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392camcc2200433 c 4500 | |
001 | 000045417280 | |
005 | 20100825193653 | |
007 | ta | |
008 | 080123s2007 ulkag b 001c kor | |
020 | ▼a 9788995990117(v.1) ▼g 94670 | |
020 | ▼a 9788995990155(v.1) ▼g 94670 | |
020 | ▼a 9788995990124(v.2) ▼g 94670 | |
020 | ▼a 9788995990162(v.2) ▼g 94670 | |
020 | 1 | ▼a 9788995990100(전2권) |
020 | 1 | ▼a 9788995990148(전2권) |
035 | ▼a (KERIS)BIB000011123914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780/.9 ▼2 22 |
085 | ▼a 780.9 ▼2 DDCK | |
090 | ▼a 780.9 ▼b 2007z1 | |
100 | 1 | ▼a Grout, Donald J. ▼0 AUTH(211009)130306 |
245 | 2 0 | ▼a (그라우트의) 서양음악사 / ▼d Donald J. Grout, ▼e Claude V. Palisca, ▼e J. Peter Burkholder 글; ▼e 민은기 [외]옮김 |
246 | 1 9 | ▼a (A) History of Western music ▼g (7th ed.) |
260 | ▼a 서울 : ▼b 이앤비플러스, ▼c 2007 ▼g (2009) | |
300 | ▼a 2책 : ▼b 천연색삽화, 악보 ; ▼c 29 cm | |
500 | ▼a 역자: 오지희, 이희경, 전정임, 정경영, 차지원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650 | 0 | ▼a Music ▼x History and criticism |
700 | 1 | ▼a Palisca, Claude V., ▼e 저 ▼0 AUTH(211009)71613 |
700 | 1 | ▼a Burkholder, J. Peter, ▼e 저 ▼0 AUTH(211009)28852 |
700 | 1 | ▼a 민은기, ▼e 역 ▼0 AUTH(211009)108154 |
700 | 1 | ▼a 오지희, ▼e 역 ▼0 AUTH(211009)89782 |
700 | 1 | ▼a 이희경, ▼e 역 ▼0 AUTH(211009)92989 |
700 | 1 | ▼a 전정임, ▼e 역 ▼0 AUTH(211009)39383 |
700 | 1 | ▼a 정경영, ▼e 역 ▼0 AUTH(211009)80498 |
700 | 1 | ▼a 차지원, ▼e 역 ▼0 AUTH(211009)97285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 2007z1 1 | Accession No. 11145594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 2007z1 1 | Accession No. 11159072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 2007z1 2 | Accession No. 11159072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 2007z1 2 | Accession No. 11159072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5)/ | Call Number 780.9 2007z1 1 | Accession No. 11159072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5)/ | Call Number 780.9 2007z1 2 | Accession No. 11145594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7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 2007z1 1 | Accession No. 15126102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8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 2007z1 1 | Accession No. 15129004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9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 2007z1 2 | Accession No. 15126102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10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 2007z1 2 | Accession No. 15129004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 2007z1 1 | Accession No. 11145594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 2007z1 1 | Accession No. 11159072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 2007z1 2 | Accession No. 11159072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 2007z1 2 | Accession No. 11159072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5)/ | Call Number 780.9 2007z1 1 | Accession No. 11159072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5)/ | Call Number 780.9 2007z1 2 | Accession No. 11145594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 2007z1 1 | Accession No. 15126102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 2007z1 1 | Accession No. 15129004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 2007z1 2 | Accession No. 15126102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 2007z1 2 | Accession No. 15129004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서양 예술음악에 대한 총괄적이고 뛰어난 조망”
1960년에 초판이 나온 이래, 4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가장 뛰어나고 자세한 설명으로 서양 음악사 분야의 바이블로 통해온 『그라우트의 서양 음악사』의 최신판인 제7판의 번역서로, 대표 옮긴이인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의 민은기 교수를 비롯해 음악사 분야의 국내 최고의 번역진 6명이 모여 2년여에 걸친 번역 기간을 통해 가장 완벽하게 우리말로 옮겨졌다.
