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교육이념 = Ⅴ
재단 설립 이전의 학교 운영자 = Ⅶ
역대 이사장 = Ⅷ
역대 총장 = XI
역대 학장 및 신학원장 = XIII
교표 = XXIII
신학대학 교가 = XXVI
가톨릭대학교 교가 = XXVII
발간사: 이제와 영원히 / 학장 정의철 신부 = 1
축사: 신학교를 사랑하는 모든 분들에게 / 이사장 정진석 추기경 = 3
축사: 섭리와 은총의 150년 / 총장 임병헌 신부 = 4
일러두기 = 5
도표 및 그림 목록 = 17
제1편 전사(前史)
제1장 평신도 가성직제와 사제 영입 운동 = 23
1. 교회 창설기의 평신도 가성직제 = 23
1) 사제의 역할에 대한 이해 = 23
2) 평신도 가성직제의 수립과 폐지 = 26
2. 사제 영입 운동 = 31
1) 제1차 사제 영입 운동 = 31
2) 제2차 사제 영입 운동 = 35
3) 제3차 사제 영입 운동 = 37
제2장 파리외방전교회의 사제 양성 노력과 결실 = 42
1. 조선교구 설정과 파리외방전교회 = 42
1) 조선교구의 설정 = 42
2) 파리외방전교회의 진출 = 45
2. 프랑스 선교사들의 신학생 선발 = 48
1) 모방 신부의 신학생 선발 = 49
2) 앵베르 주교의 신학생 선발 = 53
3. 마카오 조선교구 신학교의 설립과 폐쇄 = 55
1) 마카오 조선교구 신학교의 설립 = 55
2) 마카오 조선교구 신학교의 초기 상황과 교육 과정 = 57
(1) 최방제의 병사(病死)와 마닐라 피신 = 57
(2) 스승 신부와 교육 내용 = 59
3) 마카오 조선교구 신학교의 폐쇄 = 61
(1) 폐쇄 배경과 과정 = 61
(2) 조선 신학생들의 행로 = 62
4. 한국인 사제의 탄생 = 64
1) 김대건 신부의 활동 = 64
(1) 귀국로 개척과 부제 수품 = 64
(2) 사제 수품과 순교 = 66
2) 최양업 신부의 활동 = 68
(1) 사제 수품과 귀국 = 68
(2) 사목 활동과 선종 = 70
5. 페레올 주교의 조선교구 신학교 설립 = 73
1) 다블뤼 신부의 예비 신학교 = 73
2) 페레올 주교의 조선교구 신학교 = 75
6. 페낭 유학 제1기 = 80
1) 페낭 유학과 페레올 주교의 조선교구 신학교 = 80
2) 페낭 신학교와 조선 신학생 = 84
제2편 성요셉신학교 시대
제1장 성요셉신학교의 설립과 초기 상황 = 93
1. 교구 소신학교 승격 = 93
2. 명칭ㆍ구조와 환경 = 97
제2장 성요셉신학교의 교육과정 = 102
1. 소신학교 시절의 교육과정 = 102
2. 페낭 유학생의 편입과 대신학교 병설 = 104
제3장 성요셉신학교의 교육 중단 = 108
1. 교사진의 체포와 순교 = 108
2. 흩어진 신학생들의 행적 = 109
3. 성요셉신학교의 역사적 의의 = 112
제3편 예수성심신학교 시대
제1장 한국인 사제 양성 활동의 재개 = 117
1. 새 선교사의 입국과 신학생 교육 = 117
2. 페낭 유학 제2기 = 120
제2장 예수성심신학교의 설립과 초기의 사제 양성(1885~1900년) = 124
1. 부엉골 예수성심신학교 = 124
1) 부엉골 예수성심신학교의 설립과 주변 환경 = 124
2) 교사진과 신학생 = 127
3) 신학교의 용산 이전(移轉) = 128
2. 용산 예수성심신학교 초기의 교육과 결실 = 131
1) 교수진과 교육과정 = 131
(1) 교수진 = 131
(2) 교육과정 = 134
2) 신학생과 일상생활 = 135
(1) 신학생 수의 변모 = 135
(2) 신학생들의 일상생활 = 139
