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영어 평가 방법론 2판

영어 평가 방법론 2판 (3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완기
서명 / 저자사항
영어 평가 방법론 = A guide to English language testing / 이완기 저
판사항
2판
발행사항
서울 :   문진미디어,   2007  
형태사항
478 p. : 도표 ; 26 cm
ISBN
9788953913691
일반주기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p. 459-467)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412379
005 20160503160630
007 ta
008 070425s2007 ulkd b 001c kor
020 ▼a 9788953913691 ▼g 13740
035 ▼a (KERIS)BIB000010888452
040 ▼a 241047 ▼d 244002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a eng
082 0 4 ▼a 420.7 ▼2 23
085 ▼a 420.7 ▼2 DDCK
090 ▼a 420.7 ▼b 2007d1
100 1 ▼a 이완기
245 1 0 ▼a 영어 평가 방법론 = ▼x A guide to English language testing / ▼d 이완기 저
246 3 1 ▼a Guide to English language testing
250 ▼a 2판
260 ▼a 서울 : ▼b 문진미디어, ▼c 2007
300 ▼a 478 p. : ▼b 도표 ; ▼c 26 cm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p. 459-467)과 색인수록
546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0.7 2007d1 등록번호 111755934 도서상태 간편대출신청중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20.7 2007d1 등록번호 1512403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20.7 2007d1 등록번호 1512403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0.7 2007d1 등록번호 111755934 도서상태 간편대출신청중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20.7 2007d1 등록번호 1512403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20.7 2007d1 등록번호 1512403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완기(지은이)

서울교육대학교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및 동 대학원 졸업(BA, MEd) 영국 Leeds 대학교 대학원 졸업(MEd) 영국 Manchester 대학교 대학원 졸업(PhD) 한국영어교육학회(KATE) 부회장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KAPEE) 회장 한국영어평가학회(KELTA) 회장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출제위원 및 위원장 7회 교육부 및 서울시교육청 영어교육정책 자문위원 주요 저서 《초등영어 교육론》 《초등영어 평가론》 《초등영어 지도법》 (공저) 《영어교육 방법론》 《영어평가 방법론》 《문화 속의 영어, 영어 속의 문화》 (공저) 《내 아이 영어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 (공저) 《영어를 그르치는 엄마, 영어를 가르치는 엄마》 《영어에 찌든 당신을 위한 영어 D톡스》 (공저)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영어교육》 (공저) 《시험을 위한 영어공부 사용을 위한 영어공부》 외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평가의 기본 개념
 1.1 평가의 개념과 원리 = 20
  1. 평가에 관한 용어 = 21
  2. 추정의 원리(Extrapolation) = 24
  3. 진정성(Authenticity) = 26
  4. 평가와 교육의 관계 = 28
 1.2 평가의 목적 = 31
  1. 성취도 평가(Achievement test) = 31
  2. 형성 평가(Formative test) = 32
  3. 진단 평가(Diagnostic test) = 32
  4. 배치 평가(Placement test) = 33
  5. 선발 평가(Selection test) = 33
  6. 숙달도 평가(Proficiency test) = 34
 1.3 평가의 방법 = 35
  1. 객관식 평가(Objective test)와 주관식 평가(Subjective test) = 35
  2. 직접 평가(Direct test)와 간접 평가(Indirect test) = 35
  3. 분리 평가(Discrete-point test)와 통합 평가(Integrative test) = 36
  4. 상대 평가(Norm-referenced test)와 절대 평가(Criterion-referenced test) = 37
  5. 속도 평가(Speed test)와 능력 평가(Power test) = 39
 1.4 평가 도구의 요건 = 40
  1. 타당도(Validity) = 40
  2. 신뢰도(Reliability) = 46
  3. 실용도(Practicality) = 53
제2장 평가의 측정 목표: 의사소통능력
 2.1 언어 평가의 발전 단계 = 58
  1. 전통적 단계(Traditional stage) = 59
  2. 근대적 단계(Modern stage) = 60
  3. 후기 근대적 단계(Post-modern stage) = 61
 2.2 의사소통능력의 이해 = 62
  1. 의사소통의 개념 = 62
  2. 의사소통능력의 구성 요소 = 65
제3장 평가 도구의 개발
 3.1 평가 도구의 성격 = 94
 3.2 평가 도구의 개발 과정 = 95
  1. 평가 계획의 수립 = 96
  2. 평가 세부계획서(Test specifications)의 작성 = 97
