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2080namcc2200661 c 4500 | |
001 | 000045419715 | |
005 | 20120208113003 | |
007 | ta | |
008 | 080201s2007 ulka 001c kor | |
020 | ▼a 9788958810940 ▼g 935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612.8 ▼2 22 |
085 | ▼a 612.8 ▼2 DDCK | |
090 | ▼a 612.8 ▼b 2007z3 | |
245 | 0 0 | ▼a 신경과학 / ▼d Dale Purves [외] ; ▼e 김상정 [외] 공동번역 |
246 | 1 9 | ▼a Neuroscience ▼g (3rd ed.) |
260 | ▼a 서울 : ▼b 월드사이언스, ▼c 2007 | |
300 | ▼a xvii, 753 p. : ▼b 천연색삽화 ; ▼c 28 cm | |
500 | ▼a 감수자: 김경진 | |
500 | ▼a 색인수록 | |
500 | ▼a 공저자: George J. Augustine, David Fitzpatrick, William C. Hall, Anthony-Samuel LaMantia, James O. McNamara, S. Mark Williams | |
500 | ▼a 공역자: 나승열, 나흥식, 문일수, 박은미, 서동철, 서석효, 선웅, 성연희, 신찬영, 심인섭, 오세관, 이승신, 이화영, 이희래, 임기환, 장춘곤, 조병필, 조사선, 최경규, 허성오, 허영범, 홍진태 | |
650 | 0 | ▼a Neurosciences |
650 | 1 2 | ▼a Nervous System Physiology |
650 | 2 2 | ▼a Neurochemistry |
700 | 1 | ▼a Purves, Dale, ▼e 저 ▼0 AUTH(211009)25367 |
700 | 1 | ▼a Augustine, George J., ▼e 저 ▼0 AUTH(211009)142918 |
700 | 1 | ▼a Fitzpatrick, David, ▼e 저 ▼0 AUTH(211009)84048 |
700 | 1 | ▼a Hall, William C., ▼e 저 ▼0 AUTH(211009)77864 |
700 | 1 | ▼a LaMantia, Anthony-Samuel, ▼e 저 ▼0 AUTH(211009)51485 |
700 | 1 | ▼a McNamara, James O., ▼e 저 ▼0 AUTH(211009)48009 |
700 | 1 | ▼a Williams, S. Mark, ▼e 저 ▼0 AUTH(211009)12245 |
700 | 1 | ▼a 김상정, ▼e 역 |
700 | 1 | ▼a 나승열, ▼e 역 |
700 | 1 | ▼a 나흥식, ▼e 역 |
700 | 1 | ▼a 문일수, ▼e 역 |
700 | 1 | ▼a 박은미, ▼e 역 ▼0 AUTH(211009)2489 |
700 | 1 | ▼a 서동철, ▼e 역 |
700 | 1 | ▼a 서석효, ▼e 역 |
700 | 1 | ▼a 선웅, ▼e 역 |
700 | 1 | ▼a 성연희, ▼e 역 |
700 | 1 | ▼a 신찬영, ▼e 역 ▼0 AUTH(211009)120167 |
700 | 1 | ▼a 심인섭, ▼e 역 ▼0 AUTH(211009)87630 |
700 | 1 | ▼a 오세관, ▼e 역 ▼0 AUTH(211009)84049 |
700 | 1 | ▼a 이승신, ▼e 역 |
700 | 1 | ▼a 이화영, ▼e 역 |
700 | 1 | ▼a 이희래, ▼e 역 |
700 | 1 | ▼a 임기환, ▼e 역 |
700 | 1 | ▼a 장춘곤, ▼e 역 ▼0 AUTH(211009)96545 |
700 | 1 | ▼a 조병필, ▼e 역 |
700 | 1 | ▼a 조사선, ▼e 역 |
