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장 영유아를 위한 교수ㆍ학습이론 = 11
1. 교수ㆍ학습의 정의 = 13
2. 교수ㆍ학습의 접근방법 = 15
1) 성숙주의적 관점 = 15
2) 행동주의적 관점 = 17
3) 상호작용주의적 관점 = 18
3. 교수ㆍ학습유형 = 21
1) 개념학습법 = 22
2) 탐구학습법 = 25
3) 협동학습법 = 32
4) 토의학습법 = 36
제2장 영유아기 교육의 기본원리 = 41
1. 영유아기의 중요성 = 43
2. 교사역할의 중요성 = 44
1) 교사의 역할 = 45
2) 교사의 교수활동 = 57
제3장 영유아의 발달특성 및 지도 = 61
1. 2세 미만 영아의 발달특성 및 지도 = 64
1) 신체발달 = 64
2) 인지발달 = 66
3) 언어발달 = 69
4) 사회ㆍ정서 발달 = 71
2. 2세 영아의 발달특성 및 지도 = 74
1) 신체발달 = 74
2) 인지발달 = 76
3) 언어발달 = 77
4) 사회ㆍ정서 발달 = 78
3. 3~5세 유아의 발달특성 및 지도 = 80
1) 신체발달 = 80
2) 인지발달 = 84
3) 언어발달 = 85
4) 사회ㆍ정서 발달 = 88
4. 영유아의 발달과 학습원리 = 91
제4장 영유아의 발달과 가족 및 지역사회 = 99
1. 가족 = 101
1) 신입원아 부모 오리엔테이션 = 101
2) 유아 교육기관과 가정 간의 의사소통 = 101
3) 정기적인 부모 개별 면담 = 102
4) 부모 교육활동의 제공 = 102
5) 부모간의 교류기회 제공 = 103
6) 운영위원회의 구성과 활동 = 103
2. 지역사회 = 105
1) 지역사회기관과의 협조 체제 = 105
2) 영유아와 가족을 돕기 위한 전문가와의 협조 체제 = 106
제5장 영유아를 위한 환경구성 = 111
1. 물리적 환경구성 = 113
2. 활동영역별 환경구성 = 118
1) 영아를 위한 환경구성 = 118
2) 영아를 위한 일상생활 공간과 실내환경 구성 = 121
3) 유아를 위한 실내환경 구성 = 128
3. 실외환경 구성 = 137
제6장 영유아를 위한 교육활동 = 143
1. 영아를 위한 활동 = 145
2. 유아를 위한 활동 = 154
1) 일과 교육계획 및 운영 = 154
2) 활동별 지도의 실제 = 155
제7장 영유아교육의 평가 = 181
1. 평가의 목적과 활용 = 183
1) 평가의 목적 = 184
2) 평가의 활용 = 184
2. 평가의 단계 = 185
1) 진단평가 = 185
2) 형성평가 = 186
3) 총괄평가 = 186
3. 평가의 방법 = 186
1) 관찰의 세부적인 단계(기록-해석-평가) = 187
2) 관찰법의 종류 = 188
4. 평가의 내용 = 194
1) 영아평가 = 194
2) 유아평가 = 196
부록 = 201
참고문헌 = 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