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3

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3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방하남 장지연 황수경 김기헌 김지경 박시내
단체저자명
한국노동연구원
서명 / 저자사항
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3 / 방하남 [외저].
발행사항
서울 :   한국노동연구원,   2002.  
형태사항
369 p. : 삽도 ; 26 cm.
ISBN
8973563602
일반주기
부록: 3차년도 한국노동패널 설문지  
공저자: 장지연, 황수경, 김기헌, 김지경, 박시내  
000 00000cam c2200205 k 4500
001 000045406985
005 20230215112711
007 ta
008 020521s2002 ulka 000c kor
020 ▼a 8973563602 ▼g 93330
035 ▼a (KERIS)BIB000008380729
040 ▼a 211035 ▼d 211009 ▼c 211009
082 0 4 ▼a 331.09519 ▼2 22
085 ▼a 331.0953 ▼2 DDCK
090 ▼a 331.0953 ▼b 1999c ▼c 3
245 0 0 ▼a 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n 3 / ▼d 방하남 [외저].
260 ▼a 서울 : ▼b 한국노동연구원, ▼c 2002.
300 ▼a 369 p. : ▼b 삽도 ; ▼c 26 cm.
500 ▼a 부록: 3차년도 한국노동패널 설문지
500 ▼a 공저자: 장지연, 황수경, 김기헌, 김지경, 박시내
700 1 ▼a 방하남 ▼0 AUTH(211009)13584
700 1 ▼a 장지연
700 1 ▼a 황수경
700 1 ▼a 김기헌
700 1 ▼a 김지경
700 1 ▼a 박시내
710 ▼a 한국노동연구원 ▼0 AUTH(211009)37715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0953 1999c 3 등록번호 1114427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제1장 한국노동패널 3차 조사의 개요 = 1
 제1절 한국노동패널조사사업의 진행 = 1
 제2절 조사방법과 조사진행 과정 = 3
  1. 조사방법 = 3
  2. 조사진행 과정 = 4
 제3절 표본유지율과 이사가구의 특성 = 7
  1. 표본유지율 = 7
  2. 이사가구 추적조사와 표본유지율 = 9
 제4절 분가가구와 신규 조사자의 특성 = 10
  1. 분가가구의 특성 = 10
  2. 신규 조사자의 특성 = 12
제2장 조사가구의 특성 = 14
 제1절 세대 및 가구구성 = 14
 제2절 가구주의 특성 = 17
 제3절 가구원의 특성 = 19
 제4절 주거형태 및 비용 = 24
  1. 입주 형태 및 주택의 종류 = 24
  2. 주택 비용 = 27
제3장 가계경제 = 29
 제1절 가계소득 = 29
  1. 가구의 총소득 = 29
  2. 근로소득 = 31
  3. 금융소득 = 32
  4. 부동산 소득 = 33
  5. 사회보험소득 = 34
  6. 이전소득 = 35
  7. 기타소득 = 36
 제2절 가계소비 = 37
  1. 생활비 = 37
  2. 저축 = 40
 제3절 자산 및 부채 = 43
  1. 부동산 자산 = 43
  2. 금융 자산 = 45
  3. 가구의 부채 = 46
제4장 자녀교육 = 49
 제1절 사교육·보육시설 현황 = 49
 제2절 사교육·보육시설 비용 = 54
제5장 개인의 경제활동상태 = 57
 제1절 경제활동상태의 변화 = 57
  1. 경제활동상태 = 57
  2. 경제활동상태의 변화 = 62
 제2절 취업자의 특성 = 65
  1. 산업·직업별 분포 = 65
  2. 기업 특성별 분포 = 70
 제3절 취업자의 구직활동 및 부업 = 73
  1. 취업자의 구직활동 = 73
  2. 부업 = 78
제6장 임금근로자의 특성 = 80
 제1절 고용형태 = 80
  1. 근로계약 여부 = 80
  2. 종사상 지위 = 84
  3. 시간제/전일제 근로 = 88
 제2절 근로시간 = 91
  1. 근로시간의 규칙성 및 고용형태 = 91
  2. 정규근로시간 = 93
  3. 초과근로시간 = 96
 제3절 임금 및 사회보험 = 100
  1. 임금지급 주기 및 결정방식 = 100
  2. 임금수준 = 102
  3. 사회보험 = 106
 제4절 노동조합 = 109
제7장 비임금근로자의 특성 = 112
 제1절 종사상 지위 = 112
 제2절 근로시간 = 115
  1. 근로시간의 규칙성 및 월평균 근로일수 = 115
  2. 주당근로시간 = 117
 제3절 근로소득 = 120
제8장 미취업자의 특성 = 123
 제1절 미취업자와 구직활동 = 123
  1. 구직활동 및 취업 가능성 여부 = 123
  2. 구직활동을 하지 않거나 취업 의사가 없는 이유 = 127
  3. 구직방법과 구직기간, 구직시 어려움 = 130
 제2절 희망하는 일자리의 특성 = 133
제9장 주관적 만족도 및 사회계층 소속감 = 136
 제1절 생활만족도 = 136
 제2절 직무만족도 및 교육·기술 적합도 = 139
  1. 직무만족도 = 139
  2. 교육수준 적합도 = 143
  3. 기술수준 적합도 = 145
 제3절 사회계층 및 경제적 여건 = 148
  1. 사회계층 소속감 = 148
  2. 경제적 여건 = 150
  3. 사회적 연줄망 = 155
제10장 청년층의 학교교육과 일 = 157
 제1절 정규 학교교육 = 157
 제2절 재학중 취업실태 = 163
 제3절 졸업 후 구직활동 = 166
 제4절 졸업 후 첫 일자리 = 167
부록 : 3차년도 한국노동패널 설문지 = 171


관련분야 신착자료

최일선 (2022)
김병숙 (2023)