전체 2권, 총 1,100페이지가 넘는 방대한 분량에 원시 시대의 음악으로부터 현대의 랩 음악까지 서양 음악의 모든 것을 담은 서양 음악사의 정본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도날드 J. 그라우트(지은이)
1960년에 『서양음악사』의 초판을 출판했다.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 과정을 지낼 때부터 동 대학에서 음악교수로 재직했으며, 학위를 받은 뒤에는 텍사스 대학에서 교직에 종사했다. 이후 코넬 대학 창설 명예교수를 역임하는 등 미국 음악학계의 대가 중 한 명이었다. 다른 저서로는 『오페라의 짧은 역사 A Short History of Opera』(1947) 등이 있다. 1987년 타계했다.
클로드 V. 팔리스카(지은이)
1980년에 처음으로 『노튼 서양음악 선곡집』을 제작했으며, 1988년 제4판부터 그라우트와 『서양음악사』를 공저했다. 초기 음악, 특히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 오페라에 대한 세계적인 권위자로 1970년부터 1972년까지 미국 음악학 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그 외에도 미국 교육청, 미국 국립인문재단 등에도 관여했다. 다른 저서로 『바로크 음악 Baroque Music』(1968) 등이 있다. 2001년 타계했다.
J. 피터 부르크홀더(지은이)
인디애나 대학 음악학과 교수로, 미국 음악학 협회 회장 및 칼리지 뮤직 소사이어티(College Music Society) 임원 등을 역임했다. 1996년에 『서양음악사』 제5판과 『노튼 서양음악 선곡집』을 위한 『학습서 및 감상 지도서』를 출판했다. 그 외에 찰스 아이브스에 대한 네 권의 책을 쓰거나 엮었고, 다양한 음악잡지에 중세 시대 음악부터 20세기 음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의 수많은 글들을 실었다.
전정임(옮긴이)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이론전공) 학사 및 석사 · 이탈리아 로마 Pontificio Istituto di Musica Sacra 석사 및 박사 · Accademia Internazionale della Musica di Roma 합창지휘과 디플롬 ·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책임연구원 역임 · 현 충남대학교 음악과 교수 대전오라토리오 합창단 상임지휘자 · 저서: 『안익태』, 『초기 한국 천주교회음악』, 『한국예술사대계』(공저), 『김동진 구술채록집』, 『안형일 구술채록집』 등
민은기(옮긴이)
서울대학교 작곡과 교수 서울대학교 작곡과에서 음악 이론을 전공하고 파리 소르본 대학에서 프랑스 음악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1995년부터 지금까지 서울대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이론 연구와 후학 양성에 집중해왔다. 프랑스혁명, 바로크 오페라 등의 주제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저술과 번역에도 힘써 한국에서 클래식음악과 관련된 책을 가장 많이 낸 음악학자 중 한 사람으로 꼽힌다. 중앙일보와 경향신문 등 여러 매체에 음악과 관련된 글을 정기적으로 연재하고 있기도 하다. 피아니스트였던 어머니에게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한 다섯 살부터 내내 숨 쉬듯 곁에 음악을 두고 살아왔다. 음악을 사랑하는 한 사람이자 한국의 1세대 음악학자로서, 음악의 아름다움을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데 힘을 보태고 싶어 『난생 처음 한번 들어보는 클래식 수업』의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난생 처음 한번 들어보는 클래식 수업』 1~7, 『음악과 페미니즘』, 『대중음악 강의』, 『Classics A to Z: 서양음악의 이해』, 『서양음악사: 피타고라스부터 재즈까지』, 『독재자의 노래: 그들은 어떻게 대중의 눈과 귀를 막았는가』, 『서양음악사』 1~2, 『대중음악의 이해』 외에 다수가 있다. * 외부 활동 ● 경향신문 ‘문화비평’ 연재 (2012~2013년) ● 중앙일보 ‘삶의 향기’ 연재 (2017~2018년) ● ㈔음악사연구회와 네이버 악기백과, 다음 클래식백과 책임집필 ● JTBC ‘차이나는 클라스’ 출연 (2019년 11월 20일) ●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 음악 레슨’ 시리즈 기획 (2020년)
