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81camccc200313 k 4500 | |
001 | 000045410487 | |
005 | 20100806021035 | |
007 | ta | |
008 | 071107s2007 ulk 000c kor | |
020 | ▼a 9788980386161 ▼g 94160 | |
035 | ▼a (KERIS)BIB000011085657 | |
040 | ▼a 211006 ▼c 211006 ▼d 211009 | |
041 | 1 | ▼a kor ▼h fre |
082 | 0 4 | ▼a 335.41 ▼2 22 |
090 | ▼a 335.41 ▼b 2007 | |
100 | 1 | ▼a Althusser, Louis , ▼d 1918-1990 ▼0 AUTH(211009)126581 |
245 | 1 0 | ▼a 재생산에 대하여 / ▼d 루이 알튀세르 ; ▼e 자크 비데 서문 ; ▼e 김웅권 옮김. |
246 | 1 9 | ▼a Sur la reproduction |
260 | ▼a 서울 : ▼b 東文選 , ▼c 2007. | |
300 | ▼a 413 p. ; ▼c 23 cm. | |
440 | 0 0 | ▼a 문예신서 ; ▼v 346 |
650 | 0 | ▼a Production (Economic theory) |
650 | 0 | ▼a Marxian economics. |
650 | 0 | ▼a Capitalism. |
650 | 0 | ▼a State, The. |
650 | 0 | ▼a Social conflict. |
700 | 1 | ▼a 김웅권 , ▼e 역 ▼0 AUTH(211009)8968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5.41 2007 | Accession No. 11144952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5.41 2007 | Accession No. 11144952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루이 알튀세르(지은이)
1918년 알제리에서 태어났다. 1939년 파리 고등사범학교에 입학한 후 곧바로 징집되어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 독일 수용소에서 포로로 5년을 보낸 후 학교로 돌아와 헤겔 철학에 대한 논문으로 졸업했다. 이후 같은 학교에서 철학 교수로 재직하며 자크 데리다, 알랭 바디우, 에티엔 발리바르, 자크 랑시에르 등 훗날 저명한 학자가 될 제자들을 가르쳤다. 알튀세르는 1948년 프랑스 공산당에 입당했다. 이후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마르크스주의에 관한 독창적 연구를 발표하기 시작하는데, 그 출발점이 바로 1965년에 출간한 두 저작 『마르크스를 위하여』와 (제자들인 발리바르, 로제 에스타블레, 랑시에르, 피에르 마슈레와 공저한) 『자본을 읽자』이다. 하지만 알튀세르의 작업은 프랑스 공산당에 의해 철저하게 무시된다. 이 두 저작의 출간 이후 알튀세르는 철학과 정치, 그리고 과학 사이의 관계라는 문제에 천착해 「레닌과 철학」, 「자기비판의 요소들」, 「아미엥에서의 주장」 등의 논문과 『철학과 과학자의 자생적 철학』, 『입장들』 등의 저서를 통해 1980년 직전까지 철학의 정의를 정정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작업에 대한 자기비판을 수행하고 자신의 작업을 발전시킨다. 또한 프랑스 공산당의 프롤레타리아 독재 개념 포기 등의 노선 전환에 대해 『당 내에 더 이상 지속되어서는 안 될 것』, 『22차 당대회』 등의 저서를 통해 격렬하게 비판하고 논쟁의 중심에 자리하지만, 세상을 떠날 때까지 당적을 버리지는 않았다. 평생 우울증에 시달렸고, 1980년에는 정신착란 상태에서 아내 엘렌 리트만을 교살했다. 법정에서는 면소 판결을 받았지만 법적, 정치적 권리를 완전히 상실한 채 정신병원의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다가 1990년 세상을 떠났다. 알튀세르 사후 그의 유고집이 꾸준히 출판되기 시작했으며, 특히 이 책의 편집자 고슈가리언과 현대출판기록물연구소의 노력 끝에 프랑스대학출판부의 ‘비판적 관점’ 총서로 최근 다섯 개의 유고집이 출간되었다. 『철학에서 마르크스주의자가 된다는 것』, 『비철학자를 위한 철학 입문』, 『검은 소: 알튀세르의 상상 인터뷰』, 『역사에 관하여』, 『무엇을 할 것인가』가 그것이며, 2019년에는 『이데올로기적 사회주의와 과학적 사회주의』의 출간이 예고되어 있다.
김웅권(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어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리모주 대학과 몽펠리에 3대학(폴 발레리 대학)에서 앙드레 말로의 소설 연구로 문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학술연구교수, 한남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했고 프랑스의 『앙드레 말로 사전 Dictionnaire Malraux』 집필위원으로 참여했다. 지은 책으로 『말로와 소설의 상징시학』 『앙드레 말로의 문학세계: 동서 정신의 대화』 『타자와 나, 숨겨진 진실』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말로와 드골』 『상상의 박물관』 『몽상의 시학』 등 50여 권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자크 비데 - 서문을 대신하여: 알튀세르 다시 읽기 = 7 편집 노트 = 21 생산 관계의 재생산 일러두기 = 27 제1장 철학이란 무엇인가? = 41 제2장 생산 양식이란 무엇인가? = 53 제3장 생산 조건의 재생산에 대하여 = 91 제4장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 = 101 제5장 법 = 107 제6장 국가와 국가 장치 = 125 제7장 프랑스의 자본주의적 사회 구성체에서 정치적ㆍ조합적인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에 대한 간단한 고찰 = 159 제8장 정치적ㆍ조합적인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 = 171 제9장 생산 관계의 재생산에 대하여 = 219 제10장 생산 관계의 재생산과 혁명 = 231 제11장 다시 '법'에 대하여. 그 현실: 법률적인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 = 253 제12장 이데올로기에 대하여 = 263 부록: 생산력에 대한 생산관계의 우위에 대하여 = 317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에 대한 노트 = 329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 = 349 역자 후기 =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