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k 4500 | |
001 | 000045421655 | |
005 | 20230321094953 | |
007 | ta | |
008 | 080114s2007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57111604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1159893 | |
040 | ▼a 211019 ▼d 211009 ▼c 211009 | |
082 | 0 4 | ▼a 070.43 ▼2 22 |
090 | ▼a 070.43 ▼b 2007g4 | |
100 | 1 | ▼a 남재일 |
245 | 1 0 | ▼a 한국 기획기사와 미국 피처스토리 비교 분석 / ▼d 남재일, ▼e 박재영. |
260 | ▼a 서울 : ▼b 한국언론재단, ▼c 2007. | |
300 | ▼a 210 p. : ▼b 삽도 ; ▼c 25 cm. | |
490 | 1 0 | ▼a 연구서 ; ▼v 2007-04 |
500 | ▼a 부록: 기획기사 분석 코딩 유목 [외] | |
504 | ▼a 참고문헌: p. 205 | |
700 | 1 | ▼a 박재영 |
710 | ▼a 한국언론재단 ▼0 AUTH(211009)75594 | |
830 | 0 | ▼a 연구서(한국언론재단) ; ▼v 2007-04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43 2007g4 | 등록번호 1114584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43 2007g4 | 등록번호 11145848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남재일(지은이)
1964년 물병자리로 바닷가에서 태어나 물고기를 사랑한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중앙일보〉에 입사해 문화부기자로 20∼30대를 보내며 문학, 영화, 방송 얘기를 썼다. 사직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 들어가 저널리즘과 문화연구를 하며 언론학 박사까지 마쳤다. 나이 마흔에 한국언론재단 구위원으로 활동하며 몇 권의 연구서를 냈고, 재단 산하 예비언론인 과정에서 글쓰기 강의를 했다. 이후 2008년 세명대학교 저널리즘스쿨 교수로 1년간 재직했다. 2009년부터 경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로 자리를 옮겨 언론과 대중문화 강의를 하는 일을 생업으로 살아가고 있다. 그동안 틈틈이 글을 써 《나는 편애할 때 가장 자유롭다》, 《그러나 개인은 진화한다》 등의 책을 냈다. 이 책들을 통해 자유로운 개인으로 탈주하는 것이 어떻게 정치적일 수 있는가를 생각했다. 이 책 《사람의 거짓말 말의 거짓말》은 “다른 삶의 방식을 향유하는 길은 없을까?”를 생각의 뿌리로 삼아 몇 년 동안 고민하며 답을 찾고자 한 흔적이다. 요즘은 주변 사람과 사랑하며 살면서 사회에 도움이 되는 삶의 방도를 구상하고 있다.
박재영(지은이)
서울대학교 법과대학과 환경대학원을 졸업하고 조선일보에 입사해 체육부 및 사회부 기자를 거쳤다. 기자 생활의 대부분을 환경 담당 기자로 보내면서 1992년부터 1997년까지 '쓰레기를 줄입시다', '샛강을 살립시다', '자전거를 탑시다' 등의 조선일보 환경 캠페인을 집중적으로 보도했으며, 놀이를 통해 환경의 중요성을 배우는 교육 교재인 '푸른 교실 푸른 지구'를 조선일보 환경팀과 함께 출판하기도 했다. 1993년 독일 대사관측에 의해 베를린의 '국제 저널리즘 연구소(International Institute for Journalism)'에 초빙되어 한국 환경 기자로서는 처음으로 환경 보도에 관한 전문 교육을 받았다. 조선일보 휴직 후 미국 미주리대학교(University of Missouri) 저널리즘 스쿨에서 저널리즘 분야 석ㆍ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조선일보 사회부 기자와 재단법인 미디어연구소의 연구실장으로 재직 중이다.

목차
목차 01 서론 = 7 1. 문제제기 = 7 2. 연구서의 구성 = 10 3. 연구방법 = 11 02 한국 기획기사, 미국 피처스토리 내용분석 결과 = 19 1. 한ㆍ미 기사에 나타난 취재원 수 = 20 2. 한ㆍ미 기사의 취재기법 차이 = 29 3. 한ㆍ미 기사의 기사체와 내용의 차이 = 34 4. 소결 : 한국 기획기사와 미국 피처스토리의 성격 차이 = 37 03 한국 기획기사의 구조와 성격 = 40 1. 한국 기획기사의 전형과 정형화된 구조 = 40 2. 한국 기획기사의 새로운 경향 = 62 3. 한국 기획기사 취재관행의 특징 = 81 4. 소결 : 한국 기획기사의 구조적 성격 = 87 04 미국 피처스토리(Feature Story) 분석 = 89 1. 분석기사 선정 = 89 2. 분석 결과 = 107 3. 소결 = 189 05 결론 = 197 1. 한국 기획기사의 성격 = 197 2. 미국 피처스토리의 특징 = 199 3. 사건과 현상을 구분하는 시각 = 200 참고문헌 = 205 부록 =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