  3. 평가 문항의 작성 = 98
  4. 평가 문항의 검토 및 편집 = 101
  5. 사전 검사(Pre-test)와 실험 시행(Trial) = 102
 3.3 평가 도구 개발시 유의점 = 103
  1. 평가 문항의 일반적인 문제점 = 103
  2. 평가 문항 개발시 유의점 = 107
 3.4 평가 문항의 형태와 종류 = 110
  1. 좋은 문항과 나쁜 문항 = 111
  2. 선택형 문항 = 112
  3. 투입 자료 조작형 문항 = 125
  4. 통합 평가적 문항 = 131
  5. 주관식 문항 = 139
제4장 학교 평가체제의 모형
 4.1 교육과정상의 평가의 방향 = 144
 4.2 학교 평가체제의 모형 = 148
  1. 상시평가적 과정 평가(常時評價的 過程評價) = 149
  2. 총괄평가적 성취도 평가(總括評價的 成就度評價) = 167
  3. 학교 평가체제의 모형(요약) = 171
제5장 학교밖 평가체제의 모형
 5.1 유럽의 ALTE 체제 = 175
  1. ALTE의 형성 = 175
  2. ALTE의 5등급 언어능력 수준 = 176
 5.2 영국의 평가체제 = 178
  1. YLE (Cambridge Young Learners English Tests) = 178
  2. JET (Junior English Test) = 182
  3. KET (Key English Test) = 185
  4. PET (Preliminary English Test) = 186
  5. FCE (First Certificate in English) = 188
  6. CAE (Certificate in Advanced English) = 191
  7. CPE (Certificate of Proficiency in English) = 193
  8. IELTS (International English Language Testing System) = 196
  9. ARELS (Association of Recognized English Language Services) = 199
 5.3 미국의 평가체제 = 201
  10. TOEFL iBT (Test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nternet-based Test) = 201
  11. TOEIC (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 205
  12. MELAB (Michigan English Language Assessment Battery) = 209
  13. ACTFL OPI (American Council on the Teaching of Foreign Languages Oral Proficiency Interview) = 210
 5.4 일본의 평가체제 = 212
  14. 영검(英檢, STEP) = 212
 5.5 한국의 평가체제 = 216
  15. TEPS (Test of English Proficiency develop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 216
  16. 대학수학능력시험 (The Korean Scholastic Ability Test) = 217
제6장 듣기 평가
 6.1 듣기의 성질 = 224
  1. 듣기의 본질 = 224
  2. 듣기의 과정 = 226
 6.2 듣기 평가의 측정 목표 = 229
  1. 듣기 능력의 구성 요소 = 229
  2. 듣기 평가 측정 목표 설정의 방향 = 232
 6.3 듣기 평가의 방법 = 232
  1. 듣기 평가의 난이도와 문항 제작상의 유의점 = 232
  2. 듣기 평가 문항의 유형 = 235
  3. 듣기 평가 문항의 예 = 238
제7장 읽기 평가
 7.1 읽기의 성질 = 266
  1. 읽기의 목적과 종류 = 266
  2. 읽기의 본질 = 268
  3. 읽기의 과정 = 271
 7.2 읽기 평가의 측정 목표 = 274
  1. 의미의 종류와 의미 이해의 수준 = 274
  2. 읽기 능력의 구성 요소 = 275
  3. 읽기 평가 측정 목표 설정의 방향 = 277
 7.3 읽기 평가의 방법 = 280
  1. 읽기 평가의 난이도와 문항 제작상의 유의점 = 280
  2. 읽기 평가 문항의 유형 = 283
  3. 읽기 평가 문항의 예 = 285
제8장 말하기 평가
 8.1 말하기의 성질 = 308
  1. 말하기의 특성 = 308
  2. 말하기의 과정 = 314
 8.2 말하기 평가의 측정 목표 = 318
  1. 말하기 능력의 구성 요소 = 318
  2. 말하기 평가 측정 목표의 설정 = 319
 8.3 말하기 평가의 방법 = 322
  1. 말의 도출 기법 = 323
  2. 말하기 채점의 방법 = 334
  3. 말하기 평가 시행상의 유의점 = 349
  4. 말하기 평가 실시의 예 = 352
제9장 쓰기 평가
 9.1 쓰기의 성질 = 356
  1. 쓰기의 특성 = 356
  2. 쓰기의 과정 = 361
 9.2 쓰기 평가의 측정 목표 = 362
  1. 쓰기 능력의 구성 요소 = 362
  2. 쓰기 평가 측정 목표의 설정 = 363
 9.3 쓰기 평가의 방법 = 366
  1. 쓰기의 도출 기법 = 367
  2. 쓰기 채점의 방법 = 373
  3. 쓰기 평가 문항의 예 = 378
제10장 어휘ㆍ문법 평가
 10.1 어휘와 문법의 성격 = 390
  1. 어휘의 성격 = 390
  2. 문법의 성격 = 394
 10.2 어휘 문법 평가의 측정 목표 = 398
  1. 어휘 평가의 측정 목표 = 398
  2. 문법 평가의 측정 목표 = 399
 10.3 어휘ㆍ문법 평가 문항의 예 = 400
  1. 어휘 평가 문항의 예 = 400
  2. 문법 평가 문항의 예 = 409
  3. 어휘ㆍ문법 평가 문항의 예 = 415
제11장 평가 문항의 분석과 해석
 11.1 고전검사이론(Classical Test Theory)에 의한 문항 분석 = 421
  1. 문항의 질 분석(Item quality analysis) = 421
  2. 문항의 형태 분석(Item format analysis) = 422
 11.2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에 의한 문항 분석 = 438
  1. 고전검사이론의 한계 = 438
  2. 문항반응이론 = 439
참고문헌 = 459
부록 = 468
찾아보기 = 47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