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이미지 PR

이미지 PR (Loan 1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최양호.
Title Statement
이미지 PR / 최양호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06.  
Physical Medium
vii, 210 p. ; 23 cm.
Series Statement
커뮤니케이션북스 ; 816
기타표제
끌리는 사람의 기술
ISBN
8984995525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205-210
000 00641camccc200241 k 4500
001 000045413716
005 20100806030101
007 ta
008 060405s2006 ulk b 000c kor
020 ▼a 8984995525 ▼g 93070
035 ▼a (KERIS)BIB000010344027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659.2 ▼2 22
090 ▼a 659.2 ▼b 2006j1
100 1 ▼a 최양호. ▼0 AUTH(211009)111994
245 1 0 ▼a 이미지 PR / ▼d 최양호 지음.
246 0 3 ▼a 끌리는 사람의 기술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 ▼c 2006.
300 ▼a vii, 210 p. ; ▼c 23 cm.
440 0 0 ▼a 커뮤니케이션북스 ; ▼v 816
504 ▼a 참고문헌: p. 205-210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59.2 2006j1 Accession No. 11145303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59.2 2006j1 Accession No. 1114530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최양호(지은이)

조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미국 위스콘신주립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으로 학사학위를, 미네소타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학으로 석사학위를, 플로리다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학생처장, 사회과학연구소 소장, 신문방송사 주간 겸 편집인을 역임했고, 한국언론학회 부회장, 광주전남언론학회 회장, 한국방송학회 편집이사, 한국 PR학회 편집위원장, 한국광고홍보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이미지 PR��(2006), ��글로벌시대의 광고와 사회��(공저, 2002) 등이 있으며, 역서는 ��위기 커뮤니케이션��(공역, 2009), ��위기 PR��(공역, 2006), ��위기에 성공한 PR��(공역, 2006), ��비언어 커뮤니케이션��(공역, 2017) 등이 있다. 논문은 ‘텔레비전 뉴스수용과정분석에서 이용충족이론과 기대가치론의 통합모형 모색’(1998), ‘지역방송 채널브랜드 자산과 준사회적 상호작용’(공저, 2009), 시청자 참여프로그램의 제작 동기와 계획행동모형 변인이 충족 및 재제작의도에 미치는 영향(공저, 2016), ‘The role of perceived CSR motive and perceived CSR fit on CSR authenticity and mediation effect of OPR and reputation on supporting behaviors’(공저, 2021) 등 다수가 있다. 현재 조선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방송이론, PR의 이해, 위기 PR, 이미지 PR,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론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행정안전부, 지자체, 공무원교육원, 중등교육연수원, 보건의료, 사회복지단체,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등에서 외부 강의 및 특강을 진행하였다. 또한, 전국적으로 2006년부터 한국사이버대학과 서울디지털대학 컨소시엄 등을 통해 대학생들에게 ‘이미지관리와 커뮤니케이션’ 인터넷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ⅴ
1부 이미지 관리 PR과 커뮤니케이션 이론
 01 이미지관리와 커뮤니케이션 = 2
  이미지(image)란 무엇인가? = 2
  커뮤니케이션 학자의 학문적 정의 = 2
  이미지 컨설턴트의 정의 = 3
  본 교재에서의 정의 = 3
  이미지 메이킹(image making) = 4
  자기 이미지 메이킹의 정의와 유형 = 4
  개인이미지(personal image) = 5
  이미지 메이킹을 어떻게 할 것인가? = 7
  이미지관리 PR = 8
  이미지관리 PR = 8
  이미지메이킹과 이미지관리 PR의 차이점 = 11
 02 커뮤니케이션 모델 및 이론 = 15
  커뮤니케이션 유형 및 모델 = 15
  커뮤니케이션 유형 = 15
  커뮤니케이션 모델 = 18
  커뮤니케이션 이론 = 22
  이용과 충족이론 = 23
  준사회적 또는 의사(擬似)사회 상호작용이론 = 24
  의제설정이론 = 27
  문화계발이론 = 27
  침묵나선형이론 = 28
  3자 효과 이론 = 29
 03 사회 심리학 개념 및 모델 = 30
  개인적 심리개념 = 30
  가산원리와 평균원리 = 30
  자기개념, 자기노출, 커뮤니케이션 불안 = 31
  불확실성 감소이론 = 33
