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91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412719 | |
005 | 20100806024147 | |
007 | ta | |
008 | 071119s2007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84998315 ▼g 93300: ▼c \22000 | |
035 | ▼a (KERIS)BIB000011090057 | |
040 | ▼a 211032 ▼d 244002 | |
082 | 0 4 | ▼a 659.1 ▼2 22 |
090 | ▼a 659.1 ▼b 2007j4 | |
100 | 1 | ▼a 신인섭 , ▼d 1929- ▼0 AUTH(211009)57898 |
245 | 1 0 | ▼a 한국 근대 광고 걸작선 100 : ▼b 1876∼1945 / ▼d 신인섭, ▼e 김병희 [공]지음.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 ▼c 2007. | |
300 | ▼a ix, 444 p. : ▼b 삽도 ; ▼c 23 cm. . | |
504 |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 |
700 | 1 | ▼a 김병희 , ▼d 1964- , ▼e 저 ▼0 AUTH(211009)3724 |
940 | ▼a 한국 근대 광고 걸작선 백.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59.1 2007j4 | 등록번호 1114527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59.1 2007j4 | 등록번호 1114527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보건)/ | 청구기호 659.1 2007j4 | 등록번호 1410691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659.1 2007j4 | 등록번호 15124820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659.1 2007j4 | 등록번호 1512482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59.1 2007j4 | 등록번호 1114527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59.1 2007j4 | 등록번호 1114527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보건)/ | 청구기호 659.1 2007j4 | 등록번호 1410691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659.1 2007j4 | 등록번호 15124820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659.1 2007j4 | 등록번호 1512482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대표적인 광고학자 신인섭과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출신의 젊은 학자 김병희가 의기투합했다. 한국 광고 120주년을 맞아, 불모지로 남아 있던 한국 근대 광고의 역사를 광고 걸작 100개를 선정하여 정리한 것.
신인섭은 실증주의적 접근 방법으로 자료의 고증과 역사적 사실에 충실을 기하여 한국 광고사로서 신뢰성을 높였고, 광고 창의성과 문화에 관심이 많은 김병희는 해석주의적 접근 방법으로 개별 광고물의 표현 양식과 문화적 의의를 설명하는 데 치중하여 내용적 깊이를 더했다.
**커뮤니케이션북스 큰글씨책은 다양한 독자층의 편안한 독서를 위해 기존 책을 135~170퍼센트 확대한 책입니다.
기존 책과 내용과 쪽수가 같습니다. 주문받고 제작하기에 책을 받아 보는 데 3~4일 소요됩니다.
한국 광고 탄생 120주년을 기념하여 한국 근대 광고의 역사를 총정리했다. 우리나라 최초로 광고가 등장한 1876년부터 해방 전인 1945년 전까지, 당대를 대표할 만한 100편의 걸작 광고를 선정하여 상세하게 분석했다. 대표적인 광고사학자 신인섭은 치밀한 사료 분석을,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출신 학자 김병희는 개별 광고의 문화적 의의를 찾았다. 저자들은 이 작업을 통해 한국 현대 광고의 원형을 발견할 수 있었고, 지금도 유효한, 넘쳐나는 아이디어를 발견할 수 있었다고 한다.
[책의 특징]
한국 광고의 원형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한국에 들어오기 시작한 자본주의와 근대 문명은 광고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었을까?
대표적인 광고학자 신인섭과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출신의 젊은 학자 김병희가 의기투합했다. 한국 광고 120주년을 맞아, 불모지로 남아 있던 한국 근대 광고의 역사를 광고 걸작 100개를 선정하여 정리한 것. 신인섭은 실증주의적 접근 방법으로 자료의 고증과 역사적 사실에 충실을 기하여 한국 광고사로서 신뢰성을 높였고, 광고 창의성과 문화에 관심이 많은 김병희는 해석주의적 접근 방법으로 개별 광고물의 표현 양식과 문화적 의의를 설명하는 데 치중하여 내용적 깊이를 더했다.
근대라고 해서 광고가 단순하지만은 않았다. 정치 광고, 변형 광고, 기사형 광고, 유머 광고, 티저 광고, 경품 광고, 의견 광고 등 오늘날 사용되는 모든 형태의 광고 원형을 근대 광고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사용 언어 또한 다양했다. 국어(한글), 영어, 일어, 한문 등 다양한 언어로 쓴 기발한 아이디어의 카피들을 접할 수 있었다.
광고에 나타난 시대의 욕구는 근대와 지금이 어떻게 다를까?
