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교육과정
제1장 교육과정의 개념과 발전 = 17
1. 교육과정의 개념 = 17
1) 교육과정의 어의 = 17
2) 교육과정의 정의 = 19
3) 교육과정의 성격 = 25
4) 교육과정의 구성요소 = 27
5) 교육과정의 개념모형 = 30
2. 교육과정의 변천 = 34
1) 20세기 이전의 교육과정 발전 = 34
2) 20세기 이후의 교육과정 발전 = 36
3.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의 변천사 = 41
1) 군정기 = 42
2)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의 생성 = 43
제2장 교육과정의 유형 = 49
1. 교과중심 교육과정 = 50
1) 기본적 견해 = 50
2)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유형 = 51
3)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 52
4)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 53
2. 경험중심 교육과정 = 54
1) 기본적 견해 = 54
2)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유형 = 55
3)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 57
4)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 57
3. 학문중심 교육과정 = 58
1) 기본적 견해 = 58
2)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 59
3)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 62
4. 인간중심 교육과정 = 63
1) 기본적 견해 = 63
2)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유형 = 64
3)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 65
4)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 67
제3장 교육과정의 기초 = 69
1. 교육과정의 철학적 기초 = 69
1) 20세기 후반의 교육철학 = 70
2) 20세기 후반의 교육철학 = 76
2. 교육과정의 사회학적 기초 = 80
1) 사회변화와 교육과정 = 80
2) 현대사회의 특성과 교육과정 = 81
3. 교육과정의 심리학적 기초 = 86
1) 학습자와 교육과정 = 86
2) 학습자의 성장ㆍ발달 특성 = 87
제4장 교육과정의 구성과 목표설정 = 97
1. 교육과정의 구성 원리 = 97
1) 최소 필요량의 원리 = 98
2) 지역성의 원리 = 98
3) 사회와 개인의 융화원리 = 99
4) 계속 발전성의 원리 = 99
5) 시대성의 원리 = 100
2. 교육목표의 설정 = 100
1) 교육목표의 기능 = 100
2) 교육목표 설정의 원리 및 절차 = 102
3) 교육목표 진술의 기준 = 104
4) 교육목표의 분류 = 106
제5장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 115
1. 교육내용의 의미 = 115
1) 교과로 보는 견해 = 116
2) 학습경험으로 보는 견해 = 117
3) 지식의 구조로 보는 견해 = 119
2. 교육내용의 선정원리 및 방법 = 123
1) 교육내용의 선정원리 = 123
2) 교육내용의 선정방법 = 126
3. 교육내용의 조직원리 및 방법 = 128
1) 교육내용의 조직원리 = 128
2) 교육내용의 조직방법 = 130
제6장 단원의 구성 = 133
1. 단원의 개념과 유형 = 133
1) 단원의 개념 = 133
2) 단원의 유형 = 134
2. 단원의 계획과 전개 = 137
1) 단원의 계획 = 137
2) 단원의 전개 = 138
제7장 교수-학습과정 = 141
1. 교수-학습의 개념 = 142
1) 교수 = 142
2) 학습 = 143
3) 교수-학습의 차이점 = 144
4) 교수-학습의 원리 = 145
5) 교수-학습의 성립요소 = 148
2. 교육과정과 교수의 관계 = 151
1) 이원적 모형 = 151
2) 연결적 모형 = 152
3) 내포적 모형 = 153
4) 순환적 모형 = 153
3. 교수이론 = 154
1) Bruner의 교수이론 = 154
2) Cronbach의 적성-처치 상호작용모형 = 157
3)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 = 160
4) Gagne의 수업이론 = 162
5) Glaser의 교수모형 = 163
6) Ausubel의 유의미 학습 = 165
7) Flanders의 수업분석모형 = 166
4. 교수-학습방법의 유형 = 168
1) 고전적 교수-학습방법 = 168
2) 지력개발 교수-학습방법 = 169
3) 상호작용 촉진 교수-학습방법 = 170
4) 개별화 교수-학습방법 = 170
5) 공학적 교수-학습방법 = 171
6) 치유적 교수-학습방법 = 172
제8장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 175
1. 교육과정 개발 = 175
1)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 = 175
2) 교육과정 개발의 기본적 고려사항 = 176
3) 교육과정 개발에서 고려되는 구성요소 = 178
4) 교육과정 개발의 참여자 = 184
2. 교육과정 운영 = 187
1) 교육과정 운영의 분권화 = 187
