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서울시 신인사 추진백서 : 「현장시정추진단」제도를 중심으로

서울시 신인사 추진백서 : 「현장시정추진단」제도를 중심으로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단체저자명
서울특별시 , 편
서명 / 저자사항
서울시 신인사 추진백서 : 「현장시정추진단」제도를 중심으로 / 서울특별시.
발행사항
서울 :   서울특별시 ,   2007.  
형태사항
603 p. : 삽도 ; 26 cm.
기타표제
경쟁이 곧 경쟁력입니다
000 00591namccc200205 k 4500
001 000045415050
005 20100806032411
007 ta
008 080115s2007 ulka 000a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52.6095195 ▼2 22
085 ▼a 352.609531 ▼2 DDCK
090 ▼a 352.609531 ▼b 2007
245 0 0 ▼a 서울시 신인사 추진백서 : ▼b 「현장시정추진단」제도를 중심으로 / ▼d 서울특별시.
246 0 3 ▼a 경쟁이 곧 경쟁력입니다
260 ▼a 서울 : ▼b 서울특별시 , ▼c 2007.
300 ▼a 603 p. : ▼b 삽도 ; ▼c 26 cm.
710 ▼a 서울특별시 , ▼e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609531 2007 등록번호 1114531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609531 2007 등록번호 11145313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발간사 = 4
Ⅰ 신인사시스템 추진 = 7
  1. 세계일류를 향한 창의시정 = 8
  2. 창의시정을 위한 신인사시스템 = 11
Ⅱ 「현장시정추진단」구성 = 19
  1. 도입배경 및 목적 = 20
  2. 대상자 선별 과정 = 22
  3. 선진 외국의 사례 = 29
  4. 「현장시정추진단」제도 발전을 위한 노력 = 40
Ⅲ 「현장시정추진단」운영 = 53
  1. 운영개요 = 54
  2. 3단계 교육 = 60
  3. 정교하고 강도높은 프로그램 운영 = 82
  4. 상담·설문을 통한 feed-back = 186
Ⅳ 평가 및 운영성과 = 211
  1. 엄정하고 공정한 평가 = 212
  2. 「현장시정추진단」운영성과 = 231
Ⅴ 향후 발전방안 = 254
  1. 재교육대상자「현장시정지원단」운영 = 246
  2. 2008년「현장시정지원단」운영방향 = 254
첨부자료
  1. 시장 서한문·발표문 = 259
    「현장시정추진단」구성계획 발표 후 직원들에게 서한문(''07.3.13) = 260
    「현장시정추진단」최종 선별 후 시민고객과 직원들에게 발표문(''07.4.4) = 267
    신인사제도 시행에 붙여 직원들에게 서한문(''07.4.9) = 274
    「현장시정추진단」운영결과 발표에 즈음하여 시민고객과 시청 가족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 발표문(''07.10.9) = 278
  2. 주요 언론보도사항(2007.3~10) = 283
    보도횟수 : 539회
      보도기사 목록(285회)
      사설·칼럼 등 목록(102회)
      방송보도 목록(152회)
      인터넷뉴스 및 영자신문·해외언론보도 목록
    보도기사·사설 등 = 313
    방송 보도 = 388
    주간지·월간지 보도 = 401
    영자신문·해외언론 보도 = 417
  3. 학술대회·학회지 발표 논문(2007.4~9) = 426
    한국정책학회 ''07년 하계학술대회
      서울시 인사시스템의 운영경험과 발전방향 / 권영규[서울시 행정국장] = 428
      서울시 신인사제도의 이론적 고찰 / 이선우[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 443
      행정개혁과 다운사이징에 관한 소고 / 배귀희[한국행정연구원] = 452
    한국공공자치연구원 ''07년 지역정책연구포럼 : 공무원퇴출제의 필요성과 문제점 / 이주희[지방혁신 인력개발원 교수] = 464
    한국행정학보 연구논문 제41권, 제3호 : 우리나라 공무원징계와 퇴출 : 실태와 대안 / 박천오[명지대 행정학교수] = 472
    지방자치 ''07. 4월, 5월
      공무원 퇴출? = 493
        3%의무화는 온정주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 권영규[서울시 행정국장] = 495
        적절한 절차와 객관적 선정방법 필요 / 임승룡[공무원노동조합위원장] = 496
        무능공무원 퇴출바람과 방향 / 황윤원[중앙대 부총장, 행정학과 교수] = 497
        행정권은 양날을 가진 칼이다 / 이성호[전직공무원] = 501
        공무원 퇴출제에 관한 현장공무원 의견 / 공무원 익명 = 503
        공무원 퇴출제의 의의와 전망 / 홍성걸[국민대 교수] = 505
      차라리 상위직 퇴출을 먼저 시작해야 / 양영철[제주대 행정학과 교수] = 508
    공공정책 21 ''07. 5월, 6월
      공무원 인사혁신 - 퇴출제 무엇이 문제인가?
        "취지엔 공감"… / 박철 ; 정광호 기자 ; 정진구 연구원 = 512
        공무원 강제퇴출제는 ''인사실험'' / 박성철[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 520
        울지 않는 새는 가차없이 죽여야 하나? / 이복수[강원도미래기획단] = 522
        합리적 퇴출을 위한 4가지 쟁점 / 이주희[지방혁신 인력개발원 교수] = 524
        웰치사단 vs 잡스사단 중 누가 먼저 ''혁신고지 오를까'' / 진경호[서울신문 논설위원] = 526
      공무원 퇴출제 - ''퇴출''만이 능사 아니다 = 528
        "절차와 방법 명확해야" / 이주희[지방혁신 인력개발원 교수] = 529
        "지자체별 합리적 평가기준 개발해야" / 진경호[서울신문 논설위원] = 530
        "법치주의 무시하는 위법행위다" / 박성철[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 531
        "3%퇴출아닌 시스템 97%가 개선돼야" / 김귀영[서울시정연구원] = 532
        "국민들이 신뢰할 수 있는 조직 되었으면…" / 송혁[광진구 기획공보과장] = 533
        "공무원 전체가 호도되는 것은 큰 문제" / 박용민[구로구의회 의원] = 533
      공무원 신인사제도 개혁방향은? : 공직사회 개혁의 조건 / 이원희[한경대 행정학과 교수] = 534
    자치행정 ''07. 6월 : 성과주의 평가제도가 정착되려면 / 권경득[선문대 교수] = 536
  4. 운영프로그램별 양식 = 539
    개별상담(1, 2차) = 540
    설문조사(1, 2, 3차) = 542
    시설물 조사·점검 = 552
    발전연구과제 = 562 
  5. 한눈에 보는 ''서울을 움직이는 힘, 창의행정''(PT자료, 2007.11) = 565
  Ⅰ 창의시정
  Ⅱ 신 인사 시스템
  Ⅲ 신 공동협력시스템
  Ⅳ 신 민원 시스템
  Ⅴ 창의시정의 성과와 과제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