Part 3 알아두면 좋은 기초지식 
 Chapter 1. 와인은 이렇게 만들어진다 
  와인은 어떤 술인가 = 183
   Q148. 와인은 대체 어떤 술인가요? = 183
   Q149. 와인용 포도와 식용 포도는 어떻게 다른가요? = 183
   Q150. 와인은 나라별로 어떤 차이가 있나요? = 185
   Q151. 캘리포니아 와인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 186
  화이트 와인, 레드 와인, 로제 와인 만드는 방법 = 187
   Q152. 와인 만드는 방법과 청주 만드는 방법은 어떻게 다른가요? = 187
   Q153. 와인은 언제부터 만들었나요? = 188
   Q154. 화이트 와인, 레드 와인, 로제 와인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189
   Q155. 레드 와인은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드나요? = 190
   Q156. 화이트 와인은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드나요? = 192
   Q157. 샴페인과 스파클링 와인은 무엇이 다른가요? = 192
   Q158. 로제 스파클링 와인은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드나요? = 193
  숙성의 비밀 = 194
   Q159. 와인을 오크통에서 숙성시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194
   Q160. 통의 재질로 소나무나 삼나무는 사용하지 않나요? = 195
   Q161. 위스키용 오크통은 안쪽 면을 불에 태운다는데 와인용은 어떤가요? = 196
   Q162. 오크통 이외의 숙성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 197
   Q163. 어째서 병 안에서도 계속 숙성하나요? = 198
  드라이한 맛과 달콤한 맛 = 198
   Q164. 같은 포도로 만드는데 왜 달콤한 와인과 드라이한 와인이 만들어질까요? = 198
   Q165. 세계 3대 귀부 와인은 기본적으로 같은 것이라고 생각해도 되나요? = 200
   Q166. 독일과 알자스의 달콤한 와인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201
   Q167. 효모는 무엇이고 무슨 구실을 하나요? = 201
   Q168. 말로락틱 발효는 무엇인가요? = 202
   Q169. 무농약 와인, 유기농법 와인은 어떤 와인인가요? = 203
   Q170. 모든 와인에 산화방지제가 들어 있나요? = 204
   Q171. 보존제로 소르빈산을 사용하는 와인이 있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 205
   Q172. 와인을 그냥 두면 저절로 와인 비니거로 변하나요? = 206
 Chapter 2 와인의 깊은 맛 
  색깔이나 향기로 알 수 있는 것 = 209
   Q173. 화이트 와인의 색깔은 어떻게 구별하나요? = ㅇ209
   Q174. 레드 와인의 색깔은 어떻게 구별하나요? = 210
   Q175. 레드 와인 색깔을 루비나 가닛이라고 표현하는데 어떻게 다른가요? = 211
   Q176. 레드 와인의 색이 탁한 것처럼 보일 때가 있는데 어던 상태인가요? = 212
   Q177. 와인의 외관을 볼 대 색 이외에 중요한 포인트는 무엇인가요? = 213
   Q178. 와인 향기를 찾는 포인트는 무엇인가요? = 214
   Q179. 레드 와인은 숙성되면서 어떤 향으로 바뀌나요? = 215
   Q180. 부케와 아로마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215
   Q181. 화이트 와인은 오래 보존하기 힘들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 217
   Q182. 샴페인은 기포 상태로 품질을 알 수 있나요? = 218
  맛의 구성 요소 = 218
   Q183. 와인 맛은 어떤 요소로 구성되어 있나요? = 218
   Q184. 산미가 강한 와인이 있는데 품질에는 문제가 없나요? = 220
   Q185. 레드 와인 가운데 떫은맛이 강하게 느껴지는 와인이 있는데요? = 220
   Q186. 떫은맛 때문에 마시기 힘들면 어떻게 하나요? = 221
   Q187. 떫은맛이나 쓴맛이 느껴지면서도 부드럽고 달콤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 222
  맛 표현은 풍부한 발상으로 = 223
   Q188. 와인이 '무겁다', '가볍다'고 표현하는데 어떤 의미인가요? = 223
   Q189. 프루티한 와인은 어떤 와인인가요? = 224
   Q190. 치밀하고 섬세한 와인은 어떤 와인인가요? = 225
   Q191. 풀보디 와인은 어떤 와인인가요? = 225
   Q192. 맛에 '여운이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요? = 226 
  숙성과 마실 시기 = 227
   Q193. 와인 숙성과 마실 시기는 어떻게 정하나요? = 227
   Q194. '와인 맛이 떨어진다'는 말은 무슨 뜻인가요? = 228
   Q195. 숙성상태를 알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229
   Q196. 포도밭의 위치나 연도에 따라 와인의 완성도가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 230
   Q197. 양조책임자가 바뀌면 와인 맛도 달라지나요? = 232
   Q198. 작황이 좋은 해와 나쁜 해의 차이는 어느 정도인가요? = 232
   Q199. 오래된 빈티지 샴페인의 가치는 무엇인가요? = 233
   Q200. 주정강화 와인의 대표격으로 셰리가 있는데, 셰리에는 빈티지가 없나요? = 235
Appendix 
 세계의 최신 와인 정보 = 23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키토제닉 다이어트 카페 (2023)
김경호 (2022)
DeSalle, Rob (2022)
뚝딱이형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