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14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411291 | |
005 | 20100806022044 | |
007 | ta | |
008 | 991207s1998 ulk b 000c kor | |
020 | ▼a 8973562266 ▼g 93330 | |
035 | ▼a (KERIS)BIB000007156614 | |
040 | ▼a 247028 ▼d 211009 | |
082 | 0 4 | ▼a 331.8809519 ▼2 22 |
085 | ▼a 331.880953 ▼2 DDCK | |
090 | ▼a 331.880953 ▼b 1998 | |
100 | 1 | ▼a 강순희 |
245 | 1 0 | ▼a 한국의 노동운동 : ▼b 1987년 이후 10년간의 변화 / ▼d 康淳熙. |
260 | ▼a 서울 : ▼b 한국노동연구원 , ▼c 1998. | |
300 | ▼a 114 p.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80953 1998 | 등록번호 11145085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Ⅰ. 序論 = 1 1. 문제의 제기 = 1 2. 연구의 방법 = 3 Ⅱ. 勞動運動의 理論 = 4 1. 노동운동의 의의 = 4 2. 노동운동과 노사관계의 이론적 연관성 = 13 3. 분석을 위한 이론모형 = 15 Ⅲ. 勞動運動의 主·客觀的 條件의 變化 = 21 1. 자본축적양식의 변화와 노동시장 구조변화 = 21 2. 노동자 계층 구성의 변화 = 35 3. 정부와 사용자의 노동정책의 변화 = 41 4. 노동자 생활상태의 변화 = 45 Ⅳ. 勞動運動의 展開와 特徵 = 58 1. 1987년 이후 노동운동의 시기구분:1989년을 분기점으로 = 58 2. 1987년 대규모 노동쟁의 이전 개괄(1980.∼1987. 6.):노동운동 침체 속의 '선도적 투쟁'으로서의 노동운동 모색기 = 58 3. 노동운동의 양적·질적 고양기(1987. 6.∼1989.) = 61 4. 1990년 이후 노동운동의 방향전환 모색기:양적 침체와 질적 성숙기 = 63 Ⅴ. 結論 = 93 1. 노동운동의 발전 모형에 대한 검토 = 93 2. 한국 노동운동의 진로와 발전전망 = 95 3. 연구의 한계와 과제 = 97 參考文獻 =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