3) 첫 사제 서품식과 초기의 사제 배출 = 142
3. 용산 예수성심신학교의 교사 신축과 순교자 유해 안치 = 143
1) 첫 서양식 교사(校舍)의 신축 = 143
2) 순교자 유해의 신학교 안치 = 145
제3장 예수성심신학교 중기의 사제 양성(1900~1928년) = 147
1. 교수진과 교과목의 변화 = 147
1) 교수진의 변화 = 147
2) 예비반 운영 = 151
3) 『타벨라』 발간 = 152
2. 서울대목구 신학교로의 위상 변화 = 153
1) 대구대목구 소속 신학생들의 전학 = 153
2) 신학생 수의 변화 = 155
3) 사제 배출 현황 = 158
3. 건축물 현황 = 160
1) 예수성심성당 신축 = 160
2) 김대건 신부와 순교자들의 유해 안치 = 161
3) 동작리 별장 = 164
4) 교사 증축 현황 = 165
4. 몇 가지 숙제들 = 166
제4장 예수성심신학교 후기의 사제 양성(1928~1942년) = 170
1. 대ㆍ소신학교 분리 = 171
2. 서울대목구 대신학교로서의 위상 = 177
1) 교수진 = 177
2) 교육과정 = 179
3) 사제 배출 = 180
3. 예수성심신학교의 교육 중단 = 182
1) 원인과 과정 = 182
2) 덕원에서의 위탁 교육 = 185
3) 대신학교 인가를 위한 노력 = 185
제4편 경성천주공교신학교와 성신대학 시대
제1장 경성천주공교신학교 = 191
1. 학교 인가와 초기 현황 = 191
2. 연구과 개설 = 193
3. 사제 배출 = 196
제2장 성신대학 = 197
1. 대학 설립 당시의 현황 = 197
1) 설립 인가 = 197
2) 성신대학 최초의 학칙 = 203
3) 교육과정과 교수진 = 205
4) 사제 배출 = 209
2. 피난지(避難地)에서의 학교 운영 = 209
1) 한국전쟁 직후의 신학교 = 209
2) 제주도 피난 = 211
3) 부산 영도 성신대학 = 214
4) 학제 개편 = 217
5) 사제 배출 = 220
3. 서울 복귀 = 222
1) 학생 및 교수 = 222
2) 학제 개편 = 227
3) 유학생 파견 = 228
4) 학교생활의 이모저모 = 229
5) 사제 배출 = 237
6) 아랫집 성신중ㆍ고등학교 = 238
제5편 가톨릭대학 시대
제1장 1960년대의 사제 양성 = 243
1. 교명 변경 = 243
2. 학제의 변화 = 244
1) 학사 고시와 교직과정 설치 = 244
2) 4년제로의 환원 = 245
3) 학생 현황 = 247
3. 교수진 = 250
4. 전국 신학교에서 서울관구 대신학교로의 위상 변화 = 253
5. 일상생활과 학생 활동 = 255
6. 별관(성당 겸 사제관) 신축 = 260
7. 사제 배출 = 262
제2장 제2차 바티칸공의회에 따른 가톨릭대학의 변화 = 264
1. 학제와 교과과정의 개편 = 265
1) ''신학부 학칙 내규''의 제정 = 265
2) 수업연한 축소와 부제학교 신설 = 267
3) 졸업논문 제도의 도입 = 269
4) 신학교의 개방 = 270
2. 서품 제도의 변화 = 273
제3장 1970년대의 사제 양성 = 278
1. 서울관구 대신학교 = 278
1) 서울관구 대신학교의 인가 = 278
2) 관구 신학원 분리 이전의 기숙사 생활 = 279
3) 신축 교사 완공 및 대학과 관구 신학원의 분리 = 283
4) 신학원 생활 및 대학과 관구 신학원의 통합 = 286
2. 신학원 분리 전후의 보직 교수와 교수진 = 289
3. 학제 연장 모색 = 292
4. 대학의 연구 기능 강화 = 294
1) 연구소 설립 = 294