700 | 1 | ▼a 최경규, ▼e 역 |
700 | 1 | ▼a 허성오, ▼e 역 |
700 | 1 | ▼a 허영범, ▼e 역 |
700 | 1 | ▼a 홍진태, ▼e 역 ▼0 AUTH(211009)123528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2.8 2007z3 | Accession No. 111457672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08-08-13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12.8 2007z3 | Accession No. 12121694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612.8 2007z3 | Accession No. 13104316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2.8 2007z3 | Accession No. 111457672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08-08-13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12.8 2007z3 | Accession No. 12121694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612.8 2007z3 | Accession No. 13104316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1. 인간 및 동물의 신경계 연구 = 1 1단원 뉴런 신호전달 2. 전기신호와 신호전달 = 31 3. 막전압 의존적인 세포막 투과도 = 47 4. 이온통로와 운반체들 = 69 5. 시냅스 전달 = 93 6. 신경전달물질과 수용체 = 129 7. 뉴런내에서의 분자 신호전달 = 165 2단원 감각과 감각전도 8. 몸감각 계통 = 189 9. 통증 = 209 10. 시각: 눈 = 229 11. 중심 시각 경로 = 259 12. 청각계 = 283 13. 전정계 = 315 14. 화학적 감각 = 337 3단원 운동과 그의 중추신경조절 15. 하위운동신경세포 회로와 운동 조절 = 371 16. 상위운동신경세포에 의한 뇌줄기와 척수의 조절 = 393 17. 바닥핵(basal ganglia)에 의한 운동 조절 = 417 18. 소뇌에 의한 운동의 조절 = 435 19. 눈운동과 감각-운동 통합 = 453 20. 장(visceral)의 운동 체계 = 469 4단원 변화하는 뇌 21. 뇌의 초기 발생 = 501 22. 신경회로 형성 = 527 23. 경험에 의한 뇌회로의 수정 = 557 24. 성숙 시냅스와 신경망 형성 = 575 5단원 복잡한 뇌의 기능 25. 연합피질 = 613 26. 언어와 말하기 = 637 27. 수면과 각성 = 659 28. 감정 = 687 29. 성, 성욕, 그리고 뇌 = 711 30. 기억 = 733 역자서문 = xiv 추천사 = xvi 1장 인간 및 동물의 신경계 연구 = 1 개요 = 1 유전학, 유전체학, 뇌 = 1 신경계의 세포구성체 = 2 신경 = 4 신경교세포 = 8 신경계의 세포 다양성 = 9 신경회로 = 11 인간 신경계의 구성 = 14 신경해부학적인 용어 = 16 중추신경계의 구분 = 18 신경계 구성원리 = 20 신경계 기능분석 = 23 행동분석 = 24 Box A 뇌영상기술 = 25 요약 = 26 1단원 뉴런 신호전달 2장 전기신호와 신경세포 = 31 개요 = 31 신경세포막의 전압경사 = 31 이온 흐름은 어떻게 전기 신호를 만들어 낼까? = 34 막전압을 형성하는 힘 = 36 한개 이상의 이온이 통과 가능한 경우에서의 평형 전압 = 38 안정막전압의 이온 기전 = 40 