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한국노동패널 3차 조사의 개요 = 1
제1절 한국노동패널조사사업의 진행 = 1
제2절 조사방법과 조사진행 과정 = 3
1. 조사방법 = 3
2. 조사진행 과정 = 4
제3절 표본유지율과 이사가구의 특성 = 7
1. 표본유지율 = 7
2. 이사가구 추적조사와 표본유지율 = 9
제4절 분가가구와 신규 조사자의 특성 = 10
1. 분가가구의 특성 = 10
2. 신규 조사자의 특성 = 12
제2장 조사가구의 특성 = 14
제1절 세대 및 가구구성 = 14
제2절 가구주의 특성 = 17
제3절 가구원의 특성 = 19
제4절 주거형태 및 비용 = 24
1. 입주 형태 및 주택의 종류 = 24
2. 주택 비용 = 27
제3장 가계경제 = 29
제1절 가계소득 = 29
1. 가구의 총소득 = 29
2. 근로소득 = 31
3. 금융소득 = 32
4. 부동산 소득 = 33
5. 사회보험소득 = 34
6. 이전소득 = 35
7. 기타소득 = 36
제2절 가계소비 = 37
1. 생활비 = 37
2. 저축 = 40
제3절 자산 및 부채 = 43
1. 부동산 자산 = 43
2. 금융 자산 = 45
3. 가구의 부채 = 46
제4장 자녀교육 = 49
제1절 사교육·보육시설 현황 = 49
제2절 사교육·보육시설 비용 = 54
제5장 개인의 경제활동상태 = 57
제1절 경제활동상태의 변화 = 57
1. 경제활동상태 = 57
2. 경제활동상태의 변화 = 62
제2절 취업자의 특성 = 65
1. 산업·직업별 분포 = 65
2. 기업 특성별 분포 = 70
제3절 취업자의 구직활동 및 부업 = 73
1. 취업자의 구직활동 = 73
2. 부업 = 78
제6장 임금근로자의 특성 = 80
제1절 고용형태 = 80
1. 근로계약 여부 = 80
2. 종사상 지위 = 84
3. 시간제/전일제 근로 = 88
제2절 근로시간 = 91
1. 근로시간의 규칙성 및 고용형태 = 91
2. 정규근로시간 = 93
3. 초과근로시간 = 96
제3절 임금 및 사회보험 = 100
1. 임금지급 주기 및 결정방식 = 100
2. 임금수준 = 102
3. 사회보험 = 106
제4절 노동조합 = 109
제7장 비임금근로자의 특성 = 112
제1절 종사상 지위 = 112
제2절 근로시간 = 115
1. 근로시간의 규칙성 및 월평균 근로일수 = 115
2. 주당근로시간 = 117
제3절 근로소득 = 120
제8장 미취업자의 특성 = 123
제1절 미취업자와 구직활동 = 123
1. 구직활동 및 취업 가능성 여부 = 123
2. 구직활동을 하지 않거나 취업 의사가 없는 이유 = 127
3. 구직방법과 구직기간, 구직시 어려움 = 130
제2절 희망하는 일자리의 특성 = 133
제9장 주관적 만족도 및 사회계층 소속감 = 136
제1절 생활만족도 = 136
제2절 직무만족도 및 교육·기술 적합도 = 139
1. 직무만족도 = 139
2. 교육수준 적합도 = 143
3. 기술수준 적합도 = 145
제3절 사회계층 및 경제적 여건 = 148
1. 사회계층 소속감 = 148
2. 경제적 여건 = 150
3. 사회적 연줄망 = 155
제10장 청년층의 학교교육과 일 = 157
제1절 정규 학교교육 = 157
제2절 재학중 취업실태 = 163
제3절 졸업 후 구직활동 = 166
제4절 졸업 후 첫 일자리 = 167
부록 : 3차년도 한국노동패널 설문지 =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