오지희(옮긴이)
서울예고에서 피아노를 수학한 후 서울대학교 작곡과에서 음악이론을 전공했다.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원에서 음악미학과 음악사로 석,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백석문화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클래식 음악 전문해설가와 음악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라우트의 서양음악사』(제7판) 공동번역과 저서 『음악에 글을 새기다』, 『이 한 권의 베토벤』 등 다양한 매체에 글을 쓰며 클래식 음악의 가치를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이희경(옮긴이)
음악학자 이희경은 20세기와 21세기 음악의 다양한 흐름과 그 속에서 아시아와 한국 현대음악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오랫동안 천착해온 연구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음악이론을 공부하고 동 대학원에서 음악학 석사를 마쳤으며, 베를린 예술대학에서 리게티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교양학부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에서 가르치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현대음악 강의도 진행하고 있다. 한국 창작음악의 현재를 다루는 반년간 비평지 『오늘의 작곡가 오늘의 작품』 편집위원장으로도 활동 중이다. 지은 책으로 『메트로폴리스의 소리들. 빈ㆍ파리ㆍ베를린ㆍ뉴욕, 20세기 대도시를 가로지르는 현대음악의 풍경』, 『리게티, 횡단의 음악』, 『작곡가 강석희와의 대화』, 옮긴 책으로 『진은숙, 미래의 악보를 그리다』, 『그라우트 서양 음악사 7판』(공역), 『어린이를 위한 서양음악사』(공역) 등이 있고, 현대음악의 다양한 주제들로 30편이 넘는 논문을 썼다. 2006년부터 현재까지 서울시향 ‘아르스 노바’ 시리즈의 프로그램 책자에 실린 독일어 해설을 한국어로 옮겼고, 독일 음악사전(MGG)과 현대음악 사전(Lexikon Neue Musik)에 한국 작곡가들과 한국 현대음악 항목을 집필했다.
정경영(옮긴이)
음악을 좋아할 뿐 아니라 음악에 대해 생각하고 말하기를 좋아하다가 다행히도 그것을 직업으로 삼게 되었다. 서울대학교와 동대학원, 노스텍사스주립대학교에서 음악학을 공부했고 지금은 한양대학교에서 음악사, 음악학, 음악과 관련된 교양과목들을 가르치고 있다. 음악의 감동을 말이나 글로 '번역'하는 일, 음악에 대한 생각의 지평을 넓히는 일, 음악적 상상력으로 인간과 문화를 살피는 일에 관심이 있다.
차지원(옮긴이)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이론전공 졸업. 미국 워싱턴 대학교 체계음악학 석사.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음악학 박사. 현재 미국 오하이오 영스타운 주립대학교 교수.

Table of Contents