Box A 오징어 신경세포 = 41 활동전압의 이온 기전 = 43 Box B 활동전압의 모양과 명칭 = 44 요약 = 45 3장 막전압 의존적인 세포막 투과도 = 47 개요 = 47 신경 세포막을 통한 이온 전류 = 47 Box A 막전압 고정법 = 48 막전압 의존성 이온 전류는 두 종류 = 49 두 가지 막전압 의존적인 세포막 전도성 = 52 활동전압의 재조합 = 56 Box B 역치 = 57 Box C 세포막 피동적 특성 = 60 불응기 = 61 Myelination에 의한 전도 속도 증가 = 63 요약 = 65 Box D Multiple Sclerosis(다발성 경화증) = 66 4장 이온통로와 운반체들 = 69 개요 = 69 활동전압 발생에 관여하는 이온통로 = 69 Box A Patch Clamp Method = 70 이온통로의 다양성 = 73 Box B Xenopus oocyte에 이온통로 발현 = 75 막전압 의존성 이온통로 = 76 리간드에 의하여 열리는 이온통로 = 78 스트레치 혹은 열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이온통로 = 78 이온통로의 분자 구조 = 79 Box C 이온통로에 작용하는 독소들 = 82 Box D 이온통로 이상에 의한 질병들 = 84 능동적 운반체의 역할: 이온농도 경사 = 86 N a+ / K+ pump의 기능적 특성 = 87 N a+ / K+ pump의 분자 구조 = 89 요약 = 90 5장 시냅스 전달 = 93 개요 = 93 전기적 시냅스 = 93 화학적 시냅스에서의 신호 전달 = 96 신경전달물질의 특성 = 96 Box A 신경전달물질을 규정하는 기준 = 99 신경전달물질의 quantal release = 102 시냅스 소포로부터 신경전달물질의 유리 = 103 시냅스 소포의 재사용 = 105 신경전달물질 분비 과정에서 C a2+ 의 역할 = 107 Box B 시냅스전 말단에 영향을 주는 질환 = 108 전달물질 분비에 대한 분자적 기전 = 110 신경전달물질 수용체 = 113 Box C 신경전달물질 유리에 영향을 주는 독소 = 115 시냅스 전달 동안에 변화하는 시냅스후 세포막의 투과성 = 116 흥분성 및 억제성 시냅스후 전위 = 121 시냅스 전위의 합 = 123 시냅스후 수용체의 2가지 종류 = 124 요약 = 126 6장 신경전달물질과 수용체 = 129 개요 = 129 신경전달물질의 분류 = 129 아세틸콜린 = 129 Box A 중독 = 134 Box B 후시냅스에 작용하는 신경독소 = 136 글루타민산염 = 137 Box C 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Neuromuscular Synapses의 자가면역질환 = 140 GABA와 Glycine = 143 Box D 급성적인 뇌손상 관련 흥분독성 = 145 The biogenic amines = 147 Box E Biogenic amine신경전달 물질과 정신질환 = 148 ATP와 다른 Purines = 152 펩타이드 신경전달물질 = 153 Unconventional 신경전달물질들 = 157 Box F 마리화나와 뇌 = 160 요약 = 161 7장 뉴런내에서의 분자 신호전달 = 165 개요 = 165 분자적인 신호의 전략 = 165 신호 경로의 활성화 = 167 수용체 종류 = 168 G-protein과 그 분자 targets = 170 2차 전달자 = 172 이차전달 Targets: Protein Kinases and Phosphatases = 175 Nuclear Signaling = 178 뉴런 신호 변환의 예 = 181 요약 = 184 2단원 감각과 감각전도 8장 몸감각 계통 = 189 개요 = 189 피부 및 피부밑조직에 분포하는 몸감각수용기 = 189 촉각정보를 수용하는 특수화한 기계감각수용체 = 192 몸의 표면을 통한 기계 