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사업장 감시시스템이 노동인권에 미치는 영향

사업장 감시시스템이 노동인권에 미치는 영향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준식, 연구책임 김유선, 연구
단체저자명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주관연구
서명 / 저자사항
사업장 감시시스템이 노동인권에 미치는 영향 / 연구책임: 박준식 ; 연구원: 김유선 [외] ; 연구기관: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발행사항
서울 :   국가인권위원회,   2005.  
형태사항
270 p. : 삽도 ; 26 cm.
기타표제
2005년도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일반주기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cam c2200205 k 4500
001 000045418127
005 20230214145146
007 ta
008 071107s2005 ulka b 000c kor
035 ▼a (KERIS)BIB000011059466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82 0 4 ▼a 323.3223 ▼2 22
090 ▼a 323.3223 ▼b 2005
245 0 0 ▼a 사업장 감시시스템이 노동인권에 미치는 영향 / ▼d 연구책임: 박준식 ; ▼e 연구원: 김유선 [외] ; ▼e 연구기관: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46 0 3 ▼a 2005년도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260 ▼a 서울 : ▼b 국가인권위원회, ▼c 2005.
300 ▼a 270 p. : ▼b 삽도 ; ▼c 26 cm.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박준식, ▼e 연구책임
700 1 ▼a 김유선, ▼e 연구
710 ▼a 한국노동사회연구소, ▼e 주관연구 ▼0 AUTH(211009)59103
710 ▼a 국가인권위원회 ▼0 AUTH(211009)24637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323.3223 2005 등록번호 1114512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1장 서론
  1. 정보기술의 발전과 전자감시 체제의 등장 = 8
  2.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 11
  3. 전자감시의 확장과 노동인권 = 14
    1) 감시기술의 확장 = 14
    2) 감시기술과 노동인권 = 16
  4. 연구의 내용과 방법 = 18
2장 사업장 감시시스템의 일반적 현황
  1. 전자 노동감시의 개념 = 22
  2. 노동자 전자감시의 유형 = 24
  3. 감시시스템 기술과 현황 = 26
    1) 국내의 기술 동향 = 26
    2) 감시시스템 시장 = 36
    3) 노동자 감시시스템 보급 현황 = 37
3장 사업장 실지조사
  1. 조사의 개요 = 42
  2. 조사 결과 = 43
    1) 노조 탄압과 감시시스템 = 43
    2) CCTV의 과다한 사용 = 49
    3) IT업종과 인터넷 체킹 = 55
    4) ERP의 영향 = 59
    5) RFID 카드로 인한 분쟁 = 71
    6) 전화 통화 녹취 = 75
    7) 생체인식 기술과 노동 통제 = 78
  3. 요약 및 함의 = 82
4장 조합원 설문조사
  1. 조사의 개요 = 84
  2. 조사결과 = 86
    1) 인구·사회적 특성 = 86
    2) 전자기술의 종류와 사용실태 = 92
    3) 전자기술의 목적 및 관찰 감시에 대한 인식 = 101
    4) 전자기술 직장 설치 과정 = 108
    5) 전자기술 사용의 효과에 대한 인식 = 112
    6) 전자기술사용 규제의 필요성과 대책 = 115
    7) 전자감시 규정의 구성 = 124
  3. 요약 및 함의 = 136
5장 국제 기준과 해외 제도의 사례
  1. 개요 = 140
  2. 사업장감시 관련 국제기준(Global Standards) = 142
  3. 해외 주요국의 사업장감시 관련 입법 사례 = 149
    1) EU 국가 사례 = 149
    2) 미국의 사례 = 156
    3) 캐나다 사례 = 159
    4) 호주의 사례 = 160
  4. 소결 : 정책적 시사점 = 164
6장 법적 규제 개선방향
  1. 전자 노동감시의 법적 평가 = 167
    1) 전자 노동감시를 둘러싼 노사간의 권리관계 = 167
    2) 전자 노동감시의 정당성 판단기준 = 171
  2. 전자 노동감시 규제에 관한 법제 현황 = 174
    1) 헌법 = 175
    2) 노동관계법 = 175
    3) 정보·통신 관련법 = 176
    4) 외국에서의 법적 규제 = 178
  3. 전자 노동감시 관련 법제 개선방향 = 182
    1) 전자 노동감시 규제입법의 필요성과 입법체계 = 182
    2) 전자 노동감시 규제입법의 기본원칙 = 183
    3) 전자 노동감시 규제입법의 구체적 방향 = 186
    4) 단체협약을 통한 전자 노동감시 규제방안 = 206
7장 결론
  1) 감시기술에 대한 사회적 개입의 필요성 = 212
  2) 국가적 수준의 대응 = 212
  3) 작업장 수준의 대응 = 214
  4) 시민사회와 국제적 연대 = 215
참고문헌 = 217
[부록1] 국제노동기구(ILO)의 「노동자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행동 준칙」 = 225
[부록2] EU의회 「회사에서의 전자통신 감시에 관한 특별조사위원회 보고서」 = 235
[부록3]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주의 「작업장비디오감시법」 = 247
[부록4] 민주노총의 「단체협약 모범안」중 노동자감시 관련조항(2002) = 252
[부록5] 면접조사지 = 256
[부록6] 설문지 = 262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