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일·가족 양립체계의 선진국 동향과 정책과제

일·가족 양립체계의 선진국 동향과 정책과제 (1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장지연 이정우 최은영 김지경
단체저자명
한국노동연구원
서명 / 저자사항
일·가족 양립체계의 선진국 동향과 정책과제 / 장지연 [외저].
발행사항
서울 :   한국노동연구원,   2005.  
형태사항
iii, 280 p. ; 24 cm.
총서사항
정책연구 ;2005-01
ISBN
8973564978
일반주기
부록수록  
공저자: 이정우, 최은영, 김지경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37-264
000 00000cam c2200205 k 4500
001 000045411658
005 20230215111502
007 ta
008 050531s2005 ulk b 000c kor
020 ▼a 8973564978 ▼g 93330
035 ▼a (KERIS)BIB000009782638
040 ▼d 211009 ▼a 211009 ▼c 211009
082 0 4 ▼a 331.44 ▼2 22
090 ▼a 331.44 ▼b 2005
245 0 0 ▼a 일·가족 양립체계의 선진국 동향과 정책과제 / ▼d 장지연 [외저].
260 ▼a 서울 : ▼b 한국노동연구원, ▼c 2005.
300 ▼a iii, 280 p. ; ▼c 24 cm.
490 1 0 ▼a 정책연구 ; ▼v 2005-01
500 ▼a 부록수록
500 ▼a 공저자: 이정우, 최은영, 김지경
504 ▼a 참고문헌: p. 237-264
700 1 ▼a 장지연 ▼0 AUTH(211009)101872
700 1 ▼a 이정우 ▼0 AUTH(211009)90929
700 1 ▼a 최은영 ▼0 AUTH(211009)24643
700 1 ▼a 김지경 ▼0 AUTH(211009)21254
710 ▼a 한국노동연구원 ▼0 AUTH(211009)37715
830 0 ▼a 정책연구(한국노동연구원) ; ▼v 2005-01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44 2005 등록번호 1114493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요약 = i
제1장 서론 = 1
제2장 이론적 논의 / 장지연 = 4
 제1절 여성경제활동에 대한 두 가지 접근방식 = 5
  1. 신고전주의 노동경제학의 접근방식 = 5
  2. 구조적 접근방식으로서의 페미니스트 복지국가론 = 7
 제2절 페미니스트 시각의 비판적 재구성 = 10
 제3절 시장노동과 보살핌노동의 배분 = 15
 제4절 분석틀 = 20
제3장 여성노동시장의 특성과 일ㆍ가족 양립 / 장지연 = 21
 제1절 여성 고용률의 수준과 변화 = 22
  1. 여성 고용률 증가와 성별격차감소의 추세 = 22
 제2절 여성고용의 생애주기별 패턴 = 26
 제3절 여성 취업여부 결정에 미치는 생애주기의 효과 : LIS 자료 분석 = 33
  1. 분석의 목적 = 33
  2. 가설 설정 : 자녀의 존재가 여성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 34
  3. 자료와 분석모형 = 35
  4. 분석결과 = 39
 제4절 시간제 노동과 여성고용률 = 40
 제5절 소결 = 44
제4장 OECD 주요국의 보육정책 동향과 함의 / 최은영 = 47
 1. 연구목적 = 47
 2. 보육정책의 다각적인 성격과 보육재화의 특성 = 48
 3. 보육정책 공공성 강화의 방향 : 복지공급주체의 균형발전을 중심으로 = 53
 4. OECD 보육정책의 비교 및 유형화 = 56
 5. 보육정책의 효과 : 일-가정 양립정책으로서 여성고용에 미치는 효과 = 73
 6. 한국보육정책에 주는 함의와 정책방향 = 78
제5장 OECD 주요국의 모성휴가제도 동향과 함의 / 장지연 = 84
 제1절 제도의 주요 특성 비교 = 86
  1. 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 86
  2. 부성휴가 = 92
  3. 가족간호휴가 = 94
 제2절 일ㆍ가족 양립에 관한 국가지원체계의 세 유형 = 96
 제3절 우리나라 모성휴가제도의 개선방향 = 101
  1. 산전후휴가급여의 사회보험화 = 101
  2. 산전후휴가제도의 미비점 보완 : 태아검진휴가와 유사산시 산후휴가 적용 = 104
  3. 성평등한 양육책임 확산 : 배우자 출산휴가 도입과 육아휴직의 부모할당 = 105
제6장 여성 취업인센티브의 국가 사례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정우 = 106
 제1절 일-가족 양립지원정책의 국제비교에 있어서 중요한 논점들 = 106
  1. 경제적 관점에서 살펴본 육아의 피해 = 106
  2. 일-가족 양립지원정책의 목표와 정책개발의 주요 논점 = 110
 제2절 독일의 일-가족 양립지원 정책 = 115
  1. 모성휴가와 소득지원 = 115
  2. 보육지원제도 = 142
  3. 근로유인 시스템 = 153
 제3절 독일의 일ㆍ가족 양립지원정책에 대한 종합평가와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 = 170
  1. 독일의 일ㆍ가족 양립지원정책에 대한 종합평가 = 170
  2. 독일의 일ㆍ가족 양립지원정책의 개혁동향이 우리나라에게 주는 시사점 = 174
제7장 우리나라 자녀양육의 실태와 여성 취업 / 김지경 = 178
 제1절 서론 = 178
 제2절 관련연구의 검토 = 183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 186
  1. 분석자료 = 186
  2. 분석방법 및 분석변수 = 187
 제4절 분석결과 = 192
  1. 가구의 교육 및 보육시설 이용률 = 192
  2. 자녀의 교육 및 보육시설 이용에 따른 가구의 지출비용 = 198
  3. 자녀의 교육 및 보육시설 이용에 따른 가계의 경제적 부담 = 206
  4. 자녀의 교육 및 보육시설 이용여부와 지출비용 = 208
 제5절 논의 및 제언 = 224
제8장 결론 : 요약과 함의 = 231
 제1절 여성노동시장 특성의 유형화 = 232
 제2절 일ㆍ가족 양립지원제도의 특성별 유형화 = 233
 제3절 정책적 함의 = 235
참고문헌 = 237
부록 = 265


관련분야 신착자료

최일선 (2022)
김병숙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