감각 식별의 차이 = 193 Box A 귀뚜라미에서 감수영역과 감각지도(Sensory map) = 195 Box B 몸감각 감수영역의 동적 상황 = 196 고유감각을 위하여 특수화한 기계감각수용기 = 197 능동적 촉각 탐색 = 199 기계감각 정보에 대한 주요 감각전도로 뒤기둥-안쪽섬유띠 계통 = 199 기계감각계통의 삼차신경부분 = 202 Box C 피부분절 = 202 시상의 몸감각 구성성분 = 203 몸감각 대뇌겉질 = 203 상위의 겉질 표시 = 206 Box D 감각겉질의 내부 구조 양식 : 뇌 = 207 요약 = 208 9장 통증 = 209 개요 = 209 통각수용기 = 209 통각신호의 전달 = 211 Box A 캡사이신 = 212 중추통증 경로 = 213 Box B 몸감각 감수영역의 동적 상황 = 215 Box C 내장통을 전달하는 후주경로 = 218 민감화 = 220 Box D 환상사지(phantom limbs)와 환상통(Phantom pain) = 222 통증지각의 하행조절 = 224 위약효과 = 224 통증조절의 생리학적 근거 = 225 요약 = 227 10장 시각 : 눈 = 229 개요 = 229 눈의 해부 = 229 망막에 맺히는 이미지 = 231 Box A 근시와 굴절이상 = 232 망막 = 234 광전달 = 236 Box B 망막세포변성 = 239 간상세포와 원추세포계의 기능 특성 = 240 Box C 황반변성 = 243 간상세포와 원추세포의 해부학적 분포 = 244 원추세포와 색식별 = 245 Box D 색인지에 있어서 중요한 배경 = 247 휘도 변화 감지를 위한 망막회로 = 249 Box E 밝기의 인지 = 250 명순응을 위한 망막회로의 공헌 = 254 요약 = 257 11장 중심 시각 경로 = 259 개요 = 259 망막 신경절세포의 투사 = 259 Box A 생리적 암점 = 262 시야에 대한 망막의 대응 = 263 시야 결손 = 267 줄무늬 피질의 기능적 구조 = 269 줄무늬피질의 원주 체계 = 271 Box B 랜덤 도트 입체계와 관련 기구 = 272 일차시각경로 내에서의 정보처리의 분획 = 275 Box C 시각피질 내 기능적인 영역의 광학적 영상 = 276 줄무늬외 시각 영역의 기능적 조직화 = 278 요약 = 281 12장 청각계 = 283 개요 = 283 음향 = 283 가청범위 = 284 청각기능의 개요 = 285 Box A 후천성 난청의 네 가지 원인 = 285 Box B 음악 = 286 외이(External Ear) = 287 중이(Middle Ear) = 289 내이(Inner Ear) = 289 Box C 감각신경성난청과 인공와우이식 = 290 Box D 음의 감미로운 변조 = 294 유모세포와 음파의 기계전기학적 전달 = 294 와우 내에 존재하는 두 종류의 유모세포 = 300 청신경의 동조와 시간 = 301 와우의 정보는 어떻게 뇌간의 목표지점에 도달하는가 = 303 양측 귀로부터 받은 정보의 통합 = 303 와우신경핵에서 외측융대로의 단이 전달경로 = 307 하구에서의 통합 = 307 청각시상 = 308 청각피질 = 309 Box E 박쥐와 인간의 뇌에서 복합음의 발현 = 310 요약 = 313 13장 전정계 = 315 개요 = 315 전정미로 = 315 전정 유모세포 = 316 이석기관: 난형낭과 구형낭 = 317 Box A 전정계 항해의 길잡이 = 318 Box B 전정 유모세포의 적응(adaptation)과 조율(tuning) = 320 이석기관이 선형력(linear force)을 감지하는 방법 = 322 반고리관 = 324 반고리관의 신경원이 각가속도를 감지하는 방법 = 325 Box C 전정계에 냉수가 미치는 영향 = 326 주시, 머리, 자세를 안정화 시키는 중추성 경로 = 328 시상과 대뇌피질로 가는 전정경로 = 331 Box D 어류의 마우트너(Mauthner) 세포 = 332 요약 = 333 