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부쳐
요약 = ⅰ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제2절 기존 연구 검토 = 4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보고서의 구성 = 7
제2장 단시간 근로의 정의와 고용 규모 = 10
제1절 단시간 근로의 정의 = 10
1. ILO 기준과 법률적 정의 = 10
2. 통계적 정의 = 13
3. 임시고용과 단시간 근로 = 15
제2절 단시간 근로의 규모와 변화 추이 = 17
1. 근로시간 실태와 단시간 근로자 = 17
2. 단시간 근로의 규모와 변화 추이 = 22
3. 국제비교 = 29
제3장 단시간 근로의 고용 특성 = 32
제1절 단시간 근로의 인적 특성 = 33
1. 성별구성 = 33
2. 연령별 구성 = 35
3. 학력별 구성 = 40
4. 혼인상태별 구성 = 44
제2절 단시간 근로의 수요 특성과 고용 지위 = 48
1. 산업별 분포 = 48
2. 직업별 분포 = 54
3. 기업규모별 특성 = 57
4. 종사상 지위별 분포 = 60
제3절 단시간 근로와 고용의 질 = 62
1. 단시간 근로자의 고용형태와 근로시간 = 62
2. 임금격차와 임금구조 = 65
3. 각종 부가급부 및 사회보험 적용실태 = 72
4. 부분실업의 가능성 : 비자발적 단시간 근로 = 74
제4장 기혼여성의 노동공급과 단시간 근로 = 79
제1절 여성 유휴인력과 노동력 활용현황 = 80
1. 실망실업자, 잠재실업자 및 유휴인력 = 80
2. 여성 노동력의 활용구조 = 86
제2절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관한 이론적 검토 = 93
1. 기본 모형 = 94
2. 가계생산함수의 도입과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결정 = 98
3. 비교정태분석 = 100
제3절 기혼여성의 시간 배분과 노동공급 = 101
1. M자형 경제활동참가 패턴 = 101
2. 기혼여성의 시간 배분 = 103
3. 가족주기와 여성의 취업 패턴 = 107
제4절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결정 분석 = 118
1. 실증분석 모형 = 118
2. 분석 자료 = 120
3. 분석 결과 = 121
4. 정책적 함의 = 124
제5장 결론 = 126
제1절 대안적 고용형태로서의 가능성과 문제점 = 126
1. 단시간 근로의 가능성 = 126
2. 단시간 근로의 문제점 = 129
제2절 정책적 함의 = 132
1. 여성 유휴인력에 대한 적극적인 유인책의 필요 = 132
2. 고학력 여성인력의 활용 = 135
3. 다양한 단시간 고용형태의 개발과 활성화 = 136
4. 인사관리 및 노사관행의 변화 = 138
5. 규제를 위한 보호가 아닌 활성화를 위한 보호 = 139
참고문헌 = 142
부표 = 153
부록 = 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