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시지프의 신화 / 3판

시지프의 신화 / 3판 (Loan 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Camus, Albert, 1913-1960 이정림, 역
Title Statement
시지프의 신화 / A. 까뮈 ; 이정림 옮김
판사항
3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범우사,   1993   (2007)  
Physical Medium
241 p. ; 23 cm
Varied Title
Le mythe de Sisyphe : essai sur l'absurde
ISBN
8908020101
General Note
연보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415777
005 20211202113914
007 ta
008 080117s1993 ggk 000ce kor
020 ▼a 8908020101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fre
082 0 4 ▼a 844.9 ▼2 22
090 ▼a 844.9 ▼b C211 시m
100 1 ▼a Camus, Albert, ▼d 1913-1960 ▼0 AUTH(211009)139766
245 1 0 ▼a 시지프의 신화 / ▼d A. 까뮈 ; ▼e 이정림 옮김
246 1 9 ▼a Le mythe de Sisyphe : ▼b essai sur l'absurde
246 3 9 ▼a Mythe de Sisyphe
250 ▼a 3판
260 ▼a 파주 : ▼b 범우사, ▼c 1993 ▼g (2007)
300 ▼a 241 p. ; ▼c 23 cm
500 ▼a 연보수록
700 1 ▼a 이정림, ▼e
900 1 0 ▼a 까뮈, A., ▼e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2(Eastern Books)/ Call Number 844.9 C211 시m Accession No. 12116417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2(Eastern Books)/ Call Number 844.9 C211 시m Accession No. 12116417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알베르 카뮈(지은이)

1913년 알제리의 몽도비(Mondovi)에서 아홉 남매 중 둘째로 태어났다. 포도 농장 노동자였던 아버지가 1차 대전 중에 사망한 뒤, 가정부로 일하는 어머니와 할머니 아래에서 가난하게 자랐다. 1918년에 공립초등학교에 들어가 뛰어난 교사 루이 제르맹의 가르침을 받았고, 이후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알제 대학 철학과에 입학한다. 카뮈는 이 시기에 장 그르니에를 만나 많은 가르침을 받는다. 1934년 장 그르니에의 권유로 공산당에도 가입하지만 내적 갈등을 겪다 탈퇴한다. 1936년에 고등 교육 수료증을 받고 교수 자격 심사에 지원해 대학 교수로 살고자 했지만 결핵이 재발해 교수직을 포기했다. 이후 진보 일간지에서 기자 생활을 한다. 알베르 카뮈는 1942년에 《이방인》을 발표하면서 이름을 널리 알렸으며, 같은 해에 에세이 《시지프 신화》를 발표하여 철학적 작가로 인정을 받았다. 또한 1944년에 극작가로서도 《오해》, 《칼리굴라》 등을 발표하며 왕성한 작품 활동을 했다. 1947년에는 칠 년여를 매달린 끝에 탈고한 《페스트》를 출간해 즉각적인 선풍을 일으켰으며 이 작품으로 ‘비평가상’을 수상한다. 1951년 그는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내용을 담은 《반항하는 인간》을 발표했다. 이 책은 사르트르를 포함한 프랑스 동료들의 반감을 사기도 했다. 1957년에 카뮈는 마흔네 살의 젊은 나이로 노벨 문학상을 받았으며 이때의 수상연설문을 초등학교 시절 자신을 이끌어준 선생님에게 바쳤다. 삼 년 후인 1960년 겨울 가족과 함께 프로방스에서 크리스마스 휴가를 보낸 후 친구가 운전하는 차를 타고 파리로 돌아오던 중 빙판길에 차가 미끄러지는 사고로 숨졌다. 사고 당시 카뮈의 품에는 발표되지 않은 《최초의 인간》 원고가, 코트 주머니에서는 사용하지 않은 전철 티켓이 있었다고 한다. 《이방인》 외에도 《표리》, 《결혼》, 《정의의 사람들》, 《행복한 죽음》, 《최초의 인간》 등을 집필했다.