14장 화학적 감각 = 337 개요 = 337 후각 기관의 구성 = 337 인간의 후각 인식 = 339 Odorant에 대한 생리 및 행동 반응 = 341 후각 상피와 후각 수용체 신경 = 342 Box A 후각, 페로몬과 매 나방(Hawk Moth)의 행동 = 344 후각 신호의 전도 = 345 Odorant 수용체 = 346 후각 Coding = 348 후각구(Olfactory bulb) = 350 Box B 곤충에서의 후각 정보의 시간적 부호화(Coding) = 350 후각구의 중추 투사(central projection) = 353 미각계의 구성 = 354 인간의 미각 인지 = 356 Tastants에 대한 특이한 반응들 = 357 말초 미각계의 구성 = 359 미각 수용체와 미각 신호의 전도 = 360 미각계의 신경 coding = 362 삼차신경 화학수용 = 363 요약 = 366 3단원 운동과 그의 중추신경조절 15장 하위운동신경세포 회로와 운동 조절 = 371 개요 = 371 운동을 담당하는 신경 중추 = 371 운동신경세포-근육관계 = 373 운동 단위 = 375 근력의 조절 = 377 근육신장반사에 근본적인 척수회로 = 379 운동행동에 대한 감각신경 활동의 영향 = 381 운동수행에 영향을 주는 다른 감각신경 되먹임 = 382 Box A 거머리와 칠성장어의 이동운동 = 384 굽힘반사 신경로 = 387 척수의 신경회로와 이동운동 = 387 Box B 중추형 발생기의 자율성: 바다가재의 구강위신경절에서 증명 = 388 하위운동신경세포 증후군 = 389 Box C 근육위축다발성 경화증 = 391 요약 = 391 16장 상위운동신경세포에 의한 뇌줄기와 척수의 조절 = 393 개요 = 393 척수신경회로의 하행조절 = 393 뇌줄기의 운동 조절 중추: 상위운동신경의 평형조절과 자세유지 = 397 Box A 그물형성체(The Reticular Formation) = 398 피질척수 경로와 피질연수 경로: 자발적이고 복잡한 움직임을 조절하는 상위운동신경 = 402 Box B 안면근육 약화의 패턴과 이의 신경손상 위치 파악을 위한 중요성 = 404 대뇌피질 일차운동영역의 기능적 구성 = 405 Box C 운동영역지도는 무엇을 표현하는가? = 408 전운동 대뇌피질 = 408 Box D 감각운동 재능과 할당된 대뇌피질의 공간 = 410 하행운동신경전달경로의 손상: 상위운동신경세포증후군 = 412 Box E 근육 긴장 = 414 요약 = 415 17장 바닥핵(basal ganglia)에 의한 운동 조절 = 417 개요 = 417 바닥핵으로의 투사 = 417 바닥핵에서 다른 뇌부위로의 투사 = 422 안구운동에 관한 연구를 통한 근거 = 423 바닥핵계통의 내재회로 = 424 Box A 헌팅턴 병(Huntington's disease) = 426 Box B 파킨슨 병(Parkinsons's disease): 새로운 치료적 접근에의 가능성 = 429 Box C 바닥핵회로(basal ganglia loop)와 뇌의 비운동성(non-motor) 기능 = 432 요약 = 433 18장 소뇌에 의한 운동의 조절 = 435 개요 = 435 소뇌의 구성 = 435 소뇌로의 투사 = 438 소뇌로부터 투사 = 440 소뇌 회로 = 441 Box A 광우병(Prion Diseases) = 444 소뇌 회로와 수행중인 운동의 조절 = 445 소뇌 손상에 따른 결과 = 448 요약 = 449 Box B 소뇌 기능의 유전자적 분석 = 450 19장 눈운동과 감각-운동 통합 = 453 개요 = 453 눈운동 수행 = 453 바깥눈 근육의 작용과 신경지배 = 454 Box A 안정화된 망막영상의 지각 = 456 눈운동의 유형과 기능 = 457 홱보기눈운동의 신경조절 = 458 Box B 위둔덕내 감각운동통합 = 462 매끈안구추적운동의 신경조절 = 466 이향운동의 신경조절 = 466 요약 = 