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인지문법의 토대

인지문법의 토대 (14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Langacker, Ronald W. 김종도 , 역
서명 / 저자사항
인지문법의 토대 / Ronald W. Langacker ; 김종도 譯.
발행사항
서울 :   박이정 ,   1999.  
형태사항
2책 : 삽도 ; 23 cm.
원표제
Foundations of cognitive grammar
ISBN
8978783228(v.1) 8978783236(v.2)
내용주기
v.1, 이론적선행조건들. - v.2, 기술적 적용.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Cognitive grammar.
000 00825camccc200289 k 4500
001 000045422123
005 20100806050305
007 ta
008 080218s1999 ulka b 001c kor
020 ▼a 8978783228(v.1)
020 ▼a 8978783236(v.2)
035 ▼a (KERIS)BIB000007127185
040 ▼d 211064 ▼d 21105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415 ▼2 22
090 ▼a 415 ▼b 1999k1
100 1 ▼a Langacker, Ronald W.
245 1 0 ▼a 인지문법의 토대 / ▼d Ronald W. Langacker ; ▼e 김종도 譯.
246 1 9 ▼a Foundations of cognitive grammar
260 ▼a 서울 : ▼b 박이정 , ▼c 1999.
300 ▼a 2책 : ▼b 삽도 ; ▼c 23 cm.
504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505 0 ▼a v.1, 이론적선행조건들. - v.2, 기술적 적용.
650 0 ▼a Cognitive grammar.
700 1 ▼a 김종도 , ▼e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415 1999k1 2 등록번호 1114591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5 1999k1 1 등록번호 11145910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5 1999k1 1 등록번호 1114591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5 1999k1 1 등록번호 1117091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5 1999k1 2 등록번호 1114591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Ronald W. Langacker(지은이)

<인지문법의 토대 1>

김종도(옮긴이)