1928년 동아일보, 1930년 조선일보에 실린 와인광고 카피(아까다마 포트와인 광고, 213p), 1929년 전국대표미인으로 선발된 “배은주”씨의 얼굴(전국대표미인 선발대회 광고, 302p), 1937년 “화장은 여자의 예절입니다”라는 헤드라인의 명색미안수 광고(376p)를 보면, 인간 욕구 자체는 근대나 현대나 변하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1944년의 “결전장은 너를 부른다”는 헤드라인의 일제강점기 헌납광고(426p)를 보면서 당시 시대상을 짐작할 수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병희(지은이)
학생들에게 광고의 매력을 알리는 교육 현장부터 경영자들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조언을 건네는 비즈니스 현장까지, 30여 년 동안을 광고계에 몸담았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에서 광고학박사를 받았다. 현재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로서 교육과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한국광고학회 제24대 회장, 한국PR학회 제15대 회장, 정부광고자문위원회 초대 위원장, 서울브랜드 위원회 제4대 위원장을 지냈다. 연구와 저술 활동을 끊임없이 했으며, 저서로는 《광고가 예술을 만났을 때 아트버타이징》, 《어떻게 팔지 답답한 마음에 슬쩍 들춰본 전설의 광고들》, 《광고로 배우는 경영 통찰력》을 비롯한 60여권의 저서를 출간했다. 또한 〈광고 건전성의 구성 요인과 광고 효과의 검증〉을 비롯한 110여 편의 논문을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발표했다. 또한 2011년에는 한국갤럽학술상 대상, 2012년 제1회 제일기획학술상 저술 부문 대상, 2017년 교육부·한국연구재단의 우수 연구자 50인 등을 수상했고, 2019년에는 정부의 정책 소통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좋은 콘텐츠나 주제를 가지고도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이들을 위해 《스티커 메시지》를 쓰게 됐다.
신인섭(지은이)
평양교원대학 국문과 졸업 국방부장관 의전담당 보좌관(육군 소령) <현대경제일보>(현 <한국경제>), <일요신문> 광고부장 럭키그룹 홍보선전실 희성산업(현 HS애드) 이사 한국ABC협회 초대 전무이사, 서울카피라이터즈클럽 초대 회장 서울 개최 아시아광고회의, IAA 세계광고대회 사무총장 서강대, 고려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등 강사 한림대 객원교수, 중앙대 초빙교수 주요 저서:《광고카피라이팅》,《광고실무론》,《국제광고PR론》《일본광고사》,《중국광고사》,《한국광고사》,《한국PR사》《조선일보와 광고》, Advertising in Korea 외 10여 권

목차
목차 머리말 = ⅴ 제1장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1. 근대 광고 분석의 틀 = 3 2. 시대구분 문제 = 8 3. 광고물 평가준거와 선정기준 및 절차 = 14 1) 광고물 평가의 준거 = 14 2) 광고물 선정의 기준 = 17 3) 광고물 선정의 절차 = 17 제2장 근대 광고 태동정착기(1876~1910)의 광고 1. 개관 = 23 2. 언론과 광고 매체 = 27 3. 이 시기의 광고 = 29 001 세창양행의 '고백' = 41 002 하마다 상점 광고 = 46 003 『독닙신문』의 광고 = 49 004 『The Independent』의 광고 = 52 005 죠일주쟝의 청주와 사꾸라 정종 광고 = 55 006 부르너 모튼의 소다 광고 = 59 007 전차 지붕에 붙인 오루도 히이로의 옥외광고 = 62 008 하와이 정부의 이민 포스터 = 65 009 솔표석유의 비교광고 = 68 010 민영환의 자결에 대한 부고 의견광고 = 71 011 룡표, 꼿표, ◇표 물감 광고 = 74 012 천연당사진관 광고 = 77 013 국채보상의연금 수입 광고 = 81 014 한미전기회사의 연종서 = 84 015 대한수도회사의 전단 = 88 016 간판제조소의 광고 = 91 017 옥호서림의 모자광고 = 94 018 황성기독교청년회학관 야학원 모집 광고 = 97 019 제생당의 청심보명단 광고 = 100 020 한양상회의 신년축하 광고 = 103 021 한양상회의 통신판매 광고 = 106 제3장 일본제도 도입기(1910~1920)의 광고 1. 