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법철학의 문제들

법철학의 문제들 (4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은정
서명 / 저자사항
법철학의 문제들 / 박은정.
발행사항
서울 :   博英社 ,   2007.  
형태사항
vi, 387 p. ; 26 cm.
ISBN
9788910514503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589namccc200229 k 4500
001 000045409602
005 20100806015721
007 ta
008 071207s2007 ulk 001c kor
020 ▼a 9788910514503 ▼g 93360
035 ▼a (KERIS)BIB000011099836
040 ▼a 211017 ▼c 211017 ▼d 211009
082 0 4 ▼a 340.1 ▼2 22
090 ▼a 340.1 ▼b 2007c4
100 1 ▼a 박은정 ▼0 AUTH(211009)50981
245 1 0 ▼a 법철학의 문제들 / ▼d 박은정.
246 0 1 ▼a Problems in philosophy of law
260 ▼a 서울 : ▼b 博英社 , ▼c 2007.
300 ▼a vi, 387 p. ; ▼c 26 cm.
500 ▼a 색인수록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7c4 등록번호 11144886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7c4 등록번호 11144886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0.1 2007c4 등록번호 1512535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7c4 등록번호 11144886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7c4 등록번호 11144886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0.1 2007c4 등록번호 1512535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은정(지은이)

1952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났다. 1974년 이화여자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78년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법대 교수를 거쳐 2004년부터는 서울대학교 법학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와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객원연구원, UNESCO 국제생명윤리위원회(IBC) 위원, 한국 법철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원장 등을 지냈고,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부위원장,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 한국인권재단 이사장 등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2001년 대한민국학술원상을 받았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자연법사상' '현대의 사회문제와 법철학' '생명공학 시대의 법과 윤리'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법철학을 왜 하는가
 Ⅰ. 법철학적 물음 = 1
 Ⅱ. 법과 인간의 철학적 만남 = 7
 Ⅲ. 법생활의 변화에 따른 법철학의 필요성 = 11
 Ⅳ. 실무를 위한 법철학의 필요성 = 23
 Ⅴ. 법학도를 위한 법철학의 필요성 = 30
 Ⅵ. 남는 물음: 법의 사회공학이냐 법철학이냐 = 38
제2장 법철학을 어떻게 공부하는가
 Ⅰ. 법철학의 문제영역 = 41
 Ⅱ. 법철학의 근본문제 = 45
 Ⅲ. 철학으로서의 법철학인가 법학으로서의 법철학인가 = 47
 Ⅳ. 법철학ㆍ해석법학ㆍ법사회학 = 53
 Ⅴ. 실천철학으로서의 법철학 = 54
 Ⅵ. 법철학을 어떻게 공부하는가 = 58
제3장 해방후 한국 법철학의 흐름
 Ⅰ. 머리말 = 63
 Ⅱ. 전환기의 법철학: 해방 후부터 1950년대 말까지 = 66
 Ⅲ. 형식주의 법이론의 지배 - 196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 = 72
 Ⅳ. '법의 지배'와 정의의 긴장 - 1980년대 = 76
 Ⅴ. 다양한 갈래를 통한 성장 - 1990년대 이후 = 79
 Ⅵ. 한국 법철학에 대한 반성 = 84
 Ⅶ. 한국 법철학의 과제 = 88
제4장 범개념에 대한 새로운 논의
 Ⅰ. 머리말 = 91
 Ⅱ. 의미분석적 법개념 논의의 한계 = 93
 Ⅲ. 법개념에 관한 새로운 논의 = 99
 Ⅳ. 실증주의적 법개념과 비실증주의적 법개념 = 104
 Ⅴ. 실증주의적 법개념의 문제점 = 108
 Ⅵ. 마치면서 = 115
제5장 법의 이념으로서의 정의
 Ⅰ. 머리말 = 119
 Ⅱ. 법과 법원리 = 122
 Ⅲ. 법과 법이념 = 124
 Ⅳ. 법의 이념으로서의 정의 = 128
 Ⅴ. 전승된 법이념을 통해 본 정의 = 132
 Ⅵ. 정의론의 현대적 경향 = 148
제6장 정의론의 인간학적 기초
 Ⅰ. 정의의 물음, 인간 실존의 물음 = 159
 Ⅱ. 정의이념과 인간학이념 = 163
 Ⅲ. 평등원리의 예 = 170
 Ⅳ. 인간 없는 정의? = 175
제7장 법치국가와 시민불복종
 Ⅰ. 오늘날 불법은 어디에 있는가 = 181
 Ⅱ. 시민불복종과 저항권 = 188
 Ⅲ. 시민불복종은 법적으로 정당화되는가 = 199
 Ⅳ. 시민불복종은 다수결의 원리를 부정하는가 = 207
 Ⅴ. 시민불복종은 법치주의를 손상시키는가 = 210
 Ⅵ. 법치국가에서 정당성의 마지막 수호자는 누구인가 = 212
제8장 여성주의와 비판적 법이론
 Ⅰ. 머리말 = 215
 Ⅱ. 여성주의 법철학의 과제 = 220
 Ⅲ. 여성주의 법철학의 방법론 = 224
 Ⅳ. 성의 프리즘을 통해서 본 법언어 = 229
 Ⅴ. 전통적 평등이데올로기의 한계 = 233
 Ⅵ. 평등이냐 보호냐? - 이른바 보호입법의 문제 = 239
 Ⅶ. 평등이데올로기에 대한 새로운 도전 = 240
 Ⅷ. 성의 프리즘을 통해 본 전승된 법이념 = 251
 Ⅸ. 성의 프리즘을 통해 본 정의론의 현대적 경향 = 255
제9장 생명공학시대의 법윤리
 Ⅰ. 법가치와 생명윤리의 만남 = 261
 Ⅱ. 첨단생명과학이 가져온 변화 = 266
 Ⅲ. 생명공학을 둘러싼 다양한 논쟁들 = 271
 Ⅳ. 생명윤리의 문제와 법의 한계 = 275
 Ⅴ. 생명정의의 요청 = 283
 Ⅵ. 마치면서 = 295
제10장 북한법원리와 통일국가법이념 모색
 Ⅰ. 머리말 = 299
 Ⅱ. 북한법 논의의 학문적 위상 = 303
 Ⅲ. 북한법의 새로운 발전경향 = 309
 Ⅳ. 북한법이론의 특징 = 319
 Ⅴ. 북한법의 기본원리 = 331
 Ⅵ. 통일국가의 법이념을 향하여 = 341
제11장 지구화와 법이론
 Ⅰ. 머리말 = 347
 Ⅱ. 지구화 논의의 배경과 의미 = 350
 Ⅲ. 지구화와 '법의 지배' = 353
 Ⅳ. 주류의 법이론에 대한 도전 = 369
색인 = 375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삼웅 (2023)
국회도서관. 법률정보실 (2022)
Marmor, Andrei (2022)
양천수 (2022)
박주영 (2023)
손동유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