이정림(옮긴이)

1943년 충남 천안시 성정동 211번지 ‘향춘농원(香春農園)’에서 아버지 이영식(李永植), 어머니 김명례(金明禮)의 2남 3녀 중 막내로 태어남(선친의 원적지는 평북 정주임). 1945년 1월 19일, 아버지 별세. 1946년 서울로 올라와, 종로구 사직동에서 유년기를 보냄. 1949년 서울 매동국민학교 입학. 1950년 육이오 전쟁으로 피란 내려가, 고향의 천안 제일국민학교에 편입. 1955년 1953년 다시 상경, 서울 매동국민학교 졸업. 서울 배화여자중학교 입학(중1때 전국학도호국단 주최 문학 콩쿠르에서 산문 <봉선화> 입상). 1958년 서울 배화여자중학교 졸업. 1961년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 졸업(고3때 학교 데모 주동자의 한 사람으로 무기정학을 받고, 졸업 직전에 복교하여 간신히 졸업장을 받음). 1965년 한국외국어대학 불어과 졸업. 1967년 박연구 씨(전 《에세이문학》 발행인)와 윤형두 씨(도서출판 범우사 회장)를 만나게 된 인연으로 ‘수필적 산문’을 지면에 발표하기 시작함. 1968년 경남매일신문사 서울지사 문화부 기자. 1970년 11월, ‘직업여성을 위한 최초의 대변지’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월간 《직업여성》을 등록하여 발행인 겸 편집인이 됨. 1971년 1월, 《직업여성》 창간호 발간. 4월 6일, 제3호 제작 중 정치적인 압력으로 정기간행물 등록 취소를 당함. 4월 21일, 정기간행물 등록 취소 무효 소원에 관한 소송을 냄. 1972년 2월 22일, 《직업여성》 소송 건이 대법원에서 승소하여 동년 3월 23일 복권이 됨. 4월, 앰네스티 국제위원회 한국지부 회원. 1973년 12월, 한국수필가협회 회원. 한국수필문학진흥회 회원(1982). 수필문우회 회원(1984). 한국여성문학인회 회원(1988). 한국문인협회 회원(1995). 문학의 집·서울 회원(2006). 한국잡지협회 회원(2008). 1974년 《한국수필》 전신 《수필문예》 제6호에 <얼굴>을 발표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수필을 쓰기 시작함. 한국수필 75인집 《우리가 잃어가는 것들》(한국수필가협회 편)에 <아카시아 꽃술> 수록. 1975년 한국수필문학대전집 제20권(범조사)에 <천식을 앓는 까치> 외 6편 수록. 1976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응모, 수필 부문 당선. 1977년 역서 A. 카뮈 《시지프의 신화》(범우사) 출간. 이후 생텍쥐페리 《어린 왕자》를 비롯하여 역서 다수 출간. 1981년 공저로 《진달래와 흑인 병사》(범우사) 출간. 1985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수료(행정학 석사). 사회복지사 자격 취득. 1988년 1월~1990년 10월, 지양 편집 기획 운영. 공저로 《있음의 흔적》(원장) 출간. 9월, 한국일보 문화센터 수필 강좌 출강(1996년까지). 1991년 《문학과 예술》(중국 연길)에 <엽서를 보내는 마음으로> 외 1편 수록. 《연변 녀성》(중국 연길)에 <아카시아 꽃술> 수록. 1994년 서울YWCA 수필 강좌 출강. 과천시청 문예강좌·삼성생활문화센터 수필 강좌 출강. 1995년 마포평생학습관 수필 강좌 출강. 1996년 1월 6일(음 1995. 11. 16), 어머니 별세. 과천시청 상반기·하반기 문예 강좌 출강. 롯데문화센터(잠실점) 수필 강좌 출강. 1997년 과천시청 상반기 문예 강좌 출강. 롯데문화센터(영등포점) 수필 강좌 출강. 1998년 한국문인협회 문예대학 수필 강좌 출강. 강서도서관 수필 특강. 1999년 과천도서관 수필 강좌 출강. 1999년 롯데백화점(일산점) MBC 문화센터 수필 강좌 출강. 국민일보 ‘여의도 에세이’ 집필. 과천도서관 수필 강좌 출강. 2001년 중앙문화센터 서울본점 수필 강좌 출강. 2002년 한양여자대학 문예창작과(수필창작실기) 출강. 2003년 8월 미주한국문인협회(LA) 여름 캠프에서 <수필의 위상과 나아갈 방향>에 대해 주제 강연을 함. 2004년 6월 수필전문지 계간 《에세이21》 창간, 발행인 겸 편집인(현재). 한겨레문화센터 수필 강좌 출강. 2007년 5월 《에세이21》 창간 3주년 기념으로 중국문학기행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따라서 주관. 9월 20일 《에세이21》 창간 3주년 기념 강연 개최(연제: 박지원과 《열하일기》. *연사 고봉진). 