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영어의 분절음
제1장 영어의 자음 = 17
1.1. 조음 방법 = 17
1.1.1. 파열음 = 18
1.1.2. 파찰음 = 39
1.1.3. 비음 /n/, /m/, /ŋ/ = 42
1.1.4 마찰음 = 48
1.1.5. 측음 = 60
1.1.6. 근사음 = 63
1.2. 조음 위치 = 65
1.2.1. 양순음 = 66
1.2.2. 순치음 = 69
1.2.3. 치간음 = 69
1.2.4. 치경음 = 70
1.2.5. 치경구개 = 74
1.2.6. 구개음 = 75
1.2.7. 연구개 = 76
1.2.8. 성문음 = 77
제2장 영어의 모음 = 80
2.1. 혀와 입술의 위치 = 80
2.1.1. 혀의 높이 = 84
2.1.2. 전설과 후설 = 85
2.1.3. 원순과 평순 = 91
2.2. 한국어 모음과 비교 = 93
2.2.1. 긴장 모음 = 93
2.2.2. 이완 모음 = 95
2.2.3. 긴장 모음과 이완 모음의 변화 = 96
2.2.4. 기능어의 강형 발음과 약형 발음 = 98
2.2.5. 약형 모음의 탈락 = 106
제3장 영어 자음과 모음의 변별자질 = 109
3.1. 분절음의 분류 = 110
3.1.1. 자음의 분류 = 110
3.1.2. 전면성과 설정성 = 112
3.1.3. 조음 방법 자질 = 118
3.1.4. 2차 조음 자질 = 121
3.2. 초분절음 = 125
3.2.1. 강세성 = 126
3.2.2. 장음성 = 128
3.2.3. 상승조성과 하강조성 = 128
3.3. 변별자질과 자연부류 = 129
3.3.1. 음성의 자연부류 = 129
3.3.2. 자연부류와 변별자질 표시 = 133
3.4. 변별자질의 함의성 = 134
3.4.1. /p, b, t, d, k, g/와 /○, ○/ = 134
3.4.2. /p, b, t, d, k, g, ○, ○, m, n, ŋ/ = 136
3.4.3. /f, v, s, z, h, ○, ∫, ○, θ, ð/ = 137
3.4.4. /i, e, u, o/ = 137
3.4.5. /○, υ, ι/ = 138
3.4.6. /e, ○, ○, ○, ○, ○/ = 138
3.4.7. /m, n, ŋ, ○, ○, ○/ = 139
3.4.8. /ð, θ/ = 139
3.4.9. /○, ○, ∫, ○, s, z, f, v/ = 139
3.4.10. /○, h, k, g, ○/ = 140
3.4.11. /○, α, ○/ = 104
3.5. 무변화 자질의 잉여성 = 141
제2부 영어의 초분절음
제4장 영어의 음성학적 현상 = 145
4.1. 어휘내의 후어휘음운적 현상 = 146
4.1.1. 무성파열음과 기식음화 = 146
4.1.2. 무성 파열음과 무기식음 = 148
4.1.3. 유/무성음의 변화 = 148
4.1.4. 자음과 모음의 장단 변화 = 150
4.1.5. 파열음의 변화 = 153
4.1.6. 음절성을 갖는 경우 = 154
4.1.7. 탄설음이 되는 경우 = 155
4.1.8. 치음화되는 경우 = 157
4.1.9. 무성파열음이 삽입되는 경우 = 157
4.1.10. 연구개음이 전설음화되는 경우 = 158
4.1.11. 측음 /l/이 연구개음화되는 경우 = 158
4.1.12. 모음이 비음화되는 경우 = 158
4.1.13. 전설모음이 권설화되는 경우 = 159
4.2. 빠른 말씨에서 영어 발음 변화 = 159
4.2.1. 조동사 축약 현상 = 159
4.2.2. 구개음화 = 161
4.2.3. 비음화 = 163
4.2.4. 자음 탈락 = 164
4.2.5. 그 외 축약 요인들 = 165
4.3. TU와 발음 변화 = 166
4.3.1. TU의 구조 = 166
4.3.2. 발화의 실례 = 167
4.4. 운율충위 이론 = 170
4.4.1. 음운단어 = 173
4.4.2. 접어군 = 174
4.4.3. 음운구 = 178
4.4.4. 억양구 = 180
4.4.5. 발화 단위 = 182
제5장 영어 발화의 재구조 = 187
5.1. 영어 발화의 재구조 = 187
5.1.1. 통사구조와 음운구조 = 187
5.1.2. 발화의 재구조 = 190
5.1.3. 발화의 재구조와 리듬 형성 = 196
5.2. 발음의 변화 = 199
5.2.1. 강박 중심의 리듬 단위와 발음의 변화 = 200
참고문헌 = 168
색인 =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