2) 대학 논문집 발간 = 296
5. 성소 계발과 육성을 위한 노력 = 300
6. 1970년대의 사제 배출 현황과 해외 유학생 파견 = 304
제4장 1980년대의 사제 양성 = 307
1. 대학 조직과 교수진 = 307
1) 1980년대 전반부의 보직 교수 개편과 교수진 = 307
2) 1980년대 후반부의 보직 교수 및 교수진 = 309
3) 연구소 활동 = 311
2. 새 교과과정과 정원제 변경 = 313
1) 1980년대 초의 학칙 개정과 졸업 정원제 = 313
2) 새 교과과정의 수립 = 317
3) 입학 정원제 환원과 사목학과(철학과) 신설 = 319
3. 7년제 도입 = 323
4. 신학원과 「한국 사제 양성 지침」 = 326
1) 연구과 통합 논의와 타 대신학교의 개교 = 326
2) 신학원 기숙사 신축 및 증ㆍ개축 = 329
(1) 기숙사(현 대건관) 증축(1980년) = 330
(2) 기숙사 신관(현 양업관) 신축 = 331
(3) 별관(현 성신관ㆍ지혜관) 개축 = 334
(4) 성당 증축 = 335
3) 「한국 사제 양성 지침」 반포(1987년) = 335
4) 신학원 생활의 변화 = 336
(1) 「서울관구 대신학교 생활 내규」 제정(1987년) = 336
(2) 영성생활의 강화 = 340
5. 주요 행사 = 345
1) 교회 창설 200주년과 교황 내교 = 345
2) 예수성심신학교 개교 100주년 = 347
(1) 100주년 기념 학술세미나와 학술제 = 347
(2) 개교 100주년의 의미 - 가톨릭대학의 기원 문제 = 349
3) 서울 세계성체대회 기념 국제 학술회의 = 352
6. 1980년대의 사제 배출 현황과 해외 유학생 파견 = 354
제6편 가톨릭대학교 시대
제1장 종합대학 승격을 위한 노력 = 359
1. 가톨릭 종합대학교 설립 계획 = 359
2. 교명ㆍ편제 변경과 교수진 = 362
3. 신학원의 소공동체화 = 365
제2장 통합 가톨릭대학교 출범과 신학대학 = 373
1. 가톨릭대학교와 성심여자대학교의 통합 = 373
2. 통합 직후의 신학대학 = 377
1) 신학대학의 명칭ㆍ편제와 교수진 = 377
(1) 교회와 학제상의 공식 명칭 = 377
(2) 편제와 교수진 = 378
2) 캠퍼스 종합개발 계획의 완료 = 380
제3장 신학대학의 미래 지향과 사제 양성 = 382
1. 현대적 사제 양성 방안의 모색 = 382
1) 「한국 사제 양성 지침」(2001년) = 382
2) 주교회의 표준 교과과정의 적용 = 384
3) 신학대학 학제의 변화 = 387
(1) 종합 시험 = 387
(2) 학사 시행 세칙 = 389
(3) 성신 발전 계획 = 390
4) 신학원 생활의 쇄신 = 391
(1) ''영성의 해'' 실시 = 391
(2) 「서울대교구 대신학교 신학원 생활 내규」(1997/2003년) = 394
2. 보직 교수와 교수진 = 395
1) 2003년 이전 = 395
2) 2003년 이후(현재) = 397
3. 미래 교회 봉사를 위한 작은 준비들 = 400
1) 대희년ㆍ삼천년기 준비 활동 = 400
2) 서울대교구 시노드 참여 활동 = 402
4. 1990년대 이후의 사제 배출 현황과 해외 유학생 파견 = 406
5. 가톨릭대학교 설립 150주년 기념사업 = 408
1) 가톨릭대학교 개교 15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 408
2)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개교 15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 416
