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개관
제1절 정책평가의 의의, 목적, 역사 = 3
1. 정책평가의 의의 = 3
2. 정책평가의 목적 = 7
3. 정책평가의 역사 = 14
제2절 정책평가의 유형 = 20
1. 평가의 시기에 따른 분류 = 20
2. 평가자와 평가대상의 관계에 따른 분류 = 22
3. 평가의 대상에 따른 분류 = 23
제3절 정책평가의 기준 = 23
1. 정책평가기준의 의의 = 23
2. 정책평가기준의 종류 = 24
요약 = 28
연습문제 = 30
참고문헌 = 31
제2장 정책평가의 절차
제1절 정책평가의 일반적 절차 = 37
1. 정책에 대한 개요 작성 및 빠른 예비평가 = 38
2. 이해관계자들의 식별 = 40
3. 평가목적 및 평가범주 확정 = 40
4. 정책의 목표수단체계 구조화 및 정책인과모형 작성 = 42
5. 평가유형 결정 = 45
6. 평가설계 = 46
7. 평가시행 = 51
8. 평가결과 보고 = 53
9. 평가의 활용 및 평가시스템 개선 = 55
제2절 평가성 사정 = 61
1. 평가성 사정의 개념 = 61
2. 평가성 사정의 활용 = 62
3. 평가성 사정의 장점 = 63
4. 평가성 사정의 핵심단계 = 63
요약 = 67
연습문제 = 70
참고문헌 = 71
제3장 정책평가의 논리
제1절 정책평가를 위한 인과적 추론 = 75
1. 인과관계의 의의와 원인적 조건들 = 75
2. 두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의 존재를 추론하기 위한 기초 = 82
3. 허위변수와 혼란변수 = 86
제2절 인과관계 추론을 위한 실험설계의 논리 = 89
1. 실험과 평가 = 89
2. 추론의 타당성 = 93
3. 실험에서의 인과추론과 평가의 타당성 = 93
제3절 정책평가의 타당성 = 95
1. 타당성의 의의와 종류 = 95
2. 타당성 확보의 방안 = 105
요약 = 112
연습문제 = 114
참고문헌 = 115
제4장 정책평가의 방법
제1절 개관 = 119
1. 평가질문과 평가방법 = 119
2. 정책평가의 두 얼굴: 과정 대 영향 = 121
3. 평가설계와 활용 = 123
제2절 과정평가 = 125
1. 과정평가의 의의 = 125
2. 과정평가의 평가질문 = 127
3. 과정평가의 설계 = 129
4. 과정평가의 유용성과 한계 = 133
제3절 실험적 방법에 의한 정책영향평가 = 134
1. 실험적 방법의 의의 = 134
2. 실험적 방법에 의한 평가설계 = 137
3. 실험적 평가의 유형 = 141
4. 실험적 평가의 유용성과 한계 = 143
제4절 준실험적 방법에 의한 정책영향평가 = 145
1. 준실험적 방법의 의의 = 145
2. 준실험적 방법에 의한 평가설계 = 147
제5절 비실험적 방법에 의한 정책영향평가 = 153
1. 개관 = 153
2. 사후측정만을 위한 단일집단설계 = 154
3. 사전ㆍ사후측정단일집단설계 = 156
4. 사후측정만을 위한 비교집단설계 = 157
5. 잠재적 통제설계 = 158
6. 비실험적 방법에 의한 정책영향평가의 장점과 단점 = 161
요약 = 163
연습문제 = 165
참고문헌 = 167
제5장 주요국의 정책평가제도
제1절 외국의 정책평가제도 = 171
1. 미국의 정책평가제도 = 171
2. 영국의 정책평가제도 = 178
3. 일본의 정책평가제도 = 183
제2절 우리나라의 정책평가제도 = 186
1. 정부업무평가 = 187
2. 중앙행정기관 평가 = 190
3. 지방자치단체 평가 = 196
4. 공공기관 평가 = 198
5. 국회에 의한 정책평가 = 199
요약 = 206
연습문제 = 211
참고문헌 = 212
제6장 정책평가의 쟁점
제1절 정책평가와 감사 = 217
1. 정책평가와 감사에 관한 쟁점 = 217
2. 정책평가와 감사의 관계 = 220
3. 평가제도와 감사제도의 비교 = 223
4. 국정평가 시스템으로서 평가와 감사의 연계방향 = 225
제2절 정책평가와 윤리 = 226
1. 정책평가 윤리의 개념 = 226
2. 평가 윤리의 차원/기준 = 229
3. 정책평가 윤리의 확보방안 = 233
제3절 정책평가와 시민참여 = 236
1. 시민참여의 의의 = 236
2. 시민의 특징과 참여방법 = 239
3. 시민참여형 정책평가 = 242
요약 = 246
연습문제 = 248
참고문헌 = 249
제7장 정책평가의 관리
제1절 정책평가의 활용 = 255
1. 개념 = 256
2. 유형 = 257
3. 영향요인 = 259
제2절 정책평가역량의 구축 = 263
1. 정책평가역량의 저하요인 및 배경 = 263
2. 정책평가역량의 제고요인 및 관리 = 266
요약 = 270
연습문제 = 273
참고문헌 = 274
제8장 정책평가의 한계와 과제
제1절 정책평가의 한계 = 279
1. 평가의 과다 = 279
2. 평가 기준의 과다 = 283
3. 평가 절차, 시기 등 행정상의 문제 = 285
4. 평가자의 문제 = 286
5. 평가 대상, 기준, 방법의 문제 = 289
제2절 정책평가의 과제 = 294
1. 평가의 종합 체계화 = 294
2. 평가의 질 향상 = 296
3. 평가의 활용 가능성의 제고 = 297
요약 = 305
연습문제 = 308
참고문헌 = 309
찾아보기 =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