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서문 = 3
저자서문 = 5
감사의 글 = 8
서문 = 10
1부 교육과정 이해하기 = 19
1장 교육과정의 아이디어 = 21
교육과정: 개인별로 해석이 다른 것 = 23
경험으로서 교육과정: 본 저서에서 추구하는 개념 = 25
개념을 조합하기 = 30
추천도서 = 30
2부 자신을 이해하기 = 33
2장 개인적이 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35
12개의 조사연구 = 36
객관성과 주관성: 가치, 미학, 그리고 정서 = 45
요약과 내러티브 들여다보기 = 46
추천도서 = 47
3장 내러티브: 교육과정 교수를 위한 메타포로서 여러분의 개인적 교육과정 = 49
개인적ㆍ실천적 지식 = 50
빈둥거리며 놀기: 학교 이야기의 실례 = 53
교육과정과 교수를 위한 메타포로서 여러분의 개인적 교육과정 = 58
추천도서 = 59
4장 반성의 도구: 혼자서 반성하기 = 61
교육과정의 아이디어와 반성을 위한 도구 = 61
저널 쓰기 = 63
전기 = 66
그림 그리기 = 69
자료 분석 = 71
추천도서 = 73
5장 반성의 도구: 함께 반성하기 = 75
이야기하기 = 75
편지 쓰기: 전문가들의 대화 = 80
교사 인터뷰 = 83
참여 관찰 = 87
추천도서 = 91
6장 당신의 개인적ㆍ실천적 지식의 이해 = 93
이미지 = 94
규칙 또는 원칙 = 98
실천적 원리 = 100
관련된 이미지, 규칙 그리고 원리들 = 101
개인적 철학 = 102
은유 = 107
내러티브 통일성 = 113
리듬 = 115
내러티브 설명: 전체에 대한 이야기 = 117
추천도서 = 117
3부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 119
7장 교육과정 의미의 회복 = 121
교육과정의 공통요소 = 124
이론과 실제 = 129
요약 = 141
추천도서 = 142
8장 연구 발견물의 활용 = 145
교육연구의 특징 = 146
여섯 가지 연구 관점 = 152
아동 교육에 대한 지식의 형식 = 158
요약 = 160
추천도서 = 161
9장 문헌 파악하기 = 163
문헌을 파악하기 위한 규칙 = 164
추천도서 = 176
10장 교육과정의 이해집단 = 177
이해집단들은 누구인가 = 178
교육과정 상황에 존재하는 이해집단들 이해하기 = 185
금지된 책들: 하나의 사례 = 187
다음에는 무엇이 와야 하는가 = 192
추천도서 = 193
11장 교육과정 자료들 = 195
교사배제 교육과정 = 196
교육과정 자료의 선택, 조직, 채택 = 197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교사 = 207
잠재적 교육과정과 영 교육과정 = 214
추천도서 = 217
4부 내러티브의 이해: 학교 교육과정 계획 경험 = 219
12장 수업계획: 스테파니의 수업주기와 리듬 = 221
학교 주기의 시간적 배열 = 222
교수 리듬 = 227
리듬과 수업계획 = 229
리듬의 발전: 교생과 신입교사는 수업계획을 배운다 = 231
요약 = 233
추천도서 = 234
13장 교육과정 탐구로서의 교육과정 계획: 베이 스트리트 학교 교육과정 센터 = 235
교육과정 센터 = 237
교육과정 탐구로서의 교육과정 계획 = 242
내러티브적 관점인가 혹은 변화의 기술공학인가 = 253
교육과정 자료 교사들과 스테파니의 교육과정 계획 = 254
요약 = 255
추천도서 = 257
14장 내러티브적으로 교육과정 운영하기: 교장의 개인 철학 = 259
필 교장과의 만남: 개인 철학에의 지침 = 261
철학에 대해 알기 = 263
전문성 계발 맥락에서의 철학 = 265
내러티브적으로 교육과정 운영하기 = 269
요약 = 270
추천도서 = 271
15장 학생들과의 교육과정 계획: 계획 메타포로서의 당신의 내러티브 = 273
학습자가 되는 것으로부터 배우기 = 275
교사가 되는 것으로부터 배우기 = 281
환경으로부터 배우기 = 291
교과로부터 배우기 = 294
내러티브로서의 교육과정으로부터 배우기 = 295
참고문헌 = 297
찾아보기 = 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