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구성주의 유아교육교수법

구성주의 유아교육교수법 (Loan 1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DeVries, Rheta Zan, Betty Hildebrandt, Carolyn Edmiaston, Rebecca Sales, Christina 곽향림 , 역 허미화 , 역 김선영 , 역
Title Statement
구성주의 유아교육교수법 / Rheta DeVries [외] 지음; 곽향림, 허미화, 김선영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창지사 ,   2007.  
Physical Medium
301 p. : 삽도 ; 25 cm.
Varied Title
Developing constructivist early childhood curriculum : practical principles and activities
ISBN
9788942610754
General Note
부록: 그림자에 대한 아동의 추론 단계  
공저자: Betty Zan, Carolyn Hildebrandt, Rebecca Edmiaston, Christina Sales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85-292)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a --United States. Constructivism (Education) --United States.
000 01307camccc200385 k 4500
001 000045425153
005 20100806053209
007 ta
008 070705s2007 ulka b 001c kor
020 ▼a 9788942610754 ▼g 93370
035 ▼a (KERIS)BIB000010851641
040 ▼a 211044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72.21 ▼2 22
090 ▼a 372.21 ▼b 2007m21
245 0 0 ▼a 구성주의 유아교육교수법 / ▼d Rheta DeVries [외] 지음; ▼e 곽향림, ▼e 허미화, ▼e 김선영 옮김.
246 1 9 ▼a Developing constructivist early childhood curriculum : practical principles and activities
260 ▼a 서울 : ▼b 창지사 , ▼c 2007.
300 ▼a 301 p. : ▼b 삽도 ; ▼c 25 cm.
500 ▼a 부록: 그림자에 대한 아동의 추론 단계
500 ▼a 공저자: Betty Zan, Carolyn Hildebrandt, Rebecca Edmiaston, Christina Sales
504 ▼a 참고문헌(p. 285-292)과 색인수록
650 0 ▼a Early childhood education ▼x Curricula ▼z United States.
650 0 ▼a Constructivism (Education) ▼z United States.
700 1 ▼a DeVries, Rheta ▼0 AUTH(211009)110202
700 1 ▼a Zan, Betty ▼0 AUTH(211009)47745
700 1 ▼a Hildebrandt, Carolyn ▼0 AUTH(211009)110203
700 1 ▼a Edmiaston, Rebecca ▼0 AUTH(211009)106676
700 1 ▼a Sales, Christina ▼0 AUTH(211009)97062
700 1 ▼a 곽향림 , ▼e▼0 AUTH(211009)60911
700 1 ▼a 허미화 , ▼e▼0 AUTH(211009)136619
700 1 ▼a 김선영 , ▼e▼0 AUTH(211009)139040
740 ▼a 유아교육교수법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 2007m21 Accession No. 11145976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 2007m21 Accession No. 11145976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드브리스 박사는 구성주의 교육자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철학적인 도약이 필요한데 이보다 더 어려운 것이 실제적인 면에서의 도약이라고 했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이론뿐 아니라 활동사례가 상세히 실려 있다. 제1부에서는 노이와 작업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고 현장에서 이 놀이와 작업이 적용되는 방식에 따라 네 가지 유형의 교실을 설명하고 있다. 이는 최근 우리 유아교육계에서 거론하는 통합적 접근에서 반성해야 할 점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준다. 제2부와 제3부에서는 물리적 지식 활동과 그룹 게임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제시하고 있다. 드브리스 박사가 활동실제를 제시할 때는 많은 책들에서처럼 단순히 제목과 목표, 자료, 그리고 활동방법으로 끝나지 않는다. 활동사례를 통해 어린이의 생각과 교사의 개입이 어떻게 변형되어 가는지를 상세히 보여주고 있고, 그에 대한 해석과 조언 그리고 그로부터 유출된 교수전략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 이 책의 장점이다. 이 책에 나오는 그룹 게임들에 대해 혹시 독자들이 궁금해 할지 모른다. 특히 제3부에서는 여러 그룹 게임이 등장하는데 일일이 주를 달지는 않았다. 이미 많이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여전히 생소한 분들은 참고문헌에 있는 카미와 드브리스(1980)의 그룹 게임 책(일부 번역됨)과, 카미(1989)의 책을 참조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찾아볼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 서문 = 3
감사의 글 = 6
서문 = 10
제1부 구성주의 교육의 이해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정치적 문제 = 14
 결론 = 23
 제1장 유아교육과정에서의 놀이: 네 가지 해석 = 25
  유형 A와 B 교실: 학업의 강조 = 27
  유형 C와 D 교실: 발달에 역점 = 34
  결론 = 48
 제2장 구성주의 교육이란 무엇인가? 정의와 교수 원리 = 51
  전반적 교수 원리 = 52
  결론 = 71
 제3장 구성주의 교실에서의 학습 평가와 기록 = 73
  유형 A, B, C, D 교실에서의 기록과 평가 = 74
  의미있는 평가 수행을 위한 원리들 = 77
  평가 결과 소통하기 = 86
  결론 = 89
제2부 물리적 지식 활동
 물리적 사물에 대한 아동의 추론 단계 = 92
 좋은 물리적 지식 활동을 위한 준거 = 93
 교수 원리 = 93
 결론 = 98
 제4장 그림자 활동 = 99
  유형 A, B, C, D 교실의 그림자 활동 = 99
  물리적 지식 활동으로서 그림자 = 102
  아동의 그림자 개념 = 103
  그림자 활동 시작하기 = 107
  교수 원리 = 111
  결론 = 124
 제5장 음악에 대한 예술적 과학적 탐구 = 127
  아동과 함께 악기 만들기에 접근하는 세 가지 방법 = 128
  소리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개요 = 130
  아동을 위한 목적 = 134
  교수 원리 = 135
  악기 만들기의 두 가지 활동 = 137
  결론 = 148
 제6장 요리 활동 = 151
  유형 A, B, C 및 D 교실에서의 요리 활동 = 151
  요리 활동을 교실에 도입하기 = 156
  교수 원리 = 159
  구성주의 요리 활동을 교육과정에 통합하기 = 168
  결론 = 173
 제7장 물 빠짐과 튜브 안에서의 물의 움직임에 관한 실험하기 = 175
  자료, 활동, 목표의 발현적 개발 = 177
  교수 원리 = 196
  결론 = 199
 제8장 패턴블록을 이용한 기하학적 사고 개발하기 = 201
  자료와 목표 = 203
  유형 A, B, C, D 교실에서의 기하학 활동 비교 = 206
  유형 D 유아반 교실에서의 패턴블록 프로젝트 = 208
  유형 D 패턴블록 활동에 몰입하고 있는 아동들의 목적 = 209
  교수 원리 = 216
  결론 = 219
제3부 그룹 게임
 유형 A, B, C, D 교실의 그룹 게임 = 222
 게임의 발달 단계 = 224
 논리수학적 관계의 구성 = 226
 모순의 역할 = 228
 경쟁에 대한 쟁점 = 229
 교수 원리 = 230
 제9장 수학 교육을 위한 그룹 게임 = 237
  수학 게임이란 무엇인가? = 237
  수학 교육에 있어서 그룹 게임의 가치는 무엇인가? = 238
  수학 게임의 목적 = 239
  유아 교실에서 수학 게임 하기 = 242
  결론 = 257
 제10장 체커 게임에서의 변화 = 259
  체커 이야기 = 260
  체커 게임에서 보여준 진보 = 274
  결론 = 276
후기 = 277
부록: 그림자에 대한 아동의 추론 단계 = 280
참고문헌 = 285
찾아보기 = 29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