467 20장 장(visceral)의 운동 체계 = 469 개요 = 469 자율신경계의 초기 연구 = 469 자율신경계의 특징 = 470 교감신경 = 471 부교감신경 = 476 장(visceral)신경계 = 479 자율신경계 조절을 위한 구심성 지각정보의 전달 = 480 내장운동기능의 중추조절 = 483 Box A 시상하부 = 484 자율신경계의 신경전달 = 487 Box B 호너 증후군 = 488 Box C 비만과 뇌 = 490 내장운동의 반사기능 = 491 자율신경계의 심혈관계기능조절 = 491 자율신경계의 방광기능조절 = 493 자율신경계의 성기능조절 = 496 요약 = 498 4단원 변화하는 뇌 21장 뇌의 초기 발생 = 501 개요 = 501 신경계의 초기 형성: 낭배 및 신경관 형성 = 501 신경형성의 분자적 기전 = 503 Box A 줄기세포: 전망과 위험성 = 504 Box B Retinoic acid: 기형원과 유도신호 = 506 주요 뇌영역의 형성 = 510 Box C Homeobox 유전자와 뇌발생 = 512 Box D 마름뇌분절(Rhombomeres) = 514 유전체 이상과 인체의 뇌발생 이상 = 515 신경세포와 아교세포의 초기분화 = 516 Box E 신경발생과 신경세포의 출생일 = 517 신경세포 다양성의 형성 = 518 신경세포의 이주 = 520 Box F 신경세포의 섞임: 장거리 이주 = 524 요약 = 525 22장 신경회로 형성 = 527 개요 = 527 축삭 성장원추 = 527 비확산성 축삭 안내 인자 = 528 Box A 시교차에서 축삭 안내 = 530 확산성 축삭 안내 분자들: 친화성 및 반발성 = 534 뇌 지형도 형성 = 537 선택적 신경연접 형성 = 539 Box B 신경연접 형성을 촉진하는 분자 신호틀 = 542 신경영양 상호작용과 신경세포 집단의 궁극적 크기 = 543 신경 회로 형성에 있어서 추가적인 경쟁적 상호작용 = 545 영양인자 상호작용의 분자적 기반 = 547 Box C 왜 신경세포들은 수상돌기틀을 갖고 있나? = 548 Box D BDNF의 발견과 영양인자군 = 552 신경영양인자의 신호전달 = 553 요약 = 554 23장 경험에 의한 뇌 회로의 수정 = 557 개요 = 557 임계 시기 = 557 Box A Built-In Behaviors = 558 언어의 발달: 인간 Critical Period의 예 = 559 Box B Birdsong = 560 시각 계통 발달에서의 Critical Periods = 562 Ocular Dominance에서 시각 제거의 영향 = 563 Box C 방사성 아미노산을 이용한 신경세포간 표지법 = 564 인간에서 시각 결핍과 약시 = 568 신경 활성이 신경 회로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 = 569 Critical Period 동안 활성 의존성 가소성을 야기하는 세포 분자 생물학적 기전 = 572 다른 감각계에서 Critical Period에 대한 증거 = 572 요약 = 573 24장 성숙 시냅스와 신경망 형성 = 575 개요 = 575 시냅스 형성을 통한 무척추 동물의 행동변화 = 575 Box A 초파리의 학습과 기억의 유전학 = 581 포유류 신경계의 단기 시냅스 형성 = 582 포유류 신경계의 장기 시냅스 형성 = 583 해마 시냅스의 장기 강화 = 584 LTP의 분자생물학적 기전 = 587 Box B 수상돌기가시 = 590 장기 시냅스 억제 = 592 Box C 휴지 시냅스 = 594 LTP와 LTD 동안 시냅스 기능의 변화 지탱을 유발하는 유전자 발현의 변화 = 597 성숙 대뇌 피질의 형성 = 599 Box D 간질: 신경망에서 병리학적 활성의 효과 = 600 신경 손상으로부터 회복 = 602 성숙 뇌의 신경세포 생성 = 605 Box E 왜 우리는 좀 더 물고기와 개구리 같지 않은가? = 