2) 교육과정 운영의 기본 원리 = 188
제9장 교육과정이론의 유형 = 191
1. 전통주의 = 193
2. 개념-경험주의 = 196
3. 재개념주의 = 198
제10장 교육과정 사회학 = 203
1. 지식사회학 = 204
2. 경제적 재생산이론 = 205
3. 문화적 재생산이론 = 208
4. 헤게모니 이론 = 212
제2부 교육평가
제11장 교육평가의 기초 = 219
1. 교육평가의 개념 = 219
2. 교육평가의 기능 = 220
1) 교육목적 달성도 파악 = 221
2) 학습의 진단과 치료 = 221
3) 학생의 진로지도를 위한 자료수집 = 222
4) 학습촉진의 기능 = 222
5) 행동증거의 평가 = 223
6) 교수-학습과정의 평가 = 223
7) 제반 교육활동에 관한 효과 파악 = 223
3. 측정ㆍ평가의 개념 구분 = 224
1) 측정 = 224
2) 평가 = 225
3) 측정과 평가의 비교 = 227
4. 교육평가의 형태분류 = 227
1) 평가기준에 따른 분류 = 228
2) 교수-학습과정에 따른 분류 = 233
3) 대상영역에 따른 분류 = 237
5. 교육평가의 발전과정 = 240
1) 프로그램 평가의 발전과정 = 240
2) 심리측정 평가의 발전과정 = 250
제12장 문항유형의 선정과 문항개발의 절차 = 253
1. 문항제작의 기초 = 254
1) 좋은 문항 제작자의 조건 = 254
2) 좋은 문항의 요건 = 255
3) 문항형태의 구분 = 256
4) 유형선정의 준거 = 259
2. 문항개발의 절차 = 264
1) 평가목표의 설정 = 265
2) 이원분류표의 작성 = 267
3) 출제문항의 제작 = 270
4) 지시문의 작성 = 270
5) 문항의 편집 = 272
6) 예비실시 및 수정 보완 = 273
7) 개발된 문항의 검토 = 274
8) 최종 문항의 편집과 인쇄 = 274
3. 출제에서의 컴퓨터 활용 = 274
1) 문제 은행 = 274
2) 시험지 인쇄 = 275
3) 시험의 점수화와 통계적 분석 = 275
4) 성적의 관리 = 275
5) 컴퓨터 응답 시험 = 275
제13장 평가문항의 제작 = 279
1. 문항형태별 제작원리 = 279
1) 선택형 문항의 제작 = 280
2) 서답형 문항의 제작 = 288
2. 측정수준에 따른 제작원리 = 294
1) 지식문항 = 294
2) 이해문항 = 298
3) 적용문항 = 300
3. 출제문항의 점검사항 = 303
1) 출제 전반에 관한 문항검토 = 303
2) 측정면에서의 문항검토 = 304
3) 내용면에서의 문항검토 = 304
제14장 고전검사이론에 의한 문항분석 = 307
1. 문항의 난이도 = 308
1) 난이도의 개념 = 308
2) 난이도 계산방법 = 309
3) 난이도의 해석 = 312
2. 문항변별도 = 312
1) 문항변별도의 개념 = 312
2) 문항변별도의 계산방법 = 313
3. 답지의 능률성 = 316
4. 절대평가 시험의 문항분석 = 318
5. 고전검사이론의 문제점 = 320
1) 문항과 표본집단에의 종속성 = 320
2) 동형검사의 문제점 = 321
3) 획일적인 측정오차 = 321
6. 컴퓨터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한 문항분석 = 322
제15장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문항분석 = 325
1. 문항반응이론의 특성 = 326
2. 문항특성곡선 = 327
3. 문항반응이론의 가정 = 329
1) 일차원성 가정 = 329
2) 지역독립성 = 332
3) 비속도 검사 = 333
4) 최적의 문항반응모형 선정 = 333
4. 문항반응모수 = 334
1) 문항난이도 = 334
2) 문항변별도 = 335
3) 문항추측도 = 336
5. 문항반응모형 = 336
1) Rasch 모형 = 336
2) 2-모수 문항반응모형 = 337
3) 3-모수 문항반응모형 = 337
6. 문항반응이론의 제한점 = 338
제16장 타당도와 신뢰도 = 341
1. 타당도 = 341
1) 내용타당도 = 342
2) 예언타당도 = 343
3) 공인타당도 = 343
4) 구인타당도 = 344
2. 신뢰도 = 346
1) 채점자 신뢰도 = 346
2) 재검사 신뢰도 = 347
3) 동형검사 신뢰도 = 348
4) 반분 신뢰도 = 348
5) Kuder-Richardson 신뢰도 = 349
3.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 350
4. 객관도 = 351
5. 실용도 = 352
6. 절대기준평가에서의 타당도의 추정방법 = 352
1) Novick의 타당도 추정법 = 353
2) Hambleton의 타당도 추정법 = 354
제17장 평가결과의 해석을 위한 기초통계 = 357
1. 측정에 사용하는 척도 = 357
1) 명명척도 = 358
2) 서열척도 = 358
3) 등간척도 = 359
4) 비율척도 = 360
2. 정상분포곡선 = 361
1) 정상분포곡선의 유래 = 361
2) 정상분포곡선의 형태 = 362
3) 정상분포곡선의 특징 = 364
4) 정상분포의 이용 = 364
5) 정상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65
3. 표준점수 = 366
1) 표준점수의 개념 = 366
2) 표준점수의 기능과 원리 = 366
3) 표준점수의 종류 = 367
4) 표준점수 상호간의 관계 = 376
4. 검사점수의 처리를 위한 기초통계 = 377
1) 통계의 개념과 기능 = 377
2) 통계의 유형분류 = 379
3) 도수분포와 그래프를 통한 점수들의 표시 = 380
4) 집중경향치 = 383
5) 분산도 = 386
6) 상관관계 =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