  자기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 또는 피그말리온 효과(Pigmalion) = 33
  기본귀인오류(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 35
  자기 본위적 편향(self-serving bias) = 35
  고정관념과 편견 = 36
  개인적 심리이론 = 45
  대인관계 호감 요인 = 45
  대인관계 사회 심리 이론 = 46
2부 이미지 관리 PR과 위기관리PR
 04 이미지관리 PR(Image Management PR) = 50
  PR(Public Relations)이란 무엇인가? = 50
  PR용어의 정의(472개의 정의) = 50
  PR 실행과정(public relations process) = 55
  이미지관리 PR 전략 = 57
  이미지란 무엇인가? = 57
  기업이미지 PR = 58
  핫이미지와 쿨이미지 = 60
  아이비리(Ivy Lee)의 이미지관리 PR = 61
  버네이즈(Bemays)의 이미지관리 PR전략 = 62
 05 자기 이미지 관리 PR(Self Image Management PR or Personal Identity) = 63
  자기 이미지 관리 PR이 무엇 때문에 필요한가? = 63
  자기 이미지관리 PR이란 무엇인가? = 65
  자기 이미지관리 PR전략 = 65
 06 쟁점관리 PR(issue management PR) = 78
  사전 대응이 최선의 길 = 78
  쟁점이란 무엇인가? = 79
  쟁점관리 = 80
  쟁점관리 PR = 80
  스테이크홀더(stakeholder) = 81
  쟁점관리 PR실행과정 = 82
  쟁점 확인 = 82
  쟁점분석 = 86
  쟁점관리를 위한 구체적 행동 = 88
  평가 = 88
 07 위기관리 PR (crisis management PR) = 92
  위기관리 PR 사례 = 92
  위기관리 PR이 필요한 이유 = 92
  위기관리 국내외 사례 = 93
  위기관리 PR 원칙 = 97
  위기란 무엇인가? = 97
  위기관리PR 이란 무엇인가? = 100
  위기상황의 유형 = 101
  위기관리 PR의 기본 원칙 = 102
3부 이미지 관리 PR 전략
 08 경청의 기술 = 106
  사람들은 자기 할말만 하고 남의 말을 잘 듣지 않는다 = 106
  잘 경청하지 않는 이유 = 107
  HURIER 경청 자가 평가 모델 = 108
  HURIER 경청 기술 = 112
  HURIER 경청 모델 활용 방법 = 118
  경청을 잘하기 위해 = 119
  듣기(hearing)와 경청(listening)은 다르다 = 121
  경청의 유형 = 121
  경청 어법(김한영 역, 2001) = 122
  공공 연설 청취 = 123
 09 대화의 기술(communication technique) = 126
  대화란 무엇인가? = 126
  대화의 개념 = 126
  대화의 총알/주사효과 = 126
  대화의 원칙 = 127
  효율적 대화기술 = 128
  대화의 십계명 = 128
  말 잘하는 사람들의 8가지 공통점 = 131
  대화를 잘 하기 위해 멀리해야 할 7가지 방해요소 = 132
  어려운 대화의 유형 = 134
  대화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 = 136
 10 설득의 기술(persuasion) = 137
  로버트 치알디니(Robert Cialdini) 교수의 설득의 법칙 = 137
  상호성의 법칙 = 137
  일관성의 법칙 = 139
  사회적 증거의 법칙 = 141
  호감의 법칙 = 142
  권위의 법칙 = 144
  희귀성의 법칙 = 146
  이현우 교수의 사람을 움직이고 좋아하게 만드는 방법 = 148
  사람을 움직이게 만드는 방법 = 148
  사람을 좋아하게 만드는 방법 = 150
  신뢰감을 증진시키는 방법 = 151
  한국인에게 잘 통하는 설득전략 = 152
  온정주의 = 152
  전통적 연고주의 = 153
  가족주의 = 154
  체면의식 = 154
 11 토론의 기술(debate technique) = 155
  토론이란 무엇인가? = 155
  토론의 개념 = 155
  토론이란 무엇인가? = 155
  토론을 잘해야 하는 이유 = 158
  토론의 명수가 되기 위한 전략 = 158
  토론 실전 6단계 = 158
  토론의 핵심전략 = 161
  토론의 명수가 되기 위한 테크닉 = 162
 12 인간관계의 기술 = 168
  인간관계 네트워크 형성 기술 = 168
  NQ (Network Quotient) : 인간관계 네트워크 지수 = 168
  인맥관리 = 174
  인맥지도를 그려라 = 177
  칭찬과 유머의 기술 = 179
  어떤 방식으로 칭찬을 할 것인가? = 179
  사람에 따라 칭찬하는 법 = 182
  유머형 인간을 만드는 생활습관 = 183
4부 이미지 관리 PR과 스피치커뮤니케이션
 13 자신 있게 말하기 = 188
  커뮤니케이션 불안 극복하기 = 188
  원인과 증상 = 188
  사회공포증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오류 = 189
  커뮤니케이션 불안 극복 방법 = 189
  커뮤니케이션 부정적 불안을 긍정적 긴장으로 변환하는 방법 = 190
  사람들 앞에서 자신 있게 말하기 = 192
  발표 서두에서(introduction) = 192
  발표 마칠 때(conclusion) = 194
 14 미디어 트레이닝(media training) = 195
  미디어 트레이닝 = 195
  카메라와 마이크 앞에서 말하기 = 195
  방송화법 = 197
  방송 MC 벤치마킹 = 198
  미디어 인터뷰 가이드라인 = 201
  미디어 인터뷰 Do = 201
  미디어 인터뷰 Don't = 202
  미디어 인터뷰 시 점검사항 = 202
  텔레비전 토크 = 203
참고문헌 = 20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