606 요약 = 609 5단원 복잡한 뇌의 기능 25장 연합피질 = 613 개요 = 613 연합피질 = 613 피질 구조의 개관 = 614 연합피질의 특이점 = 615 Box A 피질 층화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보기 = 617 두정엽 연합피질의 병변: 주의력 결핍 = 619 측두엽 연합피질의 병변: 인식의 결함 = 622 전두엽 연합 피질의 병변: 계획화(planning)의 결손 = 623 Box B 정신외과 = 625 원숭이의 두정엽 피질에서 관찰되는 "주의력 신경세포" = 626 원숭이의 측두엽 피질에 있는 "인지 신경세포" = 627 원숭이 전두엽피질의 "계획 신경세포" = 630 Box C 신경심리검사 = 632 Box D 뇌의 크기와 지능 = 634 요약 = 635 26장 언어와 말하기 = 637 개요 = 637 언어는 국한되어지고 편재되어 있다 = 637 실어증 = 638 Box A 말하기 = 640 Box B 다른 동물들도 언어를 갖고 있을까? = 642 Box C 단어와 의미 = 645 언어편재성의 극적인 확인 = 646 좌우 대뇌반구의 해부학적 차이 = 648 언어기능의 매핑 = 649 Box D 언어와(오른)손잡이 = 650 언어에 있어서 대뇌 우반구의 역할 = 654 수화 = 655 요약 = 656 27장 수면과 각성 = 659 개요 = 659 왜 사람들과 많은 동물들은 잠을 자는가? = 659 Box A 종(種)에 따른 수면 방식 = 661 수면과 각성의 일주율 = 662 수면의 단계 = 665 Box B 생체시계의 분자기전 = 666 Box C 뇌파 검사 = 668 수면 상태에 따른 생리변화 = 671 수면과 꿈의 기능 = 671 수면을 관장하는 신경회로 = 674 Box D 의식 = 675 시상-피질의 상호작용 = 679 수면장애 = 681 Box E 약물과 수면 = 682 요약 = 684 28장 감정 = 687 개요 = 687 감정과 관련된 생리적인 변화 = 687 감정적인 행동의 완성 = 688 Box A 얼굴 표정 : 추체로와 추체외로의 역할들 = 690 대뇌 변연계 = 693 Box B 편도(扁桃)의 해부 = 696 편도(扁桃)의 중요성 = 697 Box C 중요한 발견 배후의 논리 = 698 신피질과 편도체의 관계 = 701 Box D 공포와 사람의 편도체: 증례 연구 = 702 Box E 정서장애 = 704 감정기능의 피질 편측화 = 705 감정, 동기, 사회적 행동 = 707 요약 = 708 29장 성, 성욕 그리고 뇌 = 711 개요 = 711 성적 이형성 행동 = 711 성이란 무엇인가? = 712 Box A 남녀 표현형의 발달 = 714 성적 이형성에 미치는 호르몬의 영향 = 715 Box B Bruce/Brenda의 예 = 716 신경 회로에 미치는 성 호르몬 효과 = 718 Box C 성호르몬의 작용 = 718 생식 행동과 특이적으로 관련된 중추신경계의 다른 이형성들 = 720 인지 기능과 관련된 뇌 이형성 = 728 성숙 동물들의 호르몬-민감성 뇌 회로들 = 729 요약 = 731 30장 기억 = 733 개요 = 733 인간 기억의 정성적 범주들 = 733 기억의 시간적 범주 = 734 Box A 계통발생학적 기억 = 735 정보저장에서 연상의 중요성 = 736 망각 = 738 Box B 편도(扁桃)의 해부 = 739 서술적 기억 형성에 기초를 이루는 두뇌 시스템 = 741 Box C 서술적 기억을 위한 해부학상 기질을 밝히는 임상적인 사례들 = 742 서술적 기억의 장기저장에 기초를 이루는 두뇌 시스템 = 746 비서술적 학습과 기억에 기초를 이루는 두뇌 시스템 = 748 기억과 노화 = 749 Box D 알츠하이머 질환 = 750 요약 = 753 색인 Glo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