<인지문법의 토대 2>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역자서문

개관

1부: 명사류 구조

 1장 명사 = 13

  1.1. 개념적 기초 = 13

   1.1.1. 인지모형 = 13

   1.1.2. 추상적 특징규명 = 15

   1.1.3. 극적 대립 = 19

  1.2. 명사화 = 22

   1.2.1. 종류 = 23

    1.2.1.1. 교체적 윤곽부여 = 23

    1.2.1.2. 유형 대 실례 명사화들 = 32

   1.2.2. 의역 = 37

   1.2.3. 예측 가능성 = 46

 2장 명사류: 기능적 조직 = 54

  2.1. 의미기능 = 54

  2.2. 실례화 = 58

   2.2.1. 유형 대 실례 = 59

   2.2.2. 고유명사 = 62

   2.2.3. 유형 계층 = 64

   2.2.4. 술부 주격 구문 = 68

   2.2.5. 역할 명세사항들 = 76

  2.3. 양 = 78

   2.3.1. 수 = 78

   2.3.2. 양화사 = 86

  2.4. 인식 서술 = 94

 3장 명사류: 단상과 관계 맺기와 양화 = 101

  3.1. 확정성 = 101

   3.1.1. 정관사 = 101

   3.1.2. 부정관사 = 109

  3.2. 상대 양화사 = 114

   3.2.1. 비례 양화사 = 114

   3.2.2. 다른 전칭 양화사들 = 118

  3.3. 양화적 상호작용 = 126

   3.3.1. 반복적 과정과 참여자들 = 127

   3.3.2. 양화사 법위 = 135

   3.3.3. 부정범위 = 142

 4장 명사류 구문들 = 153

  4.1. 구조적 조직 = 153

   4.1.1. 규범적 구조 = 154

   4.1.2. 다른 형상들 = 159

  4.2. 본들과 제약들 = 164

   4.2.1. 부류 도식들 = 164

   4.2.2. 구성도식 = 169

   4.2.3. 더 큰 형상들 = 171

  4.3. 기능적 대안들 = 175

   4.3.1. 명사 분류사들 = 176

   4.3.2. 소유격 구문들 = 180

    4.3.2.1. 추상적 소유 = 181

    4.3.2.2. 기본 구문들 = 184

    4.3.2.3. 다른 구문들 = 188

  4.4. 굴절과 일치 = 193

   4.4.1. 명사 부류들 = 193

   4.4.2. 성 굴절어미 = 198

   4.4.3. 일치본들 = 200

2부 절 구조

 5장 조동사: 절 머리어 = 207

  5.1. 기능과 조직 = 208

  5.2. 태와 상 = 214

   5.2.1. 수동형 = 215

   5.2.2. 진행구문 = 223

   5.2.3. 완료구문 = 226

    5.2.3.1. 현재 관련성 = 226

    5.2.3.2. 종합 = 238

  5.3. 본들과 구조 = 242

   5.3.1. 기본적 체계 = 242

   5.3.2. 제약들 = 245

   5.3.3. 합성성 = 251

   5.3.4. 조동사들 = 255

 6장 조동사: 단상과 관계 맺기 = 258

  6.1. 인식적 거리 = 258

  6.2. 시제 = 267

   6.2.1. 초보적 특징규명 = 268

   6.2.2. 시제 연쇄 = 271

    6.2.2.1. 간접화법 = 271

    6.2.2.2. 피전달 법조동사 = 275

    6.2.2.3. 추가 문제들 = 279

   6.2.3. 현재시제 = 281

    6.2.3.1. 구조지어진 세계 = 283

    6.2.3.2. 이동된 지시 중심 = 287

  6.3. 법조동사 = 289

   6.3.1. 역사적 발전 = 290

   6.3.2. 동적 진화 모형 = 297

 7장 타동성과 문법 관계들 = 304

  7.1. 사건 개념 = 304

   7.1.1. 모형과 원형들 = 305

   7.1.2. 개념적 자립성 = 308

   7.1.3. 출발점 = 314

  7.2. 사건의 부호화 = 316

   7.2.1. 부호화와 해석 = 316

   7.2.2. 무표적 부호화 = 320

  7.3. 기본적 문법 관계들 = 328

   7.3.1. 주어 = 329

    7.3.1.1. 화제성 = 330

    7.3.1.2. 도식적 정의 = 333

    7.3.1.3. 주어와 화제 = 338

    7.3.1.4. 보편성 = 343

   7.3.2. 직접목적어 = 346

   7.3.3. 간접목적어 = 350

 8장 유표적 절 구조 = 357

  8.1. 주어 선택 = 357

   8.1.1. 윤곽부여 효과 = 358

   8.1.2. 태 = 362

   8.1.3. 무대와 참여자 = 371

    8.1.3.1. 타동성과의 관련성 = 371

    8.1.3.2. 무대-주어 구문 = 377

    8.1.3.3. 중-주어 구문 = 377

    8.1.3.4. 추상적 무대 = 381

  8.2. 목적어 선택 = 384

  8.3.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 논항 현상 = 392

   8.3.1. 과정 대 참여자 = 392

   8.3.2. 재귀화 = 398

   8.3.3. 비명시성 = 403

 9장 능격성과 격 = 409

  9.1. 능격 대 대격 = 409

  9.2. 능격성 = 409

   9.2.1. 자립성의 상관관계 = 418

   9.2.2. 절대 해석 = 420

   9.2.3. 담화기능 = 425

    9.2.3.1. 담화 참여자의 도입 = 425

    9.2.3.2. 반 수동형 = 427

   9.2.4. 분리 능격성 = 429

  9.3. 격 표지 = 431

   9.3.1. 유의미성 = 431

   9.3.2. 격표지 구문 = 437

  9.4. 사역구문들 = 441

   9.4.1. 문법 관계들 = 442

   9.4.2. 격 = 444

3부: 절을 넘어서

 10장 복문 = 451

  10.1. 일반적 논의 = 451

   10.1.1. 내적 정교화 = 454

   10.1.2. 연결사 = 459

   10.1.3. 지시적 연결 = 466

   10.1.4. 전국적 조직 = 471

  10.2. 보문화 = 475

   10.2.1. 보문소 = 475

    10.2.1.1. 개념적 종속화 = 476

    10.2.1.2. 시간적 부합 = 478

    10.2.1.3. 객관성 = 482

   10.2.2. 인상 = 485

    10.2.2.1. 비판 = 486

    10.2.2.2. 활성역 분석 = 489

    10.2.2.3. 인상 대 동일 요소 삭제 = 495

 11장 추가 문제들 = 502

  11.1. 규칙 상호작용들 = 502

  11.2. 동위접속화 = 509

   11.2.1. 접속사 = 510

   11.2.2. 동위접속화 층 = 514

   11.2.3. 연결 대상들의 분화 = 518

   11.2.4. 음운적 공동 실례화 = 524

  11.3. 조응 현상 = 529

  11.4. 화행 = 533

   11.4.1. 영역과 조직 = 534

   11.4.2. 관찰법 = 538

   11.4.3. 기본적 문장 유형 = 543

 12장 이론적 논의 = 548

  12.1. 은유들, 목표들, 그리고 기대들 = 548

  12.2. 자립성 문제 = 555

   12.2.1. 문제의 규정 = 556

   12.2.2. 상징적 대안의 평가 = 561

  12.3. 처리, 규칙들 그리고 표상들 = 566

   12.3.1. 연결론적 대안 = 567

   12.3.2. 언어 구조의 표상 = 569

    12.3.2.1. 입장들의 범위 = 570

    12.3.2.2. 언어 규칙의 성질 = 574

결론과 전망 : 참고사항

용어해설 = 583

참고문헌 = 595

찾아보기 = 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