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2006)시각예술 시설 실태조사 및 분석

(2006)시각예술 시설 실태조사 및 분석 (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달진 하계훈 , 연구
서명 / 저자사항
(2006)시각예술 시설 실태조사 및 분석 = Analytical survey on the condition of facilities for visual art / 책임연구: 김달진 ; 연구원: 하계훈 [외].
발행사항
서울 :   김달진미술연구소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2007.  
형태사항
236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693namccc200217 k 4500
001 000045414100
005 20100806030734
007 ta
008 080110s2007 ulka b 000a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700.103 ▼2 22
090 ▼a 700.103 ▼b 2007z1
100 1 ▼a 김달진
245 2 0 ▼a (2006)시각예술 시설 실태조사 및 분석 = ▼x Analytical survey on the condition of facilities for visual art / ▼d 책임연구: 김달진 ; ▼e 연구원: 하계훈 [외].
260 ▼a 서울 : ▼b 김달진미술연구소 : ▼b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c 2007.
300 ▼a 236 p. : ▼b 삽도 ; ▼c 26 cm.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하계훈 , ▼e 연구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103 2007z1 등록번호 1114508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 23
    1. 연구 배경 및 목적 = 23
    2. 연구 내용 = 24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25
    1. 모집단의 범위 및 대상 = 25
    2. 조사표본의 선정 및 추출방법 = 26
      1) 표본의 선정 = 26
      2) 표본의 추출과정 = 26
    3. 조사방법 및 시점 = 27
      1) 우편조사 및 방문조사 = 27
      2) 자료 분석 = 28
제2장 시각예술 시설의 개념 및 범위
  제1절 시각예술의 개념 = 31
    1. 시각예술의 정의 = 31
    2. 시각예술의 범위 = 32
  제2절 시각예술 시설의 범위 = 33
    1. 문화기반시설 = 33
      1) 미술관 = 34
      2) 문화예술회관 = 36
    2. 상업시설 = 37
    3. 대안시설 = 38
      1) 대안공간 = 39
      2) 미술창작스튜디오 = 40
    4. 기타 시설 = 40
      1) 미술품 경매회사 = 41
      2) 기타 공간 = 42
제3장 시각예술 시설의 현황
  제1절 일반현황 = 48
    1. 미술관 = 48
      1) 시설 현황 = 48
      2) 소장 작품 현황 = 49
    2. 문예회관 = 50
    3. 화랑 = 51
    4. 대안공간 = 52
    5. 창작스튜디오 = 53
  제2절 활동현황 = 55
    1. 미술관 = 55
    2. 문예회관 = 55
    3. 화랑 = 58
    4. 대안공간 = 59
    5. 창작스튜디오 = 61
  제3절 운영현황 = 63
    1. 미술관 = 63
    2. 문예회관 = 64
    3. 화랑 = 65
    4. 대안공간 = 66
    5. 창작스튜디오 = 67
  제4절 지원현황 = 69
    1. 문화기반시설 = 69
    2. 상업시설 = 69
    3. 대안시설 = 70
제4장 시각예술 시설 실태조사 결과
  제1절 일반 현황 = 75
    1. 응답기관 특성 = 75
      1) 설립연도 = 75
      2) 법적성격 = 77
      3) 소재지 = 78
      4) 지리적 활동범위 = 80
      5) 중점 활동 = 81
    2. 공간 현황 = 84
      1) 공간 구성 = 84
      2) 전시 공간 = 86
      3) 근무 공간 = 89
      4) 수장고 및 창고 = 91
      5) 복지 공간 = 93
      5) 부속 시설 = 95
  제2절 활동 현황 = 96
    1. 전시 = 96
      1) 연간 기획전 개최 수 = 96
      2) 연간 대관전 개최 수 = 97
      3) 주요 전시 개최 시기 = 98
    2. 프로그램 = 100
      1) 시행 여부 = 100
      2) 프로그램 진행상의 문제점 = 102
    3. 국내외 시설과의 교류 현황 = 104
      1) 교류 여부 = 104
      2) 교류 횟수 = 105
      3) 교류 내용 = 107
      4) 국내외 시설 활용 현황 = 108
    4. 기타 행사 = 110
      1) 개최 수 = 110
      2) 개최 시기 = 111
  제3절 운영 현황 = 113
    1. 재정 = 113
      1) 연간 예ㆍ결산 편성 = 113
      2) 입장수입 = 115
      3) 지출 = 117
    2. 인력 = 122
      1) 유급 상근 직원 = 122
      2) 인턴제도 = 132
  제4절 지원 현황 = 138
    1. 지원여부 = 138
    2. 지원항목 및 건수 = 140
      1) 공공지원 현황 = 140
      2) 민간지원 현황 = 143
    3. 지원 정책 = 144
      1) 지원기금 정보 입수 경로 = 144
      2) 지원정책의 만족도 = 145
      3) 지원정책의 개선점 = 147
      4) 지원의 우선순위 = 147
    4. 시각예술인 지원 = 149
      1) 전시활동 시 작가지원 범위 = 149
제5장 시각예술 시설의 실태분석
  제1절 시각예술 시설의 유형별 실태분석 = 154
    1. 문화기반시설 = 154
      1) 미술관 = 154
      2) 문예회관 = 155
    2. 상업시설 = 156
      1) 화랑 = 156
    3. 대안시설 = 158
      1) 대안공간 = 158
      2) 창작스튜디오 = 159
  제2절 시각예술 시설의 현황별 실태분석 = 161
    1. 일반 현황에 관한 분석 = 161
      1) 전시공간의 증가 = 161
      2) 지역별 편중 = 162
    2. 활동 현황에 관한 분석 = 164
      1) 전시 및 프로그램 = 164
    3. 운영 현황에 관한 분석 = 165
      1) 재정 현황 = 165
      2) 인력 현황 = 166
    4. 지원실태에 관한 분석 = 167
제6장 요약 및 결론
  제1절 시각예술시설 지원 정책의 실태 = 171
    1. 비영리시설 지원정책 = 173
      1) 건립지원 = 173
      2) 운영지원 = 175
      3) 활동지원 = 177
    2. 영리시설 지원 정책 = 179
      1) 미술유통시장의 활성화 = 179
      2) 국제미술행사 육성 = 180
      3) 미술품 해외시장 개척지원 = 181
  제2절 취약부분 정책적 보완 방법 = 183
  제3절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 188
부록
  1. 미술대학 시각예술시설 실태조사 및 분석
    제1절 연구 배경 = 193
      1. 연구 배경 및 목적 = 193
      2. 연구 내용 = 194
    제2절 미술대학 시각예술시설 현황 = 195
    제3절 미술대학 시각예술시설 실태조사 결과 = 196
    제4절 미술대학 시각예술시설 실태분석 = 211
  2. 2006 시각예술 시설 실태조사 설문지
  3. 설문 참여시설 목록
  4. 참고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