개관 = 111 2. 언론과 광고 매체 = 115 3. 이 시기의 광고 = 118 022 일본전보통신사의 『조선신사명감』 예약 광고 = 126 023 부인다옥 박정애의 광고 = 129 024 동서연초상회 스포-트 담배의 티저광고 = 132 025 영미연초주식회사의 기차박람회 광고 = 136 026 인형표 밀크 광고 = 139 027 조선연초의 신축 낙성 축하 광고 = 142 028 기린 삿뽀로 사꾸라 맥쥬 광고 = 145 029 신년 축하 광고 = 149 030 신문사 기획 광고 = 154 031 태양됴경환의 증언형 광고 = 157 032 중장탕 광고 = 160 033 라구도-겐 포스터 = 163 제4장 근대 광고 성숙기(1920~1940)의 광고 1. 개관 = 169 2. 언론과 광고 매체 = 173 3. 이 시기의 광고 = 176 034 제일양복상회 및 광신양화점의 광고 = 188 035 한성모자점의 광고 = 191 036 경성전당포조합 광고 = 194 037 소개란에서 시작된 안내 광고 = 198 038 광고회사 '백영사'의 광고 = 203 039 '현대 신사의 일일' 협동 광고 = 207 040 일본전보통신사의 협찬 광고 = 210 041 아까다마 포트와인 광고 = 213 042 포르노 책 광고 = 220 043 박가분 화장품 광고 = 223 044 경성방직의 광고 = 226 045 레-도 백분의 설명형 광고 = 229 046 구라부 백분의 정서형 광고 = 232 047 『개벽』의 광고 = 235 048 『동광』, 『님의 침묵』, 『조선문단』, 『별건곤』 광고 = 239 049 고무신 광고전 = 243 050 한국 최초의 광고 공모전 고지 광고 = 247 051 모모야쥰텐캉의 백색미안수 광고 = 252 052 데-무수 광고 = 255 053 1926년식 정치 광고 = 258 054 서선고무공장 이승두의 사죄 광고 = 261 055 유한양행과 유한의원의 첫 광고 = 264 056 천일약방의 됴고약 광고 = 267 057 신포-드 자동차 광고 = 272 058 일본 제너랠 모-터-스의 신시보레호 광고 = 275 059 리꾸레 취잉검 광고 = 278 060 스모가 치마 광고 = 282 061 『수양전집』과 『강담전집』 광고 = 287 062 인단 광고들 = 290 063 단성사의 영화 프로그램 브로슈어 = 295 064 아지노모도의 등롱 광고 = 299 065 전보통신사 주최 전국대표미인 선발 광고 = 302 066 라이온 치마분 판촉 광고 = 305 067 거북션표 고무신 광고 = 308 068 모리나가 캬라메루 광고 = 312 069 가오비누 광고 = 316 070 가루비스 광고 = 319 071 영화 〈님자업는 나루배〉 포스터 = 322 072 인단의 변형 광고 = 325 073 빅도로라 축음기 광고 = 328 074 우진 구명환 광고 = 331 075 조선글 타자기 광고 = 334 076 와까모도 광고 = 337 077 인단 치약 광고 = 341 078 직감식 통신교수법 광고 = 344 079 화신백화점 광고 = 347 080 신문의 제호돌출 광고 = 351 081 간장 광고들 = 355 082 유한양행의 네오톤 토닉 광고 = 360 083 삼용토닉과 동화약방의 마라톤 우승 축하 광고 = 364 084 아지노모도 조미료 광고 = 367 085 란란 포마-도 광고 = 370 086 유한양행 네오톤의 필기체 광고 = 373 087 명색미안수 광고 = 376 088 킨쯔루 포마-도의 광고 = 380 089 대학목약 최승희 모델 광고 = 383 090 영화 〈선황당〉 포스터 = 386 091 상업미술전람회 뽀스다ㆍ신문 광고도안 모집 광고 = 389 092 미쓰와 비누 광고 = 394 093 치요다 네오토닉 광고 = 397 094 헤지마고론, 금학향유, 우데나 바니싱 크림 화장품 광고 = 400 095 대학목약 광고 = 405 제5장 근대 광고 쇠퇴기(1940~1945)의 광고 1. 개관 = 411 2. 언론과 광고 매체 = 414 3. 이 시기의 광고 = 415 096 양명주 광고 = 417 097 와까모도 조선출장소의 광고문안계 모집 광고 = 420 098 유한양행의 네오톤과 코프시로 광고 = 423 099 헌납 광고 = 426 100 작아지는 광고들 = 429 참고문헌 = 432 최종 선정 광고물 리스트 = 438 찾아보기 = 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