2008년 2월 중국문예지 《도라지》에 ‘수필 쓰기’ 연재. 9월 25일 《에세이21》 창간 4주년 기념 수필 세미나 개최(주제: 수필, 달라져야 한다 *연사 김우종, 정순진). 《우리말 우리글 사랑》(문학의 집·서울)에 <가만한 바람> 수록. 2009년 6월 현대해학수필선 《춤추는 수필》(운디네)에 <아녀자> 수록. 9월 25일 《에세이21》 창간 5주년 기념 한·중 수필 세미나 개최(주제: 한·중 수필문학지의 현황과 과제 *연사 서영빈·황유복·정목일). 2010년 9월 2일 《에세이21》 창간 6주년 기념 수필 세미나 개최(주제: 수필의 脫 아마추어리즘 *연사 이향아·임헌영 ) 2011년 9월 22일 《에세이21》 창간 7주년 기념 수필 세미나 개최(주제: 수필의 인문학적 가치 *연사 엄정식·정순진) 2012년 9월 20일 《에세이21》 창간 8주년 기념 수필 세미나 개최(주제: 율곡의 문학사상 *연사 김병국). 농어촌여성문학회 강연. 2013년 9월 26일 《에세이21》 창간 9주년 기념 수필 세미나 개최(주제: 수필과 인문적 글쓰기의 만남 *연사 구활·김홍은). 《오늘의 한국 대표 수필 100인선》(윤재천 엮음)에 <당신의 의자> 수록. 여수 <동부수필> 초청 문학 특강. ‘문학의 집·서울’ 주최 제12회 문학청소년 축제 백일장 심사. <월간문학> 신인작품상 수필 부문 심사. 2014년 9월 25일 《에세이21》 창간 10주년 기념 수필 세미나 개최(주제: 수필과 자서전의 경계 *연사 견일영·정순진). 《한국현대수필 75인선》(미리내)에 <나는 새긴다, 고로 존재한다> 수록. 제12회 동서문학상 수필 부문 심사. 《한국현대수필 100년》(김우종 평설, 연암서가)에 <있음의 흔적> 수록. 2015년 9월 17일 《에세이21》 창간 11주년 기념 수필 세미나 개최(주제: 수필 문장의 묘사와 분식의 차이 *연사 호병탁·정태헌) 공무원연금공단 제14회 연금수필문학상 심사. 《나는 글을 이렇게 쓴다》(윤재천 엮음)에 <대상을 의식하며 적어 나가는 진실의 통로> 수록. 2016년 9월 22일 《에세이21》 창간 12주년 기념 수필 세미나 개최(주제: 소재의 의미화와 주제의 철학성 *연사 김우종·김경남) 2017년 9월 19일 《에세이21》 창간 13주년 기념 수필 세미나 개최(주제: 소설의 허구와 수필의 상상은 어떻게 다른가 *연사 유한근·이상렬) 2018년 9월 12일 《에세이21》 창간 14주년 기념 수필 세미나(주제: 사회칼럼과 사회수필은 어떻게 다른가 *연사 정목일·한명수). 10월 3일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에 입원. 퇴원 후 일산병원에 재입원(퇴원: 2019년 3월 26일, 서울대효병원 입원). 2019년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입원. 6월 7일~7월 5일 연세마두병원 입·퇴원. 9월 19일 《에세이21》 창간 15주년 기념 수필 세미나(주제: 기행문과 기행수필은 어떻게 다른가 *연사 한혜경·박용수). 2020년 현재 재가 재활 치료 중. ▶ 저서 수필집 《당신은 타인이어라》(범우사, 1986) 《산길이 보이는 창》(범우사, 1991) 《숨어 있는 나무》(범우사, 2000) 《당신의 의자》(2012, 선우미디어) 《이정림, 그의 수필과 인연들》(범우[주], 2020) 선집 《하얀 진달래》(선우미디어, 1999) 《민들레 씨앗》(좋은수필사, 2008) 《사직동 그 집》(범우사, 2015) 편 저 《이분들이 계셨다》(2011, 선우미디어) 《존재의 향기》(2014, 선우미디어) 4인수필집 《시간의 대장장이》(선우미디어, 2006) 평론집 《한국수필평론 개정판》(범우사, 2002) 수필이론집 《인생의 재발견-수필 쓰기》(랜덤하우스코리아, 2007) ▶ 수상 현대수필문학상(1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이 책을 읽는 분에게 = 11
부조리한 추론 = 23
부조리한 인간 = 92
부조리한 창조 = 121
시지프의 신화 = 148
알제의 여름 = 154
미노타우로스 또는 오랑에서의 정박 = 170
헬레네의 유랑 = 198
티파사로의 귀환 = 205
예술가와 그의 시대 = 216
부록 = 223
연보 = 240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Saint-Exupéry, Antonie de (2023)
Cixous, Hélène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