[volume. vol.상]---------- 목차 1부 고대와 중세 세계 = 22 1장 고대 음악 = 24 초기 음악 = 25 고대 메소포타미아 음악 = 26 연대기 = 28 고대 그리스 생활 속의 음악과 사상 = 30 고대 로마의 음악 = 42 그리스의 유산 = 43 2장 첫 밀레니엄의 기독교회 = 45 기독교의 보급 = 45 유대교의 유산 = 46 초기 교회음악 = 48 교회의 분열과 성가의 지역화 = 50 연대기 = 51 기보법의 발달 = 56 음악의 이론과 실제 = 63 역사의 반향 = 71 3장 고대 전례와 성가 = 72 로마 전례 = 72 성가의 특성들 = 78 연대기 = 78 성가의 장르와 형식 = 79 공인된 성가의 첨가 = 88 빙엔의 힐데가르트 = 92 성가의 계속적인 현존 = 93 4장 중세의 음악과 춤 = 95 유럽 사회, 800~1300 = 95 라틴어와 지역어 노래 = 98 연대기 = 98 트루바두르와 트루베르 = 100 다른 나라의 노래 = 106 중세 악기 = 108 춤곡 = 110 사랑하는 자의 한탄 = 111 5장 13세기 다성음악 = 113 초기 오르가눔 = 114 아키텐 다성음악 = 118 노트르담 다성음악 = 120 연대기 = 124 다성 콘둑투스 = 130 모테트 = 131 영국 다성음악 = 139 다성음악 전통 = 142 6장 14세기 프랑스 음악과 이탈리아 음악 = 144 14세기의 유럽 사회 = 144 연대기 = 145 프랑스의 아르스 노바 = 148 기욤 드 마쇼 = 154 아르스 수브틸리오르 = 161 이탈리아 트레첸토 음악 = 163 14세기 음악의 연주 = 169 새로운 예술의 전파 = 173 2부 르네상스 = 174 7장 르네상스 시대 = 176 문화와 예술의 르네상스 = 177 연대기 = 178 음악의 르네상스 = 182 르네상스 예술로서의 음악 = 191 8장 15세기 영국과 부르고뉴 = 195 영국 음악 = 195 연대기 = 198 부르고뉴 지역의 음악 = 202 기욤 뒤페 = 207 다성 미사 = 211 르네상스의 음악 언어 = 216 9장 프랑스 플랑드르 작곡가들, 1450~1520 = 217 정치적 변화와 합병 = 217 오케헴과 뷔누아 = 220 새로운 세대 = 225 연대기 = 226 조스캥 데 프레 = 229 옛 것과 새 것 = 236 10장 종교개혁 시대의 종교음악 = 237 종교개혁 = 237 루터교회의 음악 = 239 연대기 = 243 칼뱅교회의 음악 = 245 영국의 교회음악 = 249 가톨릭 교회음악 = 251 조반니 피에르루이지 다 팔레스트리나 = 255 스페인과 신세계 = 260 독일과 동유럽 = 263 유대 음악 = 266 16세기 종교음악의 유산 = 266 11장 16세기 마드리갈과 세속음악 = 268 최초의 음악 시장 = 268 스페인 = 270 이탈리아 = 271 연대기 = 271 이탈리아 마드리갈 = 272 프랑스 = 283 독일 = 286 영국 = 287 마드리갈과 그 영향 = 290 12장 기악음악의 등장 = 292 악기 = 292 기악음악의 유형 = 297 연대기 = 297 베네치아 음악 = 309 기악음악의 독립 쟁취 = 312 3부 17세기 = 314 13장 17세기의 새로운 양식 = 316 17세기 유럽 = 317 연대기 = 317 르네상스에서 바로크로 = 321 바로크 음악의 일반적인 특징 = 328 이 시기에 등장한 새로운 요소 = 335 14장 오페라의 탄생 = 336 오페라 형성에 영향을 준 것 = 336 연대기 = 337 첫 오페라 = 342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 346 이탈리아 오페라의 전파 = 350 연극으로서의 오페라와 무대 예술로서의 오페라 = 358 15장 17세기 초의 실내음악과 교회음악 = 359 이탈리아 실내 성악음악 = 359 가톨릭 종교음악 = 363 연대기 = 365 루터 교회음악 = 369 하인리히 쉬츠 = 369 유대교 음악 = 373 기악음악 = 375 전통과 개혁 = 383 16장 17세기 프랑스, 영국, 스페인, 신대륙 = 385 프랑스 바로크 = 386 연대기 = 394 영국 바로크 = 404 스페인과 신대륙 = 411 프랑스 양식과 민족 전통 = 415 17장 17세기 후반 이탈리아와 독일 = 416 이탈리아 = 416 연대기 = 422 독일과 오스트리아 = 433 미래를 위한 씨앗 = 446 4부 18세기 = 448 18장 18세기 초 이탈리아와 프랑스 = 450 변화의 세기에 놓인 유럽 = 450 이탈리아 음악 = 452 연대기 = 453 안토니오 비발디 = 456 프랑스 음악 = 464 장 필립 라모 = 466 격변하는 대중 = 471 19장 후기 바로크의 독일 작곡가들 = 473 음악적 배경 = 473 요한 세바스찬 바흐 = 476 연대기 = 480 조지 프리데릭 헨델 = 493 영속적인 유산 = 508 20장 고전 시기 초의 오페라와 성악음악 = 510 18세기 중기에서 후기의 유럽 = 510 음악 취향과 양식 = 516 연대기 = 517 이탈리아 희극 오페라 = 523 오페라 세리아 = 528 다른 언어로 구성된 오페라 = 532 오페라 개혁 = 536 노래와 교회음악 = 539 오페라와 새로운 언어 = 544 21장 기악음악 : 18세기 중반기 소나타, 교향곡, 협주곡 = 545 악기와 앙상블 = 545 장르와 형식 = 549 연대기 = 552 건반음악 = 553 관현악 음악 = 558 노래하는 악기 = 563 22장 18세기 말 고전 음악 = 564 요제프 하이든 = 564 연대기 = 568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585 고전 음악 = 605 더 읽을 문헌들 = 607 찾아보기 = 637 [volume. vol.