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청년층의 실업실태 파악 및 대상별 정책과제

청년층의 실업실태 파악 및 대상별 정책과제 (Loan 1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정인수 김기민
Corporate Author
한국노동연구원
Title Statement
청년층의 실업실태 파악 및 대상별 정책과제 / 정인수, 김기민.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노동연구원,   2005.  
Physical Medium
xii, 205 p. : 삽도 ; 24 cm.
Series Statement
정책연구 ;2005-06
ISBN
8973565206
General Note
부록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164-165
000 00000cam c2200205 k 4500
001 000045410640
005 20230215111433
007 ta
008 050824s2005 ulka b 000c kor
020 ▼a 8973565206 ▼g 93330
035 ▼a (KERIS)BIB000010011576
040 ▼d 211009 ▼a 211009 ▼c 211009
082 0 4 ▼a 331.137 ▼a 331.34 ▼2 22
090 ▼a 331.137 ▼b 2005z1
100 1 ▼a 정인수 ▼0 AUTH(211009)41286
245 1 0 ▼a 청년층의 실업실태 파악 및 대상별 정책과제 / ▼d 정인수, ▼e 김기민.
260 ▼a 서울 : ▼b 한국노동연구원, ▼c 2005.
300 ▼a xii, 205 p. : ▼b 삽도 ; ▼c 24 cm.
490 1 0 ▼a 정책연구 ; ▼v 2005-06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 p. 164-165
700 1 ▼a 김기민 ▼0 AUTH(211009)119489
710 ▼a 한국노동연구원 ▼0 AUTH(211009)37715
830 0 ▼a 정책연구(한국노동연구원) ; ▼v 2005-06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1.137 2005z1 Accession No. 11144834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정인수(지은이)

부산고와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주립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노동연구원 부원장과 뉴패러다임센터 소장을 역임한 뒤 현재는 노동부 산하 한국고용정보원의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노사정위원회의 임금체계개선위원회 위원장과 최저임금위원회 공익위원, 한국노동경제학회 부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지역노동시장연구 III>, <공공고용지원서비스(PES: Public Employment Service)의 선진국 비교연구>, <노동시장의 유연안정성(flexicurity) 제고 방안>등 다수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부천 제조업 일자리 창출 및 소멸의 선진국 비교분석과 정책시사점”(2006) “지역별 실업탈출 확률과 요인에 관한 연구”(2003) 등이 있다. <고졸 이하 청년층 실업 실태 파악 및 정책과제>, <특수 형태 근로 및 관련 업종의 실태·쟁점·정책과제>등 고용 관련 우수 연구 저서를 통해 사회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국민훈장 동백장(2007)을, 실업대책모니터링센터 소장을 맡아 실업률 저하에 이바지한 공로로 노동부장관 표창(1999)을 받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요약 = ⅰ
제1장 서론 / 정인수 = 1
제2장 청년층 실업실태와 특징 / 정인수 = 3
 제1절 청년층 실업률 추이 = 3
 제2절 청년층 유휴화율 = 5
 제3절 청년층 취업난 현황 = 5
 제4절 청년층 실업률의 국제비교 = 9
제3장 청년층 노동시장 구조분석 / 정인수 = 10
 제1절 대졸자 노동시장의 수급불균형 심화 = 10
 제2절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에 따른 문제점 = 13
  1. 첫 취업 소요기간 평균 12개월 = 13
  2. 산업수요와 괴리된 교육으로 인한 일자리 불일치 = 14
 제3절 중견기업의 부족과 중소기업 근로조건 및 작업환경 문제 = 15
  1. 청년층이 취업하고자 하는 중견기업의 고용규모 과소 = 15
  2. 중소기업 인력부족과 외국인 근로 = 17
 제4절 고용안정서비스 및 직업훈련의 부족 등 노동시장인프라 문제 = 20
  1. 고용안정 서비스에 대한 청년층의 요구 = 20
  2. 직업훈련 요구 = 23
  3. 고용안정인프라 예산의 선진국과의 비교 및 공공고용안정서비스의 문제점 = 24
제4장 대학 및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실태조사 결과 / 정인수 ; 김기민 = 28
 제1절 개요 = 28
  1. 조사의 개요 = 28
  2. 조사 표본의 특성 = 29
 제2절 대상별 실태분석 결과 = 33
  1. 구직현황 = 33
  2. 희망직업에 대하여 = 42
  3. 직업훈련사항 및 경력사항 = 51
  4. 정부 청년실업대책 = 58
  5.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응답자 = 62
  6. 고용안정센터 = 67
 제3절 졸업예정자 요약 및 시사점 = 71
제5장 대학 및 고등학교 졸업자 실태조사 결과 / 정인수 ; 김기민 = 77
 제1절 개요 = 77
  1. 조사의 개요 = 77
  2. 조사 표본의 특성 = 78
 제2절 대상별 실태분석 결과 = 83
  1. 구직현황 = 84
  2. 희망 직업에 대하여 = 96
  3. 직업훈련 및 경력경험 = 108
  4. 정부 청년실업대책 = 120
  5.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응답자 = 125
  6. 고용안정센터 = 129
 제3절 졸업자 실태조사 요약 및 시사점 = 132
제6장 청년층 실업대책 예산 분석 / 정인수 = 139
 제1절 선진국예산 비교분석 = 139
  1. 실업대책 예산 전체 비교 = 139
  2. 청년층 실업대책 예산 비교 = 139
 제2절 청년층 예산 분석 및 시사점 = 142
제7장 대상별 정책과제 / 정인수 = 146
 제1절 정책대상의 범위와 구분 = 146
 제2절 청년층 실업대책 정책방향 = 148
 제3절 정책 과제(대상별 공통대책) = 149
  1. 일자리 창출 기반 확대 및 사회적 일자리 지원 = 150
  2. 청년층 취업지원 강화 = 151
  3. 청년층 직업능력 개발 = 155
  4. 중소기업 작업환경개선, 복지시스템 구축 및 인력개발 = 156
  5. 직업체험 등 학교로부터 노동시장이행 원활화 대책 = 158
  6. 지역차원의 청년층 대책강화 = 159
  7. 정부 청년층 실업대책의 현실화와 홍보 = 160
  8. 청년층 눈높이 조절을 위한 청년층 취업희망과 현실의 괴리에 대한 언론홍보 = 160
 제4절 인문계 고졸 비진학자 및 중졸 이하 청년 취업애로 계층 대책 = 161
참고문헌 = 164
부록 = 16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노동인권 실현을 위한 노무사모임. 20주년 기념 출간위원회 (2022)
김의환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