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847namccc200253 k 4500 | |
001 | 000045422098 | |
005 | 20100806050226 | |
007 | ta | |
008 | 080218s2007 ulka b 000c korAG | |
020 | ▼a 9788956911229 ▼g 936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52.35 ▼2 22 |
090 | ▼a 352.35 ▼b 2007z3 ▼c 2007-1 | |
100 | 1 | ▼a 김명수 |
245 | 1 0 | ▼a 증거에 기초한 정책결정과 증거를 산출하는 평가에 관한 연구 = ▼x Evidence-based policy-making and evidence-producing evaluation / ▼d 김명수. |
260 | ▼a 서울 : ▼b 감사원 평가연구원 , ▼c 2007. | |
300 | ▼a viii, 67 p. : ▼b 삽도 ; ▼c 26 cm. | |
490 | 1 0 | ▼a 전문가 연구 시리즈 ; ▼v 2007-001 |
500 | ▼a 부록수록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10 | ▼a 한국 . ▼b 감사원 . ▼b 평가연구원 | |
830 | 0 | ▼a 전문가 연구 시리즈(감사원 평가연구원) ; ▼v 2007-001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2.35 2007z3 2007-1 | Accession No. 11145787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연구의 목적과 방법 = 1 제2장 '증거에 기초한 정책결정'의 의의 : 개념과 중요성 = 5 제1절 증거의 의미와 유형 = 5 제2절 증거에 기초한 정책결정의 의미 = 13 제3절 증거에 기초한 정책결정의 중요성 = 15 제4절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증거 활용의 예 = 20 제3장 '증거에 기초한 정책결정'을 중시하는 외국의 움직임 : 출발과 현황 = 23 제1절 영국 = 23 제2절 미국 = 29 제3절 캐나다 = 31 제4장 증거의 산출도구로서의 평가 = 32 제1절 정책결정에 필요한 증거의 획득 = 32 제2절 평가의 정책효과에 관한 증거 산출의 논리 = 35 제5장 현행 한국정부 내 평가가 산출하는 증거와 유용성 = 39 제1절 현행 한국정부 내 평가에 관한 비판적 개관 = 39 제2절 현행 평가제도가 산출하는 평가정보와 유용성 = 42 제6장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증거를 산출할 수 있는 효과평가의 도입 전략 = 49 제7장 결론 = 55 참고문헌 = 58 부록 =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