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18camccc200277 c 4500 | |
001 | 000045415873 | |
005 | 20100806033427 | |
007 | ta | |
008 | 060921s2006 ulka b 000c kor | |
020 | ▼a 895711114X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0657472 | |
040 | ▼a 225009 ▼d 211009 | |
082 | 0 4 | ▼a 659.132 ▼2 22 |
090 | ▼a 659.132 ▼b 2006b1 | |
245 | 0 0 | ▼a 신문의 기사형 광고 / ▼d 공동연구: 강미선, ▼e 김민기, ▼e 김봉현 ; ▼e 기획: 한국언론재단 조사분석팀. |
260 | ▼a 서울 : ▼b 한국언론재단 , ▼c 2006. | |
300 | ▼a 188 p. : ▼b 삽도 ; ▼c 25 cm. | |
490 | 1 0 | ▼a 조사분석 ; ▼v 2006-01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강미선 , ▼e 연구 |
700 | 1 | ▼a 김민기 , ▼e 연구 |
700 | 1 | ▼a 김봉현 , ▼e 연구 |
710 | ▼a 한국언론재단 , ▼e 기획 | |
830 | 0 | ▼a 조사분석(한국언론재단) ; ▼v 2006-01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59.132 2006b1 | 등록번호 1114545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59.132 2006b1 | 등록번호 11145458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강미선(지은이)
선문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를 취득했다. 1990년부터 1997년까지 한국방송광고공사 광고연구소에서 근무했다. 2001년 박사 취득 후에는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연구위원으로 재직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근무를 계기로 신문광고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전개했다. 『사례 중심의 광고기획론』(2014), 『신문광고론』(2010), 『위기의 한국신문』(공저, 2003), 『신문광고 효과와 광고기획 전략』(공저, 2002), 『신문광고와 텔레비전광고 효과 비교』(2001), 『신문광고 개선 방안』(2001)을 집필했다.

목차
목차 머리글 : 『신문의 기사형 광고』 기획 목적 및 주요 내용 = 7 제1장 신문의 기사형 광고 실태 분석 / 김봉현 = 15 1. 연구 배경 = 15 2. 기사형 광고를 둘러싼 쟁점 = 18 1) 긍정적 논의: 신뢰성 및 정보적 동기 = 18 2) 부정적 논의: 기만 가능성 = 23 3) 관련 법규 = 26 3. 관련 문헌 및 연구 문제 = 27 4. 연구 방법 = 29 5. 연구 결과 = 31 6. 논의 및 제언 = 45 참고문헌 = 49 부록 1. 기사형 광고 사례 = 53 제2장 기사형 광고에 대한 독자 조사 / 강미선 = 64 1. 서론 = 64 2. 연구방법 및 응답자 특성 = 67 1) 조사방법 = 67 2) 응답자 특성 = 68 3. 연구결과 = 69 1) 매체이용 행동 = 69 2) 기사형 광고의 효과 = 73 3) 기사형 광고의 혼동 = 79 4) 기사형 광고의 이미지 = 88 5) 기사형 광고 접촉 후 구매제품과 만족도 = 102 4. 요약 및 결론 = 105 1) 조사방법 및 응답자 특성 = 105 2) 신문 광고 전반에 대한 평가 = 106 3) 기사형 광고 효과 = 106 4) 기사형 광고의 구매유발 효과 = 108 5) 기사형 광고의 혼동 = 108 6) 기사형 광고 이미지 = 109 참고문헌 = 111 부록 2. 설문지 : 신문 독자 의견 조사 = 112 제3장 기사형 광고 가이드라인(안) 제안 / 김민기 = 123 1. 광고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적 타락 = 123 2. 기사형 광고의 역사 = 125 3. 광고 규제의 여러 형태 = 129 4. 국내외 기사형 광고 관련 법제 및 지침 소개 = 131 5. 기사형 광고 가이드라인(안) 마련 과정 = 136 6. 주요 논의사항과 가이드라인(안)의 검토 = 138 7. 마케팅 정의의 변화가 의미하는 것 = 148 참고문헌 = 151 부록 3. '기사형 광고 현황과 과제' 토론회 정리 = 152 부록 4. 기사형 광고 심의 신고서 양식(안) = 185 2006 한국언론재단 간행(예정)물 = 186 2005 한국언론재단 간행물 = 187 2004 한국언론재단 간행물 = 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