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현대자연법론의 재생
제1절 자연법론의 재생 = 11
Ⅰ. 자연법론재생의 배경 = 11
Ⅱ. 자연법론의 재생 = 15
제2절 현대자연법론의 의의와 과제 = 18
Ⅰ. 현대자연법론의 의의 = 18
Ⅱ. 현대자연법론의 과제 = 21
Ⅲ. 자연법론의 미래 = 25
제2장 자연법과 자연법론
제1절 자연법 개념의 구체화 = 31
Ⅰ. 자연법의 인식 = 33
Ⅱ. 자연법의 실정법화 = 37
Ⅲ. 자연법의 초월성과 내재성 = 41
Ⅳ. 결론 = 50
제2절 자연법론과 법실증주의 = 52
Ⅰ. 자연법론과 법실증주의의 대립 = 52
Ⅱ. 법이론의 이분화와 의인화 = 56
Ⅲ. 인식내용의 객관화 = 62
Ⅳ. 주관성의 객관화 = 67
Ⅴ. 전망 = 69
제3장 자연법론의 역사적 고찰
제1절 자연법론의 유형 = 73
제2절 고전적 자연법론과 근대자연법론 = 78
Ⅰ. 고전적 자연법론 = 78
Ⅱ. 근대자연법론 = 87
제3절 현대자연법론 = 94
Ⅰ. 기독교적 자연법론 = 99
Ⅱ. 가치론적 자연법론 = 104
Ⅲ. 실존적 자연법론 = 108
Ⅳ. 법존재론 -제3의 길 = 112
제4장 현대자연법론의 과제
제1절 법의 개념과 효력 - 존재와 당위 - = 135
Ⅰ. 序 = 135
Ⅱ. 법의 개념 = 137
Ⅲ. 법의 효력개념 = 150
Ⅳ. 법의 효력근거 = 169
Ⅴ. 결론 = 176
제2절 사물의 본성 = 177
Ⅰ. 序 = 177
Ⅱ. 사물의 본성론의 전개 = 179
Ⅲ. 사물의 본성론과 자연법론 = 190
Ⅳ. 사물의 본성론과 법해석학 = 193
Ⅴ. 결론 = 197
제3절 법과 도덕 = 199
Ⅰ. 序 = 199
Ⅱ. 법과 도덕에 관한 견해의 대립 = 201
Ⅲ. 윤리규범의 법적 성격 = 207
Ⅳ. 결론 = 210
제4절 자연법과 역사성 = 212
Ⅰ. 문제의 제기 = 212
Ⅱ. 가치론적 자연법론 = 216
Ⅲ. 실존적 자연법론 = 223
Ⅳ. 존재론적 자연법론 = 230
Ⅴ. 전망 = 234
참고문헌
Ⅰ. 국내문헌 = 237
Ⅱ. 일본문헌 = 240
Ⅲ. 서양문헌 =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