하]---------- 목차 5부 19세기 = 22 23장 혁명과 변화 = 24 혁명, 전쟁, 음악, 1789~1815 = 24 연대기 = 26 루트비히 반 베토벤 = 27 베토벤의 구심성 = 47 24장 낭만 세대 : 노래와 피아노 음악 = 48 새로운 질서, 1815~1848 = 48 낭만주의 = 54 연대기 = 57 노래 = 58 피아노 음악 = 67 낭만주의의 유산 = 81 25장 고전 형식 속의 낭만주의 : 관현악 음악, 실내음악, 합창음악 = 83 관현악 음악 = 83 연대기 = 86 실내음악 = 96 합창음악 = 100 낭만주의와 고전 전통 = 108 26장 19세기 중반까지의 낭만주의 오페라와 음악극 = 109 오페라의 역할 = 109 이탈리아 = 110 프랑스 = 118 독일 = 122 미국 = 124 연대기 = 125 고급문화로서의 오페라 = 128 27장 19세기 후반 오페라와 음악극 = 129 테크놀로지, 정치, 민족주의 = 129 오페라 = 132 주세페 베르디 = 133 베르디 이후 이탈리아 작곡가 = 137 리하르트 바그너 = 139 프랑스 = 147 러시아 = 150 다른 나라들 = 158 연대기 = 159 무대음악과 그 청중 = 161 28장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후기 낭만주의 = 163 양분된 논쟁 = 163 연대기 = 164 요하네스 브람스 = 167 바그너주의자 = 174 청중에 도달하기 = 184 29장 19세기 말의 다양한 전통들 = 185 프랑스 = 185 동유럽과 북유럽 = 189 연대기 = 194 미국 = 195 수용과 승인 = 202 6부 20세기 및 그 이후 = 204 30장 20세기 초 = 206 모던 시대, 1898~1918 = 206 지역 음악의 전통 = 212 연대기 = 214 클래식 전통의 모던 음악 = 218 독일과 오스트리아 = 219 클로드 드뷔시 = 228 제1세대 모던 작곡가들 = 233 아방가르드 = 244 후기 낭만인가 모던인가? = 247 31장 모더니즘과 클래식 전통 = 249 아르놀트 쇤베르크 = 250 연대기 = 253 알반 베르크 = 261 안톤 베베른 = 264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267 벨라 바르토크 = 277 찰스 아이브스 = 283 작곡가와 청중 = 290 32장 두 세계대전 사이 : 재즈와 팝음악 = 292 두 대전 사이 = 292 연대기 = 294 미국의 음악극과 팝송 = 296 재즈 시대 = 299 듀크 엘링턴 = 308 영화음악 = 311 매스미디어와 팝음악 = 313 33장 두 세계대전 사이 : 클래식 전통 = 314 음악, 정치 그리고 대중들 = 314 연대기 = 315 프랑스 = 316 독일 = 319 소련 = 325 남북 아메리카 = 329 미국 = 332 정치는 무슨?[탈정치화] = 341 34장 세계대전 후의 경향들 = 343 냉전과 분열된 전통 = 343 팝 음악 = 346 브로드웨이와 영화 음악 = 352 연대기 = 354 비밥에서 프리 재즈까지 = 355 클래식 전통의 계승자들 = 358 전통적 매체 = 359 음렬주의 = 368 비음렬적 복잡성과 기교성 = 371 새로운 소리와 텍스처 = 373 아방가르드 = 383 인용과 콜라주 = 388 밴드와 목관 앙상블 음악 = 390 롤 오버, 베토벤 = 392 35장 밀레니엄의 끝 = 394 지구촌 문화 = 394 연대기 = 395 변화하는 음악 세계 = 396 팝음악의 특화 = 403 미니멀리즘과 포스트미니멀리즘 = 405 접근 용이한 새로운 음악 = 410 비서양 음악과의 상호작용 = 418 새 밀레니엄 = 419 더 읽을 문헌들 = 421 찾아보기 = 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