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단시간 근로와 여성인력 활용

단시간 근로와 여성인력 활용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황수경
단체저자명
한국노동연구원
서명 / 저자사항
단시간 근로와 여성인력 활용 / 황수경.
발행사항
서울 :   한국노동연구원,   2004.  
형태사항
214 p. : 삽도 ; 24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2004-01
ISBN
8973564471
일반주기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42-152
000 00000cam c2200205 k 4500
001 000045410634
005 20230215111849
007 ta
008 040412s2004 ulka b 000c kor
020 ▼a 8973564471 ▼g 93330
035 ▼a (KERIS)BIB000009258278
040 ▼a 211048 ▼d 211009 ▼c 211009
082 0 4 ▼a 331.2572 ▼a 331.4 ▼2 22
090 ▼a 331.2572 ▼b 2004
100 1 ▼a 황수경 ▼0 AUTH(211009)81594
245 1 0 ▼a 단시간 근로와 여성인력 활용 / ▼d 황수경.
260 ▼a 서울 : ▼b 한국노동연구원, ▼c 2004.
300 ▼a 214 p. : ▼b 삽도 ; ▼c 24 cm.
490 1 0 ▼a 연구보고서 ; ▼v 2004-01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 p. 142-152
710 ▼a 한국노동연구원 ▼0 AUTH(211009)37715
830 0 ▼a 연구보고서(한국노동연구원) ; ▼v 2004-01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2572 2004 등록번호 1114483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황수경(지은이)

서울대 화공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주립대(빙햄턴)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01년부터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으로 근무하다 2010년 한국개발연구원으로 옮겨 현재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2007년 배무기학술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현재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을 역임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젠더와 경제학』(공저, 2012), 『새로운 노동경제학』(공저, 2016)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책머리에 부쳐
요약 = ⅰ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제2절 기존 연구 검토 = 4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보고서의 구성 = 7
제2장 단시간 근로의 정의와 고용 규모 = 10
 제1절 단시간 근로의 정의 = 10
  1. ILO 기준과 법률적 정의 = 10
  2. 통계적 정의 = 13
  3. 임시고용과 단시간 근로 = 15
 제2절 단시간 근로의 규모와 변화 추이 = 17
  1. 근로시간 실태와 단시간 근로자 = 17
  2. 단시간 근로의 규모와 변화 추이 = 22
  3. 국제비교 = 29
제3장 단시간 근로의 고용 특성 = 32
 제1절 단시간 근로의 인적 특성 = 33
  1. 성별구성 = 33
  2. 연령별 구성 = 35
  3. 학력별 구성 = 40
  4. 혼인상태별 구성 = 44
 제2절 단시간 근로의 수요 특성과 고용 지위 = 48
  1. 산업별 분포 = 48
  2. 직업별 분포 = 54
  3. 기업규모별 특성 = 57
  4. 종사상 지위별 분포 = 60
 제3절 단시간 근로와 고용의 질 = 62
  1. 단시간 근로자의 고용형태와 근로시간 = 62
  2. 임금격차와 임금구조 = 65
  3. 각종 부가급부 및 사회보험 적용실태 = 72
  4. 부분실업의 가능성 : 비자발적 단시간 근로 = 74
제4장 기혼여성의 노동공급과 단시간 근로 = 79
 제1절 여성 유휴인력과 노동력 활용현황 = 80
  1. 실망실업자, 잠재실업자 및 유휴인력 = 80
  2. 여성 노동력의 활용구조 = 86
 제2절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관한 이론적 검토 = 93
  1. 기본 모형 = 94
  2. 가계생산함수의 도입과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결정 = 98
  3. 비교정태분석 = 100
 제3절 기혼여성의 시간 배분과 노동공급 = 101
  1. M자형 경제활동참가 패턴 = 101
  2. 기혼여성의 시간 배분 = 103
  3. 가족주기와 여성의 취업 패턴 = 107
 제4절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결정 분석 = 118
  1. 실증분석 모형 = 118
  2. 분석 자료 = 120
  3. 분석 결과 = 121
  4. 정책적 함의 = 124
제5장 결론 = 126
 제1절 대안적 고용형태로서의 가능성과 문제점 = 126
  1. 단시간 근로의 가능성 = 126
  2. 단시간 근로의 문제점 = 129
 제2절 정책적 함의 = 132
  1. 여성 유휴인력에 대한 적극적인 유인책의 필요 = 132
  2. 고학력 여성인력의 활용 = 135
  3. 다양한 단시간 고용형태의 개발과 활성화 = 136
  4. 인사관리 및 노사관행의 변화 = 138
  5. 규제를 위한 보호가 아닌 활성화를 위한 보호 = 139
참고문헌 = 142
부표 = 153
부록 = 187


관련분야 신착자료

최일선 (2022)
김병숙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