제7편 대학원
제1장 대학원 = 425
1. 인가 및 발전 과정 = 425
2. 역대 보직 교수 = 431
3. 교육 = 433
4. 현황 = 435
제2장 교회음악대학원 = 438
1. 연혁 = 438
2. 교육 = 440
3. 현황 = 443
제8편 부속 기관 및 학생 활동
제1장 대학 기관 및 연구소 = 447
1. 행정기관 = 447
1) 사무처 = 447
(1) 총무과 = 448
(2) 경리과 = 452
2) 교학처 = 452
2. 부설 기관 = 456
1) 신학 도서관 = 456
2) 전례박물관 = 462
3) 전산실 = 467
4) 출판부 = 471
3. 부속 연구소 = 483
1) 사목연구소 = 483
2) 교리사목연구소 = 493
제2장 신학원 = 498
1. 주요 연혁 = 498
2. 역대 신학원장 및 원감신부 = 500
3. 신학원 학생자치회 = 503
4. 신학생들의 군대 복무 = 509
5. 신입생 연수 및 피정 = 514
제3장 학생회 = 516
1. 주요 연혁 = 516
2. 제55대 학생회 조직 및 임원 현황 = 529
3. 알마 축제 = 530
제4장 학보사 = 534
1. 주요 연혁 = 534
2. 역대 주간교수 및 편집장 = 536
3. 신문 발행 일람 = 538
제5장 동아리 활동 = 544
1. 동아리 활동의 전개 과정 = 544
2. 과거의 동아리들 = 554
3. 동아리 현황 = 568
부록
1. 원로 교수 회고문(발췌) = 597
1) 한국 신학 교육의 회고-장금구 신부 = 598
2) 학창생활 十五年-신성우 신부 = 605
3) 성직 생활의 회고-구천우 신부 = 612
2. 대학 기구표 = 614
3. 대학 편제 변경 일람표 = 635
4. 교과과정표 = 637
5. 역대 보직 교수 명단 = 681
6. 교원 명단 = 683
1) 전직 교원 명단 = 683
2) 현직 교원 명단 = 688
3) 전ㆍ현직 강사 명단 = 690
7. 대신학교 상주 사제 명단 = 699
1) 전직 상주 사제 = 699
2) 현직 상주 사제 = 705
3) 상주 사제 재직 현황 = 706
8. 수녀원 = 718
9. 직원 명단 = 721
1) 전직 직원 = 721
2) 현직 직원 = 733
10. 졸업생 명단 = 736
1) 전체 졸업생 및 통계 = 736
2) 수녀 명단 및 통계 = 758
3) 남녀 통학생 = 764
4) 교직과정 이수자 및 통계 = 768
11. 본교 배출 성직자 명단 = 773
1) 본교 출신 주교 = 773
2) 본교 출신 사제 및 통계 = 774
3) 해외 유학생 사제 수품자 = 836
12. 석ㆍ박사 학위 수여자 명단 및 통계 = 841
1) 대학원 = 841
2) 교회음악대학원 = 851
13. 교수 논문 및 저ㆍ역서 목록 = 852
1) 논문 = 852
2) 저서 = 879
3) 번역 = 887
14. 주요 규정 = 903
1) 신학대학 학사 시행 세칙 = 903
2) 성신교정 일반 대학원 학사 시행 세칙 = 912
3) 교회음악대학원 학사 시행 세칙 = 922
4) 서울대교구 대신학교 운영 지침 = 932
5) 서울대교구 대신학교 신학원 생활 내규 = 935
15. 연보 = 946
16. 교정 안내도 = 999
17. 색인 = 1000
1) 주제 색인 = 1000
2) 인물 색인 = 1011
18. 참고문헌 